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부산국제영화제 연구: 세계화와 지역성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기초연구지원인문사회& #40;창의주제연구&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321-G00011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3 년 (2008년 07월 01일 ~ 2011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왕주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용성(부산대학교)
강소원(동서대학교)
정병언(부산대학교)
김려실(부산대학교)
고현철(부산대학교)
최병학(경성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아시아 영화제를 대표하는 부산국제영화제(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이하 PIFF)는 한국영화라는‘내셔널 시네마(national cinema)’와‘아시아 시네마(asian cinema)’그리고 부산 영화(pusan cinema)라는 영향 속에 있다. 그러나 PIFF는 이제 더 이상 지역적인 이름이 아니라, 영화와 문화, 사상과 기술, 축제와 놀이라는 탈경계적인 이름을 얻게 되었다. 영화제가 더 이상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단일한 개념어가 아니라, 안과 밖의 힘들이 엇갈리고 때로는 상승하는 관계 속에 놓여있는 혼성적인 문화 실천의 결과물들이며 또한 각 지역들 간의 긴장과 협력이라는 양가적인 짝패성(ambivalence)을 통해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PIFF를 통해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역성(Locality)의 인문학적 통찰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는 이러한 사유지평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20세기 말부터 우리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세계화현상은 국제 정치․경제상의 변동과 함께 문화의 영역, 특히 영화의 영역에 매우 강력한 영향을 끼쳐왔다. 이런 세계화의 흐름과 세계영화의 영향력 속에서 주변화․타자화되지 않고 새로운 미학세계와 영화 프로그램을 제시하면서 미래지향적 영화제로 발전해 나가는 PIFF를 제대로 연구해야할 필요성에 대한 문제제기는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벌써 12회를 거치면서 아시아와 한국 그리고 부산을 대표하는 영화제가 되었고, 이에 PIFF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은 영화 전문가들 사이에서 심심찮게 제기되었지만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우수한 작품들이 PIFF에 출품된 것이 사실이며 매스컴을 통해서 많이 소개되었지만 이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천착은 제대로 되고 있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PIFF에 나타난 미학세계와 프로그램에 대한 총체적인 천착 그리고 PIFF의 발전방향에 대한 체계적인 대안제시 등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특별히 PIFF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고려해 볼 때, '세계화'와 '지역성'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연구배경 및 필요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IFF의 시작- 로컬리티로부터의 출발, PIFF는 부산․아시아 지역과의 새로운 관계맺음으로 시작되었다. 둘째 PIFF 정체성의 확보- PIFF는 아시아 로컬리티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국제영화제가 되었다. 셋째 PIFF와 세계화 속의 정체성 - PIFF는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로컬리티를 위치지우고 있다. 넷째 PIFF 로컬리티의 미래적 지향 - PIFF는 세계화와 지역화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발전을 추구하는 아시아 영화미학의 고뇌와 문제의식을 보다 성찰하고 대안적 미래를 열어가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영화제로 발전하여야 한다. 또한 한국의 다른 지역 국제영화제와 다자적 관계망 속에서 생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로컬리티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러한 연구배경 및 필요성에 적절하게 반응하기 위해 학제적(interdisciplinary) 연구를 지향하는 본 연구는 PIFF에 관한 올바른 지식생산을 제공하고 보다 창의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목표를 두고 연구하고자 한다. 목표 1,2가 PIFF의 문화예술적 측면의 연구에 가깝고 목표 3,4는 문화산업․제도적 측면과 관련되는 특성이 강하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PIFF와 관련된 영화예술적 이해를 도모하고 PIFF의 새로운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문화산업․제도적 연구를 병행하는 통합적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고 하겠다.
    첫째 PIFF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아시아 작가와 그 미학을 깊이 있게 해명하고자 한다. 둘째 세계화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아시아 영화미학의 고뇌와 문제의식을 담을 수 있는 아시아 관련 영화 프로그램의 대안적 미래를 모색하고자 한다. 셋째 지역영화제로서의 PIFF의 의미를 아시아 지역영화․ 한국 내 지역영화제와의 관련성 속에서 해명해 보고자 한다. 넷째 세계 속에서 지역성의 의미를 구현하는 축제․산업․문화로서의 PIFF의 발전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학문적, 사회적, 교육적 영역에 큰 기대효과가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국제영화제(PIFF)를 세계화라는 맥락 속에서, 지역성에 기반 한 영화의 미학과 프로그램을 깊이 있게 천착하면서도 PIFF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실천적인 학제적 연구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학문적 연구대상에서 소외되었던 PIFF 연구를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다룸으로써 학문의 영역이 심화,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제적인 융합연구를 통해 이와 관련된 연구의 새로운 활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며 정책결정에 필요한 형태로 행정기관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며 지역성과 관련된 문화현상의 이해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PIFF와 지역 영화제 또한 아시아 영화를 이해하고자 하는 대학교육이나 학부의 교양과정 또는 전공심화과정의 교육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방식의 기여도가 있겠지만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PIFF 에 소개된 아시아 작가와 그 미학세계에 대한 이해가 깊이 있게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에 이루어지지 못했던 PIFF미학, 또한 아시아 영화미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2)PIFF에 출품된 아시아 영화 프로그램에 체계적 분석과 비평을 제시될 것이다. 매년 바뀌어 지는 프로그램의 양상과 작품의 경향성들을 소개하고 또한 이를 프로그램별로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발전방향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3)PIFF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이런 연구가 지금까지 소외되고 희귀한 영역이었지만 학문적 담론으로 끌어 들여 진지한 연구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4)지역영화제로서의 PIFF의 의미가 지역영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될 수 있을 것이다. PIFF에 나타난 아시아 각 지역영화의 새로운 흐름과 특징을 개괄함으로써 세계화 지역화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발전적 도모를 해 나가는 아시아 각 지역들의 영화적 경향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한국이란 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역 국제영화제의 특성과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PIFF에 비교함으로써 더욱 이해가 제고될 것이다. (6)세계화라는 격변 속에서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 영화제가 시대적 요구와 수요를 충족 하기 위해 어떻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화제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까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7)지역축제로서 PIFF와 각 지역영화제가 서로 협력하면서 세계와 지역과 소통하며 연대와 상보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8)예산, 인프라, 법적․제도적 보완, 전문 인력 양성 등 지역에 기반 한 국제영화제의 여러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의 문화산업 혁신역량과 경쟁력 수준을 어떻게 제고하고 지역 문화로서 세계 및 지역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될 것이다. (9)PIFF 관련 여러 프로그램에 있어서 영화비평의 민감성을 제고할 수 있다. (10)차별화된 지역 축제․문화․산업의 발전방향과 진정한 지역의 국제문화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PIFF의 성공요인은 그 영향력이 큰 순으로 주제의 독창성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있다고 볼 때, 이러한 주제의 독창성과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12)부산국제영화제는 지역성을 반영한 성공한 축제로 알려져 있다. 지역연구를 통해 주민참여를 보다 활성화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13)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지구화의 과정과 그것에 연계된 영화, 그리고 지역화라는 맥락에서 지역적 경계를 초월하는 흐름들과 지역간 연관된 흐름 속에서의 상호역동적인 관계해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서구의‘오리엔탈리즘’이 거부한 세계의 복합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지역화와 세계화 사이의 상호대화와 이해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학문적 담론을 활성화하면서 이와 연관된 영화연구의 후속연구를 파생시킬 것이다. (14)단순히 ‘중심’과 ‘주변’에 관한 정의를 토대로 시작할 것이 아니라, 실제로 지역의 구체적인 모습 속에서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며, 자생력을 확보하고 발전해갈 수 있는지 그 경로들을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 (14)PIFF연구의 성과는 대학교육에서 지역영화제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해 줄 것이며 세계화된 맥락 속에서 지역성에 기반 하면서도 세계의 영화를 바라보는 안목을 제공해 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지역영화제와 관련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교육의 차원에서 아시아와 세계 그리고 한국의 지역을 이해하는 맥락에서 영화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의 내용은 크게 3주제로 나누어 진행된다. 각 주제마다 3년차로 나누어져 있다.
    제 1주제는 PIFF에 소개된 작가와 그 미학 연구이며 이를 위해 1년차에 (1)중국의 지아 장커, 장 유안 영화 연구 (2)이란의 모흐센 마흐말바프, 자파르 파나히,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영화 연구 (3)인도의 무날리 나이르, 마니 나트남 영화연구 등이며 2년차에 (1)대만의 차이 밍량, 허우 샤오시엔, 린 촁솅 영화 연구 (2) 타이의 아핏차퐁 아라세타쿤, 펜엑 라타나루앙 영화 연구 (3) 인도네시아의 가린 누그로호 영화 연구 3년차에 (1)일본의 츠카모토 신야, 기타노 다케시, 구로사와 기요시, 미이케 다카시와 영화 연구 (3)홍콩의 프룻 첸, 싱가폴의 로이스톤 탄 연구이다.
    제2주제는 아시아 관련 영화 프로그램에 대한 총괄적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이며 이를위해 1년차에 (1)영화제의경쟁부문인 [뉴커런츠]와 [와이드 앵글] 프로 그램의 성격과 지금까지의 성과 평가 (2)세계영화사의 지배적 구도 안에서의 아시아 관련 특별 전과 기획전 기획의 성격과 의미 평가 (3)PPP와 AND 펀드 등 부산국제영화제의 지원 프로그 램의 성격과 그 성과에 대한평가와 발전 방향 연구 등 이다.
    제3주제는 지역영화제로서의 PIFF의 의미와 발전방향이며 이를 위해 (1)PIFF에 나타난 아시아 각 지역 영화의 새로운 흐름과 특징 (2)PIFF와 한국의 다른 지역영화제 비교연구 (3)지역 축제․산업․문화로서의 PIFF의 발전방안 등이다.
    이러한 연구의 내용을 완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문헌적 고찰과 메타비평, 영화자료 분석을 체계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PIFF 영화 수용자들의 PIFF 반응 조사와 해외현지조사 및 통계자료 활용 및 설문조사와 방문․면접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그 외 연구의 질을 효과적으로 보증하기 위해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부산영화,지역성,아시아 영화의 창,운영,성과,약점,강점,위협적 요소,기회적 요소,중심-주변 모델,변방,국제화,잡종화,지역문화,지역산업,지역축제,영화비평,특별기획프로그램,회고전,한국영화,와이드앵글,새로운 물결,아시아 영화,문화적 다양성,부산국제영화제 영화에 대한 비평,세계지역화,로컬리티,영화제,국제,부산,세계화
  • 영문키워드
  • New Currents,A Window on Asian Cinema,AND Fund,PPP(Pusan Promotion Plan),achievemnet,regional festival․industry․culture,internationalization,hybridization,glocalization,interdisciplinary,locality,globalization,pusan cinema,asian cinema,PIFF,WIDE ANGEL,KOREAN CINEMA,Special Programs in Focus,management,weaknesses,strengths,threats,opportunities,center-peripheries,marginal,cultural diversity,Film Criticism,RETROSPECTIV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아시아 영화제를 대표하는 부산국제영화제의 지정학적 위치를 세계화와 지역성의 사이에서 찾아보며, 그러한 맥락에서 지역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의 의미와 발전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부산국제영화제는 한국영화라는 ‘내셔널 시네마(National cinema)’와 ‘아시아 시네마(Asian cinema)’, 그리고 부산 시네마(Busan cinema)라는 지정학적 구도 속에 놓여있다. 그러나 영화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제 더 이상 지역적인 이름이 아니라 영화와 문화, 사상과 기술, 축제와 놀이라는 탈경계적인 이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것은 지정학적 위치를 벗어나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영화제는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단일한 개념어가 아니라, 안과 밖의 힘들이 엇갈리는 관계 속에 놓여있는 혼성적인 문화 실천의 결과물들이며 동시에 각 지역들 간의 긴장과 협력이라는 양가적인 짝패성(ambivalence)을 통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이러한 경계를 자신의 것으로 잘 소화해 낼 때 세계적인 영화제로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Reserch is to seek ways of PIFF’s development in relation to both globalization and locality. As a global film festival, BIFF represents an Asian cinema, and as a local film festival, it also represents a Korean and Busan cinema. But We suggest that PIFF should go beyond boundaries of locality in order to grow as a global film festival. Most film festivals are expected to connect global contexts with the local culture, and can grow in the form of coexistence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 expect that PIFF will grow as the most prestigiou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y extending the boundaries of loca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아시아 영화제를 대표하는 부산국제영화제의 지정학적 위치를 세계화와 지역성의 사이에서 찾아보며, 그러한 맥락에서 지역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의 의미와 발전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부산국제영화제는 한국영화라는 ‘내셔널 시네마(National cinema)’와 ‘아시아 시네마(Asian cinema)’, 그리고 부산 시네마(Busan cinema)라는 지정학적 구도 속에 놓여있다. 그러나 영화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제 더 이상 지역적인 이름이 아니라 영화와 문화, 사상과 기술, 축제와 놀이라는 탈경계적인 이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것은 지정학적 위치를 벗어나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영화제는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단일한 개념어가 아니라, 안과 밖의 힘들이 엇갈리는 관계 속에 놓여있는 혼성적인 문화 실천의 결과물들이며 동시에 각 지역들 간의 긴장과 협력이라는 양가적인 짝패성(ambivalence)을 통해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이러한 경계를 자신의 것으로 잘 소화해 낼 때 세계적인 영화제로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PIFF에서 발견/부각/재조명된 작가와 그들의 미학을 분석하였다. [아시아 영화의 창]을 중심으로 두되,〔뉴커런츠〕,〔와이드 앵글 섹션〕등도 고려하면서 아시아 영화관련 섹션에 나타난 중요한 작가들을 살피되 소개된 개별 감독들의 일련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쟁 섹션인 [뉴커런츠]와 [와이드 앵글] 일부분, 아시아 관련 기획전/특별전 그리고 각종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수상작과 수상 감독들의 이후 성과 추적. 그리고 장편극영화 감독만을 다루는 [뉴커런츠]의 논의를 좀 더 풍부하게 하기 위해 단편/실험/애니/다큐 등의 독립영화를 초청하는 [와이드 앵글]에서 아시아 다큐멘터리에 속하는 일부 영화들에 대한 언급도 포함하였다. 더불어 PIFF에 나타난 아시아 각국 지역영화들(중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의 여러 각국의 영화들)의 주요한 특징들과 새로운 흐름들을 살펴보았다. “아시아 영화를 보려면 부산으로 가라”라는 말이 있듯이 아시아 영화의 변화와 지향 그리고 모색을 잘 보여주는 PIFF를 통해 아시아영화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는 아시아 각 지역의 영화들이 세계화와 지역화의 양상 속에서 어떤 특징과 모습을 갖고 있으며 새로운 시도들을 하고 있는지를 천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향성은 할리우드 영화에 의해 타자화 된 아시아 각 지역의 다양한 영화들이 세계화 속에서 어떻게 지역성을 반영하면서도 나름대로의 자생력 있는 영화를 만들어가고 있는지를 PIFF에 출품된 아시아 영화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학문적․사회적․교육적 기여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PIFF(2011년 현재 BIFF로 변경)는 연구는 세계화라는 맥락 속에서 지역성에 기반한 PIFF의 미학과 프로그램을 깊이 있게 천착하면서도 PIFF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실천적인 학제적 연구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학문적 연구대상에서 소외되었던 PIFF 연구를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다룸으로써 학문의 영역이 심화․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제적인 융합연구를 통해 이와 관련된 연구의 새로운 활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며 정책결정에 필요한 형태로 행정기관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며 지역성과 관련된 문화현상의 이해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PIFF와 지역 영화제 또한 아시아 영화를 이해하고자 하는 대학교육이나 학부의 교양과정 또는 전공심화과정의 교육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방식의 기여도가 있겠지만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 PIFF 에 소개된 아시아 작가와 그 미학세계에 대한 이해가 깊이 있게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에 이루어지지 못했던 PIFF미학, 또한 아시아 영화미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 PIFF에 출품된 아시아 영화 프로그램에 체계적 분석과 비평을 제시될 것이다. 매년 바뀌어 지는 프로그램의 양상과 작품의 경향성들을 소개하고 또한 이를 프로그램별로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발전방향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 PIFF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이런 연구가 지금까지 소외되고 희귀한 영역이었지만 학문적 담론으로 끌어 들여 진지한 연구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지역영화제로서의 PIFF의 의미가 지역영화와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될 수 있을 것이다. PIFF에 나타난 아시아 각 지역영화의 새로운 흐름과 특징을 개괄함으로써 세계화 지역화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발전적 도모를 해 나가는 아시아 각 지역들의 영화적 경향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이란 지역을 중심으로 각 지역 국제영화제의 특성과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PIFF에 비교함으로써 더욱 이해가 제고될 것이다.

    □ 세계화라는 격변 속에서 지역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 영화제가 시대적 요구와 수요를 충족 하기 위해 어떻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영화제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까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지역축제로서 PIFF와 각 지역영화제가 서로 협력하면서 세계와 지역과 소통하며 연대와 상보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예산, 인프라, 법적․제도적 보완, 전문 인력 양성 등 지역에 기반 한 국제영화제의 여러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의 문화산업 혁신역량과 경쟁력 수준을 어떻게 제고하고 지역 문화로서 세계 및 지역과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될 것이다.

    □ PIFF 관련 여러 프로그램에 있어서 영화비평의 민감성을 제고할 수 있다.

    □ 차별화된 지역 축제․문화․산업의 발전방향과 진정한 지역의 국제문화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IFF의 성공요인은 그 영향력이 큰 순으로 주제의 독창성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있다고 볼 때, 이러한 주제의 독창성과 프로그램의 다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 부산국제영화제는 지역성을 반영한 성공한 축제로 알려져 있다. 지역연구를 통해 주민참여를 보다 활성화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지구화의 과정과 그것에 연계된 영화, 그리고 지역화라는 맥락에서 지역적 경계를 초월하는 흐름들과 지역간 연관된 흐름 속에서의 상호역동적인 관계해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서구의‘오리엔탈리즘’이 거부한 세계의 복합성을 인정하면서, 동시에 지역화와 세계화 사이의 상호대화와 이해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학문적 담론을 활성화하면서 이와 연관된 영화연구의 후속연구를 파생시킬 것이다.

    □ 단순히‘중심’과‘주변’에 관한 정의를 토대로 시작할 것이 아니라, 실제로 지역의 구체적인 모습 속에서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서로 영향을 주며, 자생력을 확보하고 발전해갈 수 있는지 그 경로들을 추적할 수 있을 것이다.

    □ PIFF연구의 성과는 대학교육에서 지역영화제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해 줄 것이며 세계화된 맥락 속에서 지역성에 기반 하면서도 세계의 영화를 바라보는 안목을 제공해 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지역영화제와 관련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교육의 차원에서 아시아와 세계 그리고 한국의 지역을 이해하는 맥락에서 영화교육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부산국제영화제(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세계화(Globalization), 지역성(Locality)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