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공공 거버넌스와 공공기관 거버넌스에 대한 영역.기능별 국제비교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21-B00241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07월 01일 ~ 200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판석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40;미래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완희(가천대학교)
홍길표(백석대학교)
진종순(인천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OECD에 속한 국가는 물론 개발도상국가들을 비롯한 세계 각국 정부는 정부 개혁, 행정 혁신, 정부 현대화, 공공부문 개혁 등 다양한 명칭으로 정부 및 공공부문의 변화와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정부기관은 물론 공공기관(정부산하기관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의미의 공공부문 개혁(public sector reform)이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국내적으로도 정치행정 및 경제환경이 크게 변화되고 있어 새로운 혁신방향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울러 학문적으로도 행정의 패러다임 변화를 조명해보고 거버넌스 이론 등을 체계화할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국제비교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공공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와 공공기관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를 상호 연계시켜 거시적 관점에서 정부기관-준정부기관-공기업-사기업의 기능과 역할분담 및 상호 관계구조를 종합적인 시각에서(포괄적인 스펙트럼을 전제로 한) 거버넌스 구조와 운영방식을 우선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공거버넌스와 공공기관 거버넌스에 대한 국제비교연구를 시도하려고 한다. 정부기관에서 공사화(corporatization) 및 민영화(privatization) 과정을 거쳐 분화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공공 거버넌스를 영역별 기능별로 거시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현재 경영학적인 차원에서 혹은 미시적 차원에서 공기업 내부 지배구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은 편이나, 거시적 차원에서 정부-공공기관-민간기업에 이르는 영역별, 기능별 거버넌스 비교연구는 매우 부족한 편이므로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은 공공기관의 내부지배구조와 그와 관련된 운영시스템(협의의 거버넌스) 또는 중앙정부 통제구조와 공공기관 내부지배구조(중범위 거버넌스)에 초점을 둔 반면, 본 연구는 중앙정부 통제구조와 공공기관 내부지배구조를 보다 세부적으로 연구함은 물론 지방 공공기관과 관련된 중앙과 지방정부의 거버넌스(통제구조와 내부지배구조)및 공공기관의 상호 연관성 등을 총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중앙정부 소속 공공기관의 거버넌스(내부 지배구조)는 물론 중앙정부조직과는 별개로 움직이는 지방정부 소속 공공기관의 거버넌스도 함께 연구하고자 한다(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소속의 산하기관들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있으나, 상호관계를 비교차원에서 조사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양자간의 거버넌스와 운영시스템도 함께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는 공공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와 공공기관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의 기본골격을 이루는 정부기관-준정부기관-공기업-사기업의 기능분담 및 상호 관계구조를 교차분석하고자 한다. 즉 국가기반 서비스 관련 SOC와 에너지부문,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교육과 의료부문, 경제인프라 관련 통신과 금융부문 등 영역별 및 기능분야별(sectoral and functional comparison)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준으로 국제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처럼 주요 기능분야별로 정부기관-준정부기관-공기업-사기업의 기능분담 및 상호 관계구조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국제비교를 할 수 있어야만 정확한 우리나라 정부 및 공공부문의 규모를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실천적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수렴(융합)-확산(convergence & divergence) 논쟁,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침투(inter-penetration) 또는 동형화(isomorphism) 등의 관점에서 국제비교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제적인 흐름이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국내의 관련 연구나 향후 혁신방향 모색에도 유익한 정보나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 기대효과
  • 1) 학술적인 측면 기대효과

    첫째, 정부 및 공공부문 개혁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 in public administration)과 관련된 이론을 국제적 차원에서 조명하거나 비교하여 정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두 차원에서 공통적인 함의를 제공해줄 것이다. 국제비교연구를 토대로 공공거버넌스 및 공공기관 거버넌스의 발전 경향이나 세계적 추세를 연구하므로 주요 선진국 등의 거버넌스 발전방향에 대한 이론적 함의나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동시에 한국정부가 지향해야 할 공공부문 개혁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과 현실적인 정책 시사점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공공기관 거버넌스 관련된 주요국의 국제적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분석할 것이므로 주요국의 공공기관 거버넌스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내용 등을 파악하여 한국상황이나 개발도상국 등에 필요한 정책적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공기업 등의 내부 지배구조 개선에 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관점을 벗어나, 보다 거시적 관점에서 정부기관-준정부기관-공기업-사기업의 기능분담 및 관계구조를 포함한 전체 거버넌스 구조와 운영방식을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각국의 공공기관 거버넌스가 convergence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가, 아니면 divergence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가, 그것도 아니라면 제3의 길인 neo-convergence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인가를 탐구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사회적 측면 기대효과

    첫째,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해 한국 정부 및 공공부문 개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부문 전반적인 관련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한국의 공공기관 범위(작은 정부, 큰 정부 논의 등) 및 규모 등을 주요 기능분야별로 연구하고자 하므로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 전반에 걸친 거버넌스 이해와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해 보다 구체적인 공공기관(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개혁과제를 모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그 직속기관, 지방정부와 그 직속기관 및 산하기관, 공기업 및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 전체를 포괄하는 국제비교연구를 행하고 있음에 따라 공공부문 전체의 규모와 기능배분 문제, 시장메커니즘을 활용하는 공공부문 기능 축소 문제, 공공기관 분류체계의 재정비방안 등 공공기관 거버넌스와 관련된 제도적 개선방안(내부 지배구조 및 운영시스템 포함)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적 측면 기대효과

    행정학자와 경영학자가 공히 참여하여 연구를 수행할 것이므로 연구의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며, 거버번스에 대한 양 학문분야간의 학문적 소통(거버넌스 연구경향, 의미와 내용 등 상호이해)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원인력의 연구 참여를 통해 공공부문 개혁 분야의 전문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진행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참여한 석사과정 및 학사과정 학생들에 대한 실천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는 우선적으로 공공부문 개혁과 공공기관 운영과 관련된 공무원 교육은 물론 공공기관(산하기관) 연수훈련 등에 직간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연구논문 및 보고서는 행정학분야와 경영학분야의 공기업론 또는 정부개혁론(혹은 공공부문 개혁론) 교육과정 등에 부교재나 연구 및 참고자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학술적 연구성과 예상
    본 연구는 SSCI급 국제학술지에 2년내 최소 2편 제출, 2년내 1편 게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아울러 국내 학술지(학진등재지/등재후보지)에 2년내 최소 3편 제출, 2년내 2편 게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외 주요학술지에 연구결과를 발표하여 한국의 경험과 사례를 국내외에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 1년차 연구의 내용

    첫째, 정부개혁이 활성화되면서 행정관리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거버넌스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따라서 공공 거버넌스의 발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과정에서 파생하는 정부와 공공부문 영역분화를 분석하면서 공공기관의 발전도 함께 조명할 것이다. 우선 이론적 관점에서 행정관리 패러다임 발전과정과 유형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실정과 주요 선진국간의 유사성과 차별성 등을 조명하게 될 것이다.

    둘째, 공공 거버넌스와 공공기관 거버넌스의 개념 및 유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거버넌스(governance)에 대한 연구는 학문분야마다 약간의 차이(용어, 의미 등)를 보이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행정학과 경영학적인 차원에서 공공 거버넌스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

    셋째, 국가별로 다양한 용어를 사용해 공공기관을 지칭하고 분류해 옴에 따라 국제비교 연구차원에서 공통적인 기준을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 국제비교연구를 행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유형 구분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본 연구의 입장에서 사용할 유형구분 기준을 정해야 하므로 한국과 주요 선진국의 기준 등을 비교하여 국제적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넷째, 주요 선진국의 공공기관 거버넌스 현황을 조사연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공공기관 거버넌스의 방향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비교연구를 행하기 위해 6개 국가를 비교대상 국가로 잠정 선정하였다. 이들 국가를 대상으로 영역별 국제비교연구를 위한 각국 공공기관 유형구분 및 현황 조사분석, 국제비교연구를 위한 각국 공공기관 거버넌스 운영특성 조사분석을 진행한다.

    다섯째, 1차년도 잠정 연구결론으로 공공부문 개혁 및 공공기관 거버넌스 발전 방향성 모색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 비교연구를 통해 각국의 공공기관 거버넌스가 경제발전단계나 정책패러다임과 같은 convergent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 아니면 제도개선 이력과 같은 역사적 요인이나 사회문화적 특성 등과 같은 divergent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2) 2년차 연구의 내용

    2년차 연구는 1년차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각 분야별 조사분석 결과를 마무리 하는 한편 다음과 같은 주제에 대해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의 거버넌스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에 서로 다른 특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차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세계흐름을 보면 제도적 차원의 동형화 현상이 나타날 개연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민간부문의 상호침투(inter-penetration) 현상 및 동형화(isomorphism) 압력을 고려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둘째, 정부 및 공공기관을 기능분야별(functions 및 areas)로 나누어 거버넌스 국제비교를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6개 기능분야별로 공공 및 공공기관의 거버넌스를 기준으로 국제비교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즉 공공(정부기관) 거버넌스와 공공기관(산하기관 등) 거버넌스(내부 지배구조)의 기본골격을 거시적 스펙트럼에서 살려볼 것이다. 즉 정부기관-준정부기관-공기업-사기업의 기능분담 및 상호 관계구조를 국가기반서비스 관련 SOC와 에너지부문,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교육과 의료부문, 경제인프라 관련 통신과 금융부문 등 사회경제 기능분야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준으로 국제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셋째, 공공기관 거버넌스(내부 지배구조) 및 운영시스템에 대한 국제비교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우선 우리나라의 공공기관의 거버넌스(내부 지배구조) 및 운영시스템 현황을 소유권기능 측면, 내부통제 제도 측면, 임원 인사제도 측면, 공공기관 성과관리 측면, 경영투명성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그런 다음에 항목별로 주요 국가의 공공기관 지배구조 현황 및 특성을 비교연구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행정학은 물론 경영학에도 유익한 연구자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최종 결론으로 한국의 공공기관 거버넌스 및 운영시스템 발전방향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한다.

    * 주요 선진국(미국, 영국, 호주, 프랑스, 스웨덴, 일본, 한국) 등을 포함한 국제비교연구를 위해서는 최소한 2년 이상의 연구기간이 필요하다. 일회성 단기연구로는 심층적인 국제비교연구를 하기가 어려우므로 최소 2년의 연구기간이 필요하다
  • 한글키워드
  • 공공 거버넌스 공공기관 거버넌스 영역∙기능별 국제비교연구 비교연구방법 공공부문개혁 신공공관리론 좋은(우량) 거버넌스 수렴(융합) 확산 경로의존성 공기업 정부투자기관 동형화 소유권 기능 지배구조 거버넌스 기업지배구조 정부산하기관 지배구조 정부산하단체 운영시스템 민영화 공사화 경제협력개발기구 가이드라인
  • 영문키워드
  • public governance 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 corporate governance sectoral and functional international comparison comparative study public sector reform new public management NPM good governance convergence divergence path dependence state-owned enterprise SOE Quango isomorphism governance structure ownership function OECD guidelin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속한 국가들은 물론 세계 각국 정부는 공공부문개혁, 정부개혁, 행정혁신, 정부현대화, 공공기관 개혁 등의 명칭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이 포함된 공공부문 전반의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중앙정부 개혁, 지방정부 및 지방자치제도 개혁,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 개혁 등이 상호 밀접히 연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각 부문의 특성 및 부문간 상호연관성을 포괄하는 국제비교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포함된 정부 거버넌스는 물론 중앙과 지방정부하의 공기업 등이 포함된 공공기관 거버넌스를 상호 연계시키는 공공 거버넌스 구성형태 관점에서 국제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특정 국가의 정부 및 공공기관이 포함된 공공 거버넌스의 특성 및 운영메커니즘 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공공 거버넌스 전체 구성형태에 포함된 주요 부문의 구성체계, 운영특성, 그리고 주요 부문간의 상호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구성형태적 접근방법(configurational approach)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유럽(영국, 핀란드 등)과 이웃나라(일본 등)의 정부 및 공공기관 거버넌스 특성을 공공부문 구성형태 관점에서 비교연구하고 있다. 우선 비교대상 국가의 정부형태와 중앙정부의 하부체계, 지방행정 구조와 중앙-지방정부간 관계,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의 유형과 공공기관 거버넌스 특징, 그리고 공공기관과 중앙 및 지방정부와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이를 종합하기 위해 구성형태 관점에서 각국 공공 거버넌스의 전반적인 특징 및 운영원리를 규명하고 있다. 이러한 각국의 공공 거버넌스 구성형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국제비교를 행하였다. 연구결과, 특정 국가의 공공 거버넌스는 신공공관리론(NPM)이나 우량거버넌스(good governance) 패러다임 등과 같은 커다란 시대흐름을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속하고 있는 사회의 역사적·정치행정적·사회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부문간 정합성(fitness)을 높이는 방향으로 독특성을 유지한 채 발전해 나가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핀란드의 경우, 국가행정 전반적으로 권력이 분산된 공공 거버넌스를 지향하고 있으며, 다원적 통제와 합의에 의한 조정 메커니즘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국가행정체계 위계(hierarchy)에 따라 권력이 계층적으로 집중된 공공 거버넌스 특징을 유지해 왔으며, 이 속에서 민주적 합의에 의한 조정 메커니즘보다는 위계적 통제(hierarchical control)와 조정 메커니즘(coordination mechanism)이 발전해 왔다. 영국과 일본도 각국의 역사적·정치적·사회경제적 배경을 반영한 독특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 형태의 공공 거버넌스가 다른 형태보다 항상 우월하다는 주장보다는 그 사회의 역사적·정치적·사회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부문간 정합성(fitness)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각국이 영미권 중심의 우량 거버넌스(good governance)나 최우수 사례(first best practice) 논의에만 주목하기 보다는 개발도상국의 발전모형에 현실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최근 논의가 확산되고 있는 우량근접 거버넌스(good enough governance), 준우수 사례(second best practice), 혹은 사다리(ladder)형 발전론 개념을 통해 보듯 자국에 알맞은 공공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는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보고서는 크게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 전반을 공공 거버넌스의 구성형태 관점에서 국제비교연구한 결과이다. 두 번째 부분은 공공기관 거버넌스, 특히 공기업 거버넌스의 특성을 국제비교한 연구 결과이다. 마지막 세 번째 부분은 연구과정 중에 산출된 결과물들, 즉 국내외 학회지 게재신청논문, 국제학회 발표논문, 학회지 게재신청을 위한 준비논문 등이다.
  • 영문
  • Public Governance and 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 Sectoral and Functional International Comparison


    Many OECD countries are trying to promote various changes and innovation of the public sector including government and public bodies under the name of public sector reform, government reform, administrative reform, government modernization, and public body reform. This study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which was conducted by a comprehensive configurational approach in looking at public governance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 in Korea. In fact, in orde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governance and operational mechanism of government and public bodies in a specific country,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onfigurational approach which focuses on a holistic review of the structure of public governance, it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major sectoral relationships surrounding public governance. The configurational approach displaced contingency theory as the dominant perspective in the literature on change. This perspective is characterized by its holistic view of organizations, which are conceived as composed of tightly interdependent and mutually supportive elements such that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can best be understood by making reference to the whole configu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governance of government and public bodies based on a selective European countries such as England and Finland as well as a neighboring country like Japan in a configurational perspectiv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wo different trends in many countries: (1) many countries partially follows a global trend such as new public management (NPM) and good governance paradigm which have been widely introduced in the world; and (2) each country moves forward in enhancing its fitness with its own historical, politico-administrative,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a specific form of public governance is always superior to a certain type of governance. Instead, it is fair to say tha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public governance is to enhance its own fitness with its own historical, politico-administrative,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in a given society. In other words, there is no single one-size-fits-all model in the world. As mentioned earlier, this report is based o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public governance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 in a configurational perfective. This report will provide a new perspective to many scholars and students who study public management in Korea and overseas. This report includes several papers such as manuscripts submitted for possible publication in both Korean and English journa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OECD에 속한 국가들은 물론 세계 각국 정부는 공공부문 개혁, 정부개혁, 행정혁신, 정부현대화, 그리고 공공기관 개혁 등의 명칭으로 정부 및 공공기관이 포함된 공공부문 전반의 변화와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포함된 공공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와 공기업이 포함된 공공기관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를 상호 연계시키는 포괄적 거버넌스 구성형태 관점에서 국제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특정 국가의 정부 및 공공기관이 포함된 공공 거버넌스의 특성 및 운영메커니즘 등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공공 거버넌스 전체 구성형태에 포함된 주요 부문의 구성체계, 운영특성, 그리고 주요 부문간의 상호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구성형태적 접근방법(configurational approach)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유럽(영국, 핀란드 등)과 이웃나라(일본 등)의 정부 및 공공기관 거버넌스 특성을 공공부문 구성형태 관점에서 비교연구하고 있다. 연구결과, 특정 국가의 공공 거버넌스는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이나 우량거버넌스 패러다임(good governance paradigm) 등과 같은 커다란 변화 흐름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속하고 있는 사회의 역사적·정치행정적·사회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부문간 정합성(fitness)을 높이는 방향으로 독특성을 유지한 채 발전해 나가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특정 형태의 공공 거버넌스가 다른 형태보다 항상 우월하다거나 특정형태의 거버넌스가 유일하게 보편적으로 우수하다는 주장보다는 그 사회의 역사적·정치적·사회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부문간 정합성(fitness)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즉 단일형태의 최우량 모델(one-size-fits-all model)은 존재하기 어렵고, 해당국가의 사정과 환경에 따라 조금씩 발전해가는 형태가 현실적임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연구보고서는 중앙정부와 중앙정부하의 공공기관, 지방정부와 지방정부하의 공공기관과 공기업 등을 포함한 공공기관 전반을 공공 거버넌스의 구성형태 관점에서 국제비교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정부차원의 공공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는 물론 공공기관의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에 초점을 두고 국제비교연구한 결과 및 국내외 학회지 게재신청논문(현재 논문심사중) 등 연구과정 중에 산출된 결과물들을 담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술적인 측면에서 첫째, 정부는 물론 좀 더 범위를 넓힌 공공부문(public sector) 개혁과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 등을 보다 심도있게 연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론 연구 및 국제비교연구를 토대로 공공 거버넌스(public governance) 및 공공기관 거버넌스(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연구하고 있으므로, 정부 및 공공부문 개혁의 발전방향과 패러다임 전환 등을 포괄적으로 분석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공공기관 거버넌스 관련 국제비교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로 공기업과 내부 거버넌스(지배구조) 개선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 관점을 벗어나, 보다 거시적 관점에서 정부기관-준정부기관-공기업-사기업의 기능분담 및 관계구조를 포함한 포괄적 거버넌스 구조와 운영방식을 국제비교차원에서 연구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각국의 공공기관 거버넌스가 융합(convergence)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가, 아니면 발산(divergence)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가, 그것도 아니라면 제3의 길인 신융합(neo-convergence)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인가를 탐구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측면에서 첫째,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해 한국 정부 및 공공부문 개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부문 전반적인 관련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국제비교연구를 통해 한국의 공공기관 범위 및 규모 등을 주요 기능분야별로 조사할 수 있다면, 공기업을 포함한 공공기관 전반에 걸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해 보다 구체적인 공공기관(공기업,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 개혁과제를 모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그 직속기관, 지방정부와 그 직속기관 및 산하기관, 공기업 및 산하기관 등 공공기관 전체를 포괄하는 국제비교연구를 행하고 있음에 따라 공공부문 전체의 기능배분 문제, 시장메커니즘을 활용하는 공공부문 기능 축소 문제, 공공기관 분류체계의 재정비방안 등 공공기관 거버넌스 관련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교육적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지원인력의 연구 참여를 통해 공공부문 개혁 분야의 전문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 진행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참여한 석사과정 및 학사과정 학생들에 대한 경험적이고 실천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문제 접근방법, 문제분석과 대안발굴, 대안분석과 비교, 실천과 집행가능성 등을 고려한 현실성 여부, 이상이 아니라 현실에 바탕을 둔 타당성 검토 등을 실천적으로 학습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는 우선적으로 공공부문 개혁과 공공기관 운영과 관련하여 공직사회의 공공관리차원의 지식공유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공무원 교육 등에 연구결과를 직간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된 연구논문 및 보고서는 넓게는 행정학, 좁게는 공공관리론, 공기업론, 정부개혁론, 조직론 등의 교육과정 부교재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성과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국내의 국문 등재지 저널은 물론 영문 우수저널에 논문 게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국내 등재지 하나에 논문심사를 의뢰한 상태(논문심사중)이며, 영문논문은 이미 미국행정학회(American Society for Public Administration: ASPA) 연례학술대회에서 이미 발표하였고, 수정논문은 논문심사를 거쳐 게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구재단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한 내에 연구결과물 게재 등을 완결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기업, 공공기관, 정부개혁, 공공부문 개혁, 공공 거버넌스, 공공기관 거버넌스, 지배구조, 구성형태적 접근법, 우량 거버넌스, 수렴, 확산, 핀란드, 영국, 일본, 한국, 국제비교연구 state-owned enterprise (SOE), public body, QUANGO, quasi-governmental organization, public governance,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governance of public bodies,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public sector reform, administrative reform, government reform, good governance, convergence, divergence, fitness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