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병학지남> 이판본의 계통과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兵學指南陸操諺解)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A00363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백두현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과제의 목적은 조선시대의 가장 중요한 병서이자 이판본이 가장 많은 책인 <병학지남>의 계통을 파악하여 이를 통해 신자료인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위상을 설정하고, 나아가 이 문헌의 국어사적 가치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초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병학지남> 이판본의 계통을 파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의 문헌학적 국어사적 가치를 규명하는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후자에 보다 무거운 비중을 둘 것이다.
    필자는 이 연구의 수행을 위해 각 대학 도서관 및 개인 소장의 <병학지남> 이본 104책의 소장 목록을 확인하였고, 지난 십여 년 동안 40책 이상의 이본들을 직접 실사하거나 복사하였다. 이러한 자료 수집 과정에서 <병학지남육조언해>라는 새로운 책을 입수하게 되었다.
    <병학지남>은 대부분 5권1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판본에는 권1만 언해된 것이거나 권1, 권2가 함께 언해된 것밖에 없었다. 나머지 권3, 권4, 권5는 언해된 판본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던 것이다. 권3은 <영진총도>(營陣總圖)로 52가지의 진법을 그림으로 그린 것이며 권4는 <영진총도>의 후속편으로 보병의 대오법, 수군의 작전법, 기마병 진법 등을 도판으로 그린 것이다. 권3과 권4의 내용은 모두 진도(陳圖) 등을 그린 도판으로 되어 있어서 언해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권5는 육상에서 행하는 진법 훈련이 주 내용이어서 언해의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병학지남>에서는 언해되지 않았다. 권5의 내용은 <장조정식>(場操程式), <성조정식>(城操程式), <수조정식>(水操程式)의 3개편으로 되어 있다. 이 3개편은 각각 육지에서 주야간에 진을 펼쳐 조련하는 법, 성에서 행하는 조련, 수상에서 행하는 조련 방법을 한문만으로 설명하는 내용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병학지남>의 수많은 판본에서 권5의 3개편이 언해된 것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필자가 본 연구 대상으로 삼은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는 권5의 <장조정식>과 <성조정식>의 2개편을 언해하여 별도의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병학지남육조언해>는 필자가 구득한 것이 유일본이 아닌가 짐작된다. 유일본이면서 최초로 발견된 이 책의 문헌학적 위상을 세워 그 속에서 이 책이 갖는 국어사적 가치를 밝히는 것이 본 과제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① <병학지남> 계통 설정을 통한 연구 기초 구축 : 본 과제의 결과로 밝혀질 <병학지남>의 전체 계통은 앞으로 병학서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다. 그동안 <병학지남>에 대한 본격적 연구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한 이유는 이 문헌의 이본이 워낙 많을 뿐 아니라 이본간의 관계가 제대로 정립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과제의 수행 결과로 산출될 <병학지남>의 계통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에 기여할 것이다.
    ② 국어사 연구를 위한 신자료 제공 : 본 과제를 통해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를 발굴 소개함으로써 국어사 연구에 새 자료를 추가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국어사 연구를 풍부히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필자는 이 연구 과제의 수행과 함께 <병학지남육조언해>를 영인본으로 출판할 계획이다. 이 영인본은 국어학자뿐 아니라 군사학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③ 조선시대 군사학 연구에 기여 : 조선시대의 가장 중요한 병서였고 이판본이 가장 많은 <병학지남>의 계통을 파악하고 이 계통 속에서 새로 발견된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성격을 구명하는 것은 조선시대 군사사 및 병학서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진법에 관한 내용이 매우 풍부한 <병학지남육조언해>는 조선시대 진법 연구에 중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④ 국어사 말뭉치 자료의 확충 : 본 연구 작업을 통해 <병학지남> 이판본 8책과 <병학지남육조언해>의 말뭉치 자료가 구축될 것이다. 이 말뭉치는 병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국어사 역사자료 말뭉치에 통합시켜 연구자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것이다.

    2) 사회적 기여도
    ① 조선시대 군사 훈련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를 확충함 : <병학지남>과 <병학지남육조언해>는 조선시대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된 군사 훈련 교범서이다. 본 과제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 사회의 군사 훈련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②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회 교육에 활용함 : <병학지남>과 <병학지남육조언해>의 내용은 문화콘텐츠 혹은 게임 개발의 원형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방법과 적의 성을 공격하고 아군의 성을 방어하는 방법 등이 이 책에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이야기 소재들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한국적 콘텐츠에 기반한 게임 개발 등의 현실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병학지남>은 조선시대의 대표적 병서이다. 이 책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군의 군사 훈련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던 교본이라 이판본도 가장 많은 국어사 자료 중의 하나이다. 필자가 본고에서 소개하고 논의하려는 <병학지남육조언해>는 권5의 <장조정식>과 <성조정식> 2개편을 언해하여 별도의 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필자는 선행 연구를 수용하고, 여기에 필자가 새롭게 수집한 이판본을 추가하여 <병학지남> 제 이본의 계통을 파악한 후,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가 이 계통 속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밝힐 것이다.
    아울러 <병학지남육조언해>와 <진법언해>의 상관성도 논구할 것이다. <진법언해>에는 <병학지남> 권5의 일부를 언해한 내용이 있기 때문에 두 책의 연관성을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이어서 이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의 국어 자료를 음운, 형태, 어휘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국어사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필자의 이러한 작업을 통해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위상을 <병학지남>의 이판본 전체 속에서 파악하여, 이 자료의 문헌학적 의의와 국어사적 가치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과제의 목표를 항목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병학지남> 이판본의 비교와 계통 수립 : <병학지남>의 많은 이판본 중에서 간기가 있는 것이 10개가 있고 간기가 없는 이본은 수집 중에 있다. 간기가 없는 이본은 서지적 특징과 언어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연대 비정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자료는 대부분 각 대학 도서관의 고서실이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필자가 이미 10여년에 걸쳐 수집한 수십여 권의 <병학지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수집해 온 책뿐만 아니라 필자의 연구 대상이 되는 <병학지남>의 여러 이본을 소장한 공공 도서관과 개인을 방문하여 원본의 주요 사항을 조사할 것이다.
    2) <병학지남> 말뭉치 구축 : 본 과제를 통해 <병학지남> 이판본 8책과 <병학지남육조언해>의 말뭉치 자료가 구축될 것이다. <병학지남> 이판본의 종수는 대체로 20개 정도가 되는데, 이 중에서 중요한 이본에 한정하여 입력할 것이다. 기존의 국어사 역사자료 말뭉치에 본 연구를 통해 생산된 말뭉치를 통합시켜 연구자 누구나 <병학지남>의 연구 결과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3) <병학지남육조언해>의 국어사적 가치 규명 : 음운변화, 문법형태, 어휘 등의 측면에세 이 문헌을 분석하여 이것이 갖는 국어사적 의미를 밝혀 낼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음운변화,이본,언해문,어휘변화,진법,국어사,병학지남육조언해,병학지남,군사학,진법언해,군사용어,형태서지,말뭉치,형태변화
  • 영문키워드
  • morpheme and its change,lexical change,phonological changes,military science,ByeongHakJiNam,Korean language history,Korean tanslation,ByeonghakJinamYukjoEonhae,disposition of troops,military term,corpus,different vers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병학지남>은 조선시대의 대표적 병서이며, 현재 전하는 이판본이 가장 많은 책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군사 훈련에서 쓰는 각종 신호, 군사 조련법, 진법과 도해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전투 훈련 교범서이며, 임진왜란 직후부터 조선군의 군사 훈련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 장병들의 필독서로 간주되었다.
    <병학지남육조언해>의 권말에는 ‘乙未’라는 간행 연도 표기가 있다. 이 책의 간년을 판단하기 위해 이 책과 합철된 <병학지남> 권5와 권4를 다른 판본의 권5, 권4와 서로 비교해 보았다. 15개의 이판본을 서로 비교해 보았으나 판식이 완전히 동일한 것은 없었다.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본 자료의 권5의 권말 판식과 가장 가까운 이판본은 필자가 소장하고 있는 무간기의 <병학지남>이었다. <병학지남육조언해>의 권말 간기 ‘乙未’년은 이 책의 판식과 다른 <병학지남> 판식의 비교 등을 통해서 대체로 1715년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음운현상을 분석한 결과 ㄷ구개음화 현상이 약간 나타나고 ㆍ의 초기 변화례들이 몇몇 발견되었으며, 순자음뒤 원순모음화 ㅡ>ㅜ 현상도 극히 미미하다. 이러한 음운변상 역시 이 문헌의 간년으로 추정된 18세기 초기(엄밀히 말한다면 1715년)에 걸맞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밖에도 본고에서는 <병학지남육조언해>가 담고 있는 어휘에 관해 특이어 및 군사용어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석해 제시하였다.
  • 영문
  • A Study on lineage of Byeonghak-jinam and a new Korean material Byeonghak-jinamYukjo-eonhae
    Paek, Doo-hyeon

    I tried to set up a lineage of different version of Byeonghak-jinam in this paper. This lineage is based on many editions of Korean translation on Byeonghak-jinam.
    1) a series of Hunguk edition : only vol. no.1 was translated in Korean.
    2) a series revised version by Choisuk : This lineage has another name Namwonyeong edition, and in this version vol.2 was translated in Korean by Choisuk.
    3) a series revised by King Jeongjo : The Korean translations in this version were revised by the King Jeongjo's command, and this version has a foreword wroted by King Jeongjo in the beginning pages.
    4) Byeonghak-jinam-jukjoeonhae of Daegujin edition : In this book the Chinese texts of Byeonghak-jinam vol. 5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hese contents of Byeonghak-jinam vol. 5 are on land training of army. This vol. 5 was translated into Korean for the first time.
    There is a publication record as 'eulmi'(乙未) year in the end of Byeonghak-jinam-jukjoeonhae. To decide on the publishing year of Byeonghak-jinam-jukjoeonhae, I compared vol. 4 and vol 5 of this book with those of other edition. I compared each other fifteen kinds of other edition, but I could't found the perfectly same edition. But I found a quite similar edition with vol. 5 of Byeonghak-jinam-jukjoeonhae. This is an unknown edition of Byeonghak-jinam owned by me. Unfortunately this edition has not a publication record too. On the basis of style of wood printing and linguistic features of Korean in Byeonghak-jinam-jukjoeonhae, I estimated the publishing year of Byeonghak-jinam-jukjoeonhae about early in the 18th century(strictly speaking A.D. 1715).
    I discovered some kind of phonological changes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text in Byeonghak-jinam-jukjoeonhae. I found a little t-palatalization(ㄷ>ㅈ) and some changs of ʌ(what we call 'Arae a') to ɨ(ㆍ>ㅡ), lip rounding of unrounded vowel after labial consonants(ex. 믈>물) so on. These phonological changes are correspond with phonological phenomena occurred during the early part of 18th century in Korean language history.
    Aadditionly, I analyzed lexical features appeared in Korean text of Byeonghak-jinam-jukjoeonhae, for exemple, military words and a rare words so 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우리는 <병학지남>의 이판본 계통을 언해 권책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세울 수 있다.
    1)훈국 구본 계열 : 권1만 언해되어 있다.
    2)최숙 개수본 계열 : 남원영판 계열로 최숙이 권2를 추가로 언해한 것이다.
    3)정조 개수본 계열 : 기존 이판본의 언해문을 개수하여 정본을 확정하였다. 정조의 서문이 권두에 있다.
    4)대구진판 육조언해 : 권5의 육조(陸操)를 언해함. 한문 본문에 한글 주음을 붙인 사서언해 방식(혹은 <십구사략언해> 방식)을 취하였다.

    1)훈국구본 계열은 훈련도감과 어영청 등의 장서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앙 군사 기관을 중심으로 활용되었음이 확실하다. 그러다가 1688년에 최숙이 충청도 병마절도사로 있으면서 권1의 번역문을 수정하고 권2를 추가 언해하여 남원영판 <병학지남>을 간행하였다. 남원영판을 저본으로 삼아 지방의 여러 진영에서 이판본을 간행하였다. 판식과 언해문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던 여러 이판본들은 정조의 어제 개수본이 나옴으로써 정본이 확립된다. 정조의 어필 서문이 붙은 정조 개수본도 권1과 권2만 언해되어 있다. 본고에서 소개한 <병학지남육조언해>는 5권 1책으로 구성된 <병학지남>의 권5를 언해한 새로운 자료이다.
    <병학지남육조언해>의 권말에는 ‘乙未’라는 간행 연도 표기가 있다. 이 책의 간년을 판단하기 위해 이 책과 합철된 <병학지남> 권5와 권4를 다른 판본의 권5, 권4와 서로 비교해 보았다. 15개의 이판본을 서로 비교해 보았으나 판식이 완전히 동일한 것은 없었다.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본 자료의 권5의 권말 판식과 가장 가까운 이판본은 필자가 소장하고 있는 무간기의 <병학지남>이었다. <병학지남육조언해>의 권말 간기 ‘乙未’년은 이 책의 판식과 다른 <병학지남> 판식의 비교 등을 통해서 대체로 1715년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음운현상을 분석한 결과 ㄷ구개음화 현상이 약간 나타나고 ㆍ의 초기 변화례들이 몇몇 발견되었으며, 순자음뒤 원순모음화 ㅡ>ㅜ 현상도 극히 미미하다. 이러한 음운변상 역시 이 문헌의 간년으로 추정된 18세기 초기(엄밀히 말한다면 1715년)에 걸맞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밖에도 본고에서는 <병학지남육조언해>가 담고 있는 어휘에 관해 특이어 및 군사용어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석해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과제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학지남 이판본의 계통은 기존의 연구 결과와 본 연구 결과를 통합해서 볼 때, 크게 훈국구본 계열, 최숙 개수본 계열, 정조 개수본 계열, 대구진판 육조언해의 네 계열로 세울 수 있다.
    2) 본 연구의 대상인 신자료 <병학지남 육조 언해>는 대구진에서 간행한 것이며, 지방 판본으로 추정되는 고본 <십구사략언해>(백두현‧김주원, 2003 참고)와 언해 형식과 판식이 비슷하다. 지방 판본에서 흔히 관찰되듯이 오각이 자주 발견된다. 또한 <병학지남>의 이본들이 많이 간행된 시기가 주로 18세기 전기에 집중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본 자료의 간년은 1715년일 가능성이 높다. 판심에 나타난 유문어미 및 삼엽화문어미의 불규칙한 출현은 17세기 후기와 18세기 초기의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3)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음운현상을 분석한 결과 ㄷ구개음화 현상이 약간 나타나고 ㆍ의 초기 변화례들이 몇몇 발견되었으며, 순자음뒤 원순모음화 ㅡ>ㅜ 현상도 극히 미미하다. 이러한 음운변상 역시 이 문헌의 간년으로 추정된 18세기 초기(엄밀히 말한다면 1715년)에 걸맞는 것이라 생각한다.
    4)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어휘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어휘가 국어사전과 고어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어휘로, 주로 군사 관련 어휘가 풍부한 편이다.

    본 과제의 연구 결과는 학문적, 사회적, 인력 양성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1) 학문적 기여도
    ① <병학지남> 계통 설정을 통한 연구 기초 구축 : 본 과제의 결과로 밝힌 <병학지남>의 전체 계통은 앞으로 병학서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다. 그동안 <병학지남>에 대한 본격적 연구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한 이유는 이 문헌의 이본이 워낙 많을 뿐 아니라 이본간의 관계가 제대로 정립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본 과제의 수행 결과로 산출한 <병학지남>의 계통은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에 기여할 것이다.
    ② 국어사 연구를 위한 신자료 제공 : 본 과제를 통해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를 발굴 소개함으로써 국어사 연구에 새 자료가 추가되었다. 이는 국어사 연구를 풍부히 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필자는 이 연구 과제의 수행과 함께 <병학지남육조언해>를 영인본으로 출판할 계획이다. 이 영인본은 국어학자뿐 아니라 군사학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③ 조선시대 군사학 연구에 기여 : 조선시대의 가장 중요한 병서이자 이판본이 가장 많은 <병학지남>의 계통을 파악하고, 이 계통 속에서 새로 발견된 <병학지남육조언해>의 성격을 구명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조선시대 군사사 및 병학서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특히 진법에 관한 내용이 매우 풍부한 <병학지남육조언해>는 조선시대 진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④ 국어사 말뭉치 자료의 확충 : 본 연구 작업을 통해 <병학지남> 이판본 8책과 <병학지남육조언해>의 말뭉치 자료가 구축되었다. 이 말뭉치는 병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이 자료를 기존의 국어사 역사자료 말뭉치에 통합시켜 연구자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것이다.

    2) 사회적 기여도
    ① 조선시대 군사 훈련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를 확충함 : <병학지남>과 <병학지남육조언해>는 조선시대에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된 군사 훈련 교범서이다. 본 과제의 연구 결과는 전통 사회의 군사 훈련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②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회 교육에 활용함 : <병학지남>과 <병학지남육조언해>의 내용은 문화 콘텐츠 혹은 게임 개발의 원형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방법과 적의 성을 공격하고 아군의 성을 방어하는 방법 등이 이 책에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이야기 소재들은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한국적 콘텐츠에 기반한 게임 개발 등의 현실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3) 인력 양성의 기여도
    ① 전통적 문헌 연구 방법과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을 익힌 인력 양성 : 본 과제를 수행하는 데 참여한 연구보조원은 옛 문헌을 조사하고 입력하면서 고문헌의 서지조사 방법을 배우고, 원전 자료를 입력 가공하며 검색기를 활용하는 방법을 배웠다. 즉, 국어사 연구의 전통적 문헌 조사법과, 컴퓨터 기반 말뭉치 구축 및 처리 방법을 함께 익힌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어사 연구와 현대 국어 정보 처리 기술 연구 방법을 함께 익힌 학문 후속세대는 앞으로의 국어사 및 우리말 연구의 핵심 인력이 될 것이다.
    ② 대학교육에 활용 : 대학과 대학원 교육에 본 과제의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본 과제를 통해 제공되는 옛 문헌의 조사법을 익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자료를 분석하는 힘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국문색인어 : 병학지남. 병학지남육조언해. 훈국본. 최숙본. 정조본. 음운변화. 특이어. 영문색인어 : Byeonghak-jinam. Byeonghak-jinamYukjoeonhae. Revised version. Hunguk edition. Choisuk edition. King Jeongjo. phonological change. singular word.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