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학적 방법의 일환으로서의 은유는 언어주체의 언어-문화적 표현방식과 세계관을 조명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언어 주체의 의식 구조에 현실이 어떠한 인식 과정을 거쳐 투영되는지를 보여주는 청사진이 바로 은유인 것이다(Ермакова 2000: 45). 시대적 전환기에 많은 ...
수사학적 방법의 일환으로서의 은유는 언어주체의 언어-문화적 표현방식과 세계관을 조명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언어 주체의 의식 구조에 현실이 어떠한 인식 과정을 거쳐 투영되는지를 보여주는 청사진이 바로 은유인 것이다(Ермакова 2000: 45). 시대적 전환기에 많은 정치적 담론과 이데올로기들이 은유적 속성을 띠고 있었던 이유도 은유가 매우 사회적이며 외부세계에 대한 언어 주체의 사회적 의식 구조를 다른 영역에 투사하여 담아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은유의 효율성은 간결한 언어 형식으로 언어의 경제성을 실현하고 함축적 개념과 다양한 추상적 개념을 이미지의 대응관계를 통해 수신자에게 환기시키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의 규범화라는 것은 패러다임으로부터의 일탈 현상을 금하거나 승인하는 것이다(Арутюнова 1999:74). 관습화된 은유는 규범 속에 있지만 한 때는 일탈적 언어 영역의 우인적(偶因的) 시도에서 출발했다. 따라서 관습적 은유도 특정 맥락에 따라서 얼마든지 우인적 본원으로 귀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그런 경우 문자적으로 환원된 의미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과장되거나 비현실적인 사실들을 담고 있다. 은유적 의미를 실제로 존재하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환원시키는 기법(В.М.Жирмунский 321)은 사실성의 원칙을 무시한 비현실적, 환상적인 내용의 어결합이나 성구, 혹은 텍스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Баклан, Иван Матвевич, бригадир. Отличался непреклонностью. Переломан попалам во время бури, свирепствовавшей в 1761 году.(М.Е.Салтыков Щедрин,История одного города). 1) Это идёт тебе. 이것은 네게 어울린다. 2) «"Сливки" на десерт» (КП, 28.03.06). 크림 디저트 -> ‘슬리브끼(팝그룹) 옷을 벗다’ 3) Кукла: человек, слепо действующий по воле другого.(꼭두각시) Куколка: Хорошенькая, нарядно одетая девочка, женщина.(인형같은 소녀). 4) Вместе с этим отрядом (не важно, каким) Орленок воевал (не важно, с кем) и трубил в бою. Однажды отряд снова оказался в тех местах;Вы попали на сайт челябинских орлят. ‘Орленок ‘어리고 용감한 소년, 젊은이’ (Ср.*Соколенок ?), 5) Рекомендация для деток-конфеток.Оденем наших конфеток.(Конфетка ‘귀엽고 사랑스런 아이’ (Ср.*Кашка ?)(예문 출처: www.yandex.ru. ) 이와 같이 특정 맥락이 주어져야만 경우는 기존의 유사성에 바탕을 둔 대응(mapping)만으로는 설명하기에는 무리가 있거나 사상 관계의 논리과정이 복잡하거나 개념 은유의 원리 적용이 모호한 경우가 많다. 또한 (3)의 경우와 같이 러시아어에 고유한 문법적, 의미적 대립항들, 가령 남성형과 여성형 어미(Барин-барыня), 암컷과 수컷(тигр-тигрица), 어미와 새끼(корова, бык, теленок)등의 어휘-의미적 모델의 대칭성은 언어적 은유의 메카니즘에서는 비대칭적이거나 대립쌍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언어 주체의 고유한 의식 구조나 사회적 시의성을 담아내는 은유는 유사성의 사상(寫像)이 개념적으로 구조화되었다기보다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지향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화 텍스트와 담화 상황이 집약되어 있는 구어체 텍스트의 생생한 자료를 바탕으로 은유의 의미적, 담화적 기능과 의미 작용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여 현대 러시아어 언어 현실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또한 현대 러시아의 대표적인 일간지와 저널 텍스트를 구체적 자료로 하여 저널리즘 텍스트에서 사용된 은유가 소통 과정에서 추구하는 목적과 기능, 그 문체적 효과들도 살펴 볼 것이다. 더불어 은유 텍스트 연구에서는 특정 문화 특정 맥락에 따라 변이형의 다양한 양상이 기대되므로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참작하여 언어적 은유의 문화적 변이형들을 분류하여 분석하고 고찰하게 될 것이다.
기대효과
기존의 연구는 주로 비유(은유, 환유, 제유)의 이상적인 인지모델(ICM)을 제시하여 언어간의 개별 양상 보다는 동기화가 가능한 일반적 양상들을 중심으로 개념적 구성원리의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은유 모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문법적 교육에도 불구하 ...
기존의 연구는 주로 비유(은유, 환유, 제유)의 이상적인 인지모델(ICM)을 제시하여 언어간의 개별 양상 보다는 동기화가 가능한 일반적 양상들을 중심으로 개념적 구성원리의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은유 모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문법적 교육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일상에서 선호되며 가장 대중적이고 가독성을 지닌 저널리즘 텍스트들을 은유 인지 모델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이론적 답습보다는 개별 양상들에 초점을 맞추어 러시아어에 고유한 은유적 인식과 의미작용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와 활용 방안을 예상할 수 있다. 3.1. 언어 교육 분야에 기여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은 러시아어 문법 교육과 일반적 은유 인지 모델에 대한 지식에도 불구하고 내포된 사회-문화적 맥락을 읽지 못하기에 가장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저널리즘 텍스트의 해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1차적으로 은유의 의미적 담화적 기능과 의미 작용 양상을 고찰하고 분류해 보고 차후 빈도와 인지도 면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은유들을 중심으로 어휘 및 주제별로 분류하여 실제 담화에서 가깝게 접할 수 있는 고유한 러시아어 은유에 대한 이해를 도와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한다.◈ 형태적 분류와 개념 구성 원리에 따른 다양한 은유의 실현 양상을 조망하여 실제 담화에서의 발신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 이해 능력을 고양한다. ◈ 전공자뿐만 아니라 러시아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개념 은유의 구성 체계의 이론적 학습에 부차적인 자료로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 실용 러시아어 교재 및 고급 러시아어 작문 교재, 은유에 대한 학습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2. 이론 언어학에 기여 ◈ 어휘-의미론 분야에서 은유에 근거한 의미확장, 다의어, 동음이의어, 유의어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은유적 인식과 의미 작용의 이론적 체계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제시된 은유의 통사구조 유형은 러시아어 구문론 이해를 위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러시아어에서 은유의 대응관계의 동기화가 어려운 것은 언어-문화에 반영된 러시아인의 의식 구조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언어에 투사된 러시아인들의 세계상에 대한 실증적인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 연구의 성과는 언어학 및 노어학 관련 학술대회와 학술지에 발표, 게재될 것이다.
연구요약
저널리즘은 언어학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한 사회의 언어문화를 반영하는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다. 또한 특유의 시대성을 담고 있으므로 현대의 러시아의 언어-문화 공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현상들, 언어의 변화 경향과 발전 양상들을 첨예하게 반영한다. 또한 ...
저널리즘은 언어학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한 사회의 언어문화를 반영하는 문화적, 사회적 현상이다. 또한 특유의 시대성을 담고 있으므로 현대의 러시아의 언어-문화 공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현상들, 언어의 변화 경향과 발전 양상들을 첨예하게 반영한다. 또한 사회의 새로운 현상을 언어로 담아내면서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운용을 통해 새로운 언어문화를 창출하는 선봉에 서 있다. 따라서 은유적 속성을 십분 활용하여 규범의 견고한 토대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적 문화적 현상을 담아내는 저널리즘 텍스트는 다양한 발화 장르들의 실현 가능성이 매우 자유롭기 때문에 현대 러시아어의 언어 사용 경향과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실증적인 자료로서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구어체에서 통용되고 빈번하게 활용되던 은유 텍스트는 일상에 친밀하고 대중적이며 가독성이 있는 저널리즘 텍스트에 의해서 규범으로 정착되는 잠재적 특권을 지닌다. 따라서 일상의 관습화된 은유뿐만 아니라 텍스트-사이성에 기반을 둔 참신한 언어적 은유에 대한 자료 수집과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은유의 외면적 틀에 따라 1차적인 분류를 하고 개별적으로 개념 은유의 원리에 따라서 간략하게 분석해 본 결과 은유의 영상 도식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비유적 표현, 관용구나 속담에는 특정 문화에 따라 의식구조 속에 부각되는 부분이 다를 수 있어서 변이형이 생길 수 있다. 언어적 은유에 대한 다양한 분류들은 엄밀히 말해서 핵심어의 내용적(의미적) 분류와 외면적(통사적, 품사적) 기준이 배제적이고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것이므로 어느 한 분류에 전적으로 의존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언어적 은유라 함은 우선적으로 의미의 전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은유에서 핵심어의 의미 영역의 상호 대응, 즉 사상 관계를 중심으로 분류하되 외면적 기능이 은유의 실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경우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부연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적으로 언어적 은유의 실현 범주를 일반적인 어휘 사전의 배열 기준에 따라서 크게 6개의 주제로 다음과 나누어 본다. I. 사물(предмет). II. 동물(животное). III.인간(человек). IV. 물리적 세계(физический мир). V.심리적 세계(психический мир). VI. 추상적 개념(абстракция). 1)인간⇒사물: В стратегии сей молодой человек был форменной дубиной, - говаривал Казанский о Николае Втором.2) 인간⇒사물: Агабабову было пятнадцать, а ей девятнадцать. Но он, этакая дубина, был одного с ней роста,даже выше. 3)인간⇒동물: Я ведь вобла бесчувственная, любить не умею. 4) 인간⇒동물: Были бы у меня такие скелеты, постыдилась бы я перед мужиками разнагишаться. Вобла - она и есть вобла.위의 분류에 따른 핵심어의 사상관계를 분석해보면 어떤 부분은 은유의 개념원리에 입각한 자연스러운 대응이 가능하고 어떤 경우는 한 언어-문화공간에서만 특징적인 은유도 있다. 레이코프와 존슨(1980)의 생각처럼 개념은유는 대체로 보편적인 것일까? 이러한 맥락에서 케베체쉬(Koevecses 2003)도 은유가 문화간의 차원과 문화 내적 차원의 두 개의 차원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는데 총칭층 은유는 총칭적이고 추상적이어서 문화 간에도 거의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구체층에서는 문화간에 변이형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동일한 어휘소의 언어적 은유가 다양한 의미영역에 분포되면서 가치 평가에 있어서 문화 내적뿐만 아니라 문화간의 변이형을 잘 드러내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화 텍스트와 담화 상황이 집약되어 있는 구어체 텍스트의 생생한 자료를 바탕으로 은유의 의미적, 담화적 기능과 의미 작용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여 현대 러시아어 언어 현실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더불어 은유 텍스트 연구에서는 특정 문화 특정 맥락에 따라 변이형의 다양한 양상이 기대되므로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참작하여 언어적 은유의 문화적 변이형들을 분류하여 분석하고 고찰하게 될 것이다.
한글키워드
언어적 은유. 소통,문화적 변이형. 텍스트. 시적은유
영문키워드
Cultural Variants,Linguistic Metaphor,the Modern Russian Journalistic Text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지금까지의 은유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은유가 인간 사고의 비유적 기제로서 개념 영역으로 구조화 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은유의 구성 원리를 파악하는데 논의가 집중되어 왔다. 또한 전통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은유에 대한 논의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은유는 ...
지금까지의 은유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은유가 인간 사고의 비유적 기제로서 개념 영역으로 구조화 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은유의 구성 원리를 파악하는데 논의가 집중되어 왔다. 또한 전통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은유에 대한 논의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은유는 ‘정상적인’ 언어사용이라기보다는 일탈적인 장식적 기교로서 수사학에 속하는 문제로 다루어졌다. 개념적 은유설은 전통적인 이론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접근으로 은유를 특별한 소수의 전유물이 아닌 일상적인 삶의 언어의 문제로 전환시켰다. 다만 기존의 두 개념적 영역의 요소들 사이에 사상관계가 존재한다는 개념적 구성 원리의 한계는 즉흥적이고 참신한 은유들의 모호한 사상관계를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은유 이론에서는 은유를 크게 관습화된 은유와 시적 은유로 분류하고 시적인 은유만을 주된 연구 영역으로 보았다. 이에 비해 개념적 은유 이론(Lakoff 1993:202-251)에서는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관습적 은유에 시선을 돌려 인간의 본질적 사고방식과 인지 과정을 증명하는 개념화의 과정으로 도식화 하여 설명하고 있다. 동기화된 은유나 관습적 은유와는 달리 실제 소통 상황에서 즉흥적으로 발생하는 은유는 많은 경우 시적 기능을 추구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대응관계를 사상하기가 모호하며 매우 개별적이고 우인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규범으로 결속된 동일 언어-문화 공간에서의 언어주체들과 타 문화 공간의 언어 주체들 간에 동일한 실재에 부여하는 은유적 동기는 상이할 수도 있기에 더욱 어려움이 따른다. 즉,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 한 언어-문화권에서는 은유의 사상관계가 자연스러울 수 있지만 타 문화에서는(가령 한국어와 비교) 그 개념적 사상(寫像)이 매우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4)에서 걸레(тряпка)는 남성 대상어로서 ‘소심한 남자, 줏대 없거나 무기력한 남자, 결단력이 없는 남자, 적극성이 없는 남자’에 대한 은유이다. (5)에서 남성 대상어 염소(козёл)는 ‘파렴치한, 얼간이, 멍청이’의 은유이며 ‘남성적 매력을 상실한 남자’의 비유이다. 따라서 한 문화 공간에서 전형적인 개념 은유라할지라도 다른 언어-문화적 공간(가령, 한국어)에서는 중립적이고 무표적이다. 이 경우 은유와 환유가 인지론적 사상관계보다는 화용적으로 설명이 용이한 것은 문화적 선행구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1) Это идёт тебе. 이것은 너에게 간다=> 이것은 네게 어울린다. 2) «"Сливки" на десерт» "크림" 디저트 -> 팝그룹 ‘슬리브끼’ 옷을 벗다 3) Кукла:인형(꾸끌라) => 꼭두각시 4) Куколка: 인형의 지소형(꾸꼴까) => 인형 같은 소녀, 인형처럼 차려 입은 여자. 4) Он - тряпка. 그는 ‘걸레’다=> 그 남자는 공처가다 (*그녀는 걸레다 ) 5) Он козёл - 그는 ‘염소’다 => 그는 파렴치한이다 (*그녀는 암염소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화 텍스트와 담화 상황이 집약되어 있는 구어체 텍스트의 생생한 자료를 바탕으로 은유의 의미적, 담화적 기능과 의미 작용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여 현대 러시아어 언어 현실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현대 러시아의 대표적인 일간지나 각종 저널 텍스트를 구체적 자료로 하여 현대 러시아어에서 은유가 소통 과정에서 추구하는 목적과 기능, 그 문체적 효과들도 살펴 볼 것이다. 더불어 은유 텍스트 연구에서는 특정 문화, 특정 맥락에 따라 변이형의 다양한 양상이 기대되므로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참작하여 언어적 은유의 문화적 변이형들을 분류하여 고찰한다.
영문
This paper examines problems of the The Linguistic Metaphor and Cultural Variants in the Modern Russian Journalistic Texts. Traditionally metaphor was investigated as anomalous lingual phenomena in the rhetoric. Recent studies about the metaphor are ...
This paper examines problems of the The Linguistic Metaphor and Cultural Variants in the Modern Russian Journalistic Texts. Traditionally metaphor was investigated as anomalous lingual phenomena in the rhetoric. Recent studies about the metaphor are concentrated on the conceptual mechanisms as lingual human activity. Metaphor in the conceptional aspect is divided into the customary and the poetic. The first function of metaphor, by which we live, is achieved in our everyday circumstance. Another is occasional and creative function in the lingual activities. In different culture, the same reality can reflect entirely another semantic field, as resul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lingual personality of another society the metaphorical associations of which are presented differently. For example, in the Russian language the word тряпка[tr’apka] means 'rag' as metaphor for "wimp, spineless, weakwilled creature", that is used as the blaming or abusive word. Still another example, козёл means 'he-goat' as metaphor for "blockhead, obstinate, unpleasant man" as abusive word. Both these words in other lingual spaces (cf. in Korea) are absolutely another meaning or neutral and unmarked word. Thus, in this work are described the lingual tastes of contemporary russian colloquial speech, and their metaphorical functions in their unique culture. On the material of contemporary journalistic texts are analyzed the functions of metaphor and their stylistic effects in the communicative aspect. In each cultural context exist the special metaphorical variants, which are explained by cultural inter-textuality. Also, in our project are give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n the lingual tendency of usages of metaphor in contemporary Russian cultural context.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지금까지의 은유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은유가 인간 사고의 비유적 기제로서 개념 영역으로 구조화 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은유의 구성 원리를 파악하는데 논의가 집중되어 왔다. 또한 전통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은유에 대한 논의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은유는 ...
지금까지의 은유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은유가 인간 사고의 비유적 기제로서 개념 영역으로 구조화 될 수 있다는 입장에서 은유의 구성 원리를 파악하는데 논의가 집중되어 왔다. 또한 전통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은유에 대한 논의 이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은유는 ‘정상적인’ 언어사용이라기보다는 일탈적인 장식적 기교로서 수사학에 속하는 문제로 다루어졌다. 개념적 은유설은 전통적인 이론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접근으로 은유를 특별한 소수의 전유물이 아닌 일상적인 삶의 언어의 문제로 전환시켰다. 다만 기존의 두 개념적 영역의 요소들 사이에 사상관계가 존재한다는 개념적 구성 원리의 한계는 즉흥적이고 참신한 은유들의 모호한 사상관계를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은유 이론에서는 은유를 크게 관습화된 은유와 시적 은유로 분류하고 시적인 은유만을 주된 연구 영역으로 보았다. 이에 비해 개념적 은유 이론(Lakoff 1993:202-251)에서는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관습적 은유에 시선을 돌려 인간의 본질적 사고방식과 인지 과정을 증명하는 개념화의 과정으로 도식화 하여 설명하고 있다. 동기화된 은유나 관습적 은유와는 달리 실제 소통 상황에서 즉흥적으로 발생하는 은유는 많은 경우 시적 기능을 추구하기 때문에 전형적인 대응관계를 사상하기가 모호하며 매우 개별적이고 우인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규범으로 결속된 동일 언어-문화 공간에서의 언어주체들과 타 문화 공간의 언어 주체들 간에 동일한 실재에 부여하는 은유적 동기는 상이할 수도 있기에 더욱 어려움이 따른다. 즉, 동일한 대상에 대해서 한 언어-문화권에서는 은유의 사상관계가 자연스러울 수 있지만 타 문화에서는(가령 한국어와 비교) 그 개념적 사상(寫像)이 매우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4)에서 걸레(тряпка)는 남성 대상어로서 ‘소심한 남자, 줏대 없거나 무기력한 남자, 결단력이 없는 남자, 적극성이 없는 남자’에 대한 은유이다. (5)에서 남성 대상어 염소(козёл)는 ‘파렴치한, 얼간이, 멍청이’의 은유이며 ‘남성적 매력을 상실한 남자’의 비유이다. 따라서 한 문화 공간에서 전형적인 개념 은유라할지라도 다른 언어-문화적 공간(가령, 한국어)에서는 중립적이고 무표적이다. 이 경우 은유와 환유가 인지론적 사상관계보다는 화용적으로 설명이 용이한 것은 문화적 선행구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1) Это идёт тебе. 이것은 네게 어울린다. 2) «"Сливки" на десерт» (КП, 28.03.06). 크림 디저트 -> ‘슬리브끼(팝그룹) 옷을 벗다’ 3) Кукла: человек, слепо действующий по воле другого.(꼭두각시) 4) Куколка: Хорошенькая, нарядно одетая девочка, женщина. 인형 같은 소녀, 여자. 4) Он - тряпка 그 남자는 공처가다 (*Она - тряпка) 5) Он козёл - 그는 파렴치한이다(성적 무능력자이다). (*그는 염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발화 텍스트와 담화 상황이 집약되어 있는 구어체 텍스트의 생생한 자료를 바탕으로 은유의 의미적, 담화적 기능과 의미 작용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여 현대 러시아어 언어 현실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기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현대 러시아의 대표적인 일간지나 각종 저널 텍스트를 구체적 자료로 하여 현대 러시아어에서 은유가 소통 과정에서 추구하는 목적과 기능, 그 문체적 효과들도 살펴 볼 것이다. 더불어 은유 텍스트 연구에서는 특정 문화, 특정 맥락에 따라 변이형의 다양한 양상이 기대되므로 앞서 제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참작하여 언어적 은유의 문화적 변이형들을 분류하여 고찰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기존의 연구는 주로 비유(은유, 환유, 제유)의 이상적인 인지모델(ICM)을 제시하여 언어간의 개별 양상 보다는 동기화가 가능한 일반적 양상들을 중심으로 개념적 구성원리의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은유 모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문법적 교육에도 불구하 ...
기존의 연구는 주로 비유(은유, 환유, 제유)의 이상적인 인지모델(ICM)을 제시하여 언어간의 개별 양상 보다는 동기화가 가능한 일반적 양상들을 중심으로 개념적 구성원리의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은유 모델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문법적 교육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일상에서 선호되며 가장 대중적이고 가독성을 지닌 저널리즘 텍스트들을 은유 인지 모델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이론적 답습보다는 개별 양상들에 초점을 맞추어 러시아어에 고유한 은유적 인식과 의미작용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사적으로 명사부, 형용사부, 동사부의 3부류로 나누고, 근원영역의 주제어를 중심으로 세분하여 분류하고자 한다. 아래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동물(Бобла)은 화자의 심리적 정신적 세계를 투영하기도 하고(예1), 인간을 투영하기도 한다(예2). 따라서 일반적 범문화적 개념 은유들의 텍스트 내의 공통 변수들을 제시하기 보다는 근원영역에 속한 문화적 변이형들의 개별적 현상들을 선별하여 의미장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본다.
1) Были бы у меня такие скелеты, постыдилась бы я перед мужиками разнагишаться. Вобла - она и есть вобла. (И. Грекова. На испытаниях).
2) Тихо барахтается в тине сердца глупая вобла воображения (Маяковский).
I. 명사부 은유 I.1 근원영역- 인간 1.2. 근원영역 - 동물 I.3. 근원영역 - 자연(현상) I.4. 근원영역 - 사물(물리적 세계)
II. 형용사부 은유 II.1. 근원 영역 - 크기와 정도 II.2. 근원 영역 - 소리와 색채
III. 동사부 은유 III.1. 근원영역- 이동(가다) III.2. 근원영역- 소유와 섭취(먹다)
본 연구가 위와 같은 분류를 잠정적으로 규정한 것은 개념의 일반화와 추상화 과정에서는 근원영역=>목표영역으로 전이되는 범문화적이며 일반적인(가령 인간=>인간, 동물=>인간, 사물=>인간 등)예들은 논외로 두기 때문이다. 문화적 변이형들은 두 영역간의 사상(mapping)이 문화내적 코드 내에서만 작동하는 것이므로 경우의 수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근원영역의 의미장에서 출발하여 텍스트-사이성과 문화적 선행구조를 기반으로하는 고유한 개념 은유들을 고려하면서 연역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일반화에서 벗어나는 문화적 변이형들을 선별하고 분석하기에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분류는 잠정적인 것으로 좀더 세부적으로 수정,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와 활용 방안을 예상할 수 있다.
1.1. 언어 교육 분야에 기여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은 러시아어 문법 교육과 일반적 은유 인지 모델에 대한 지식에도 불구하고 내포된 사회-문화적 맥락을 읽지 못하기에 가장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저널리즘 텍스트의 해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1차적으로 은유의 의미적 담화적 기능과 의미 작용 양상을 고찰하고 분류해 보고 차후 빈도와 인지도 면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은유들을 중심으로 어휘 및 주제별로 분류하여 실제 담화에서 가깝게 접할 수 있는 고유한 러시아어 은유에 대한 이해를 도와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한다.
◈ 형태적 분류와 개념 구성 원리에 따른 다양한 은유의 실현 양상을 조망하여 실제 담화에서의 발신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 이해 능력을 고양한다.
◈ 전공자뿐만 아니라 러시아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개념 은유의 구성 체계의 이론적 학습에 부차적인 자료로서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다.
◈ 실용 러시아어 교재 및 고급 러시아어 작문 교재, 은유에 대한 학습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1.2. 이론 언어학에 기여
◈ 어휘-의미론 분야에서 은유에 근거한 의미 확장, 다의어, 동음이의어, 유의어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은유적 인식과 의미 작용의 이론적 체계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제시된 은유의 통사구조 유형은 러시아어 구문론 이해를 위한 이론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러시아어에서 은유의 대응관계의 동기화가 어려운 것은 언어-문화에 반영된 러시아인의 의식 구조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언어에 투사된 러시아인들의 세계상에 대한 실증적인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