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산스크리트 불전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언어학적 분석과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 팔천송반야경과 이만오천송반야경을 중심으로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A00280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3 년 (2009년 11월 01일 ~ 2012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전순환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대승불교의 반야사상을 담고 있는 반야경 가운데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의 초기 경전인 일명 소품반야경(小品般若經)의 팔천송반야경(八千頌般若經)과 일명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이만오천송반야경(二萬五千頌般若經)의 산스크리트 원전, Aṣṭ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와 Pañcaviṁśati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sūtra를 언어학의 총체적인 방법론, 즉 음운론적 · 형태론적 · 통사론적 · 의미론적으로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이를 바탕으로 산스크리트 불전의 올바른 번역 및 해석에 이르기 위해 필요한 형태소분석 정보, 어휘 정보, 의미번역 정보의 언어학적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언어학적 분석 이외의 또 따른 목표인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미래의 웹서비스 제공에서 매우 중요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관심을 두고 있는 세계의 모든 이에게 공개되고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산스크리트 언어학과 불교학에 관심을 갖게 될 미래 전문가의 후학들에게 연구의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파급 효과는 클 것이라고 판단해 본다.
    형태소분석 정보, 어휘 정보, 번역 정보의 세 가지 하위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웹서비스 외에도 불교학 관련 학술 연구뿐만 아니라, 대상 텍스트의 문법서 및 (어원론적) 사전 편찬 등을 위한 토대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파급 효과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사항들에서 그 기대효과를 예상한다.
    ① ‘팔천송반야경’과 ‘이만오천송반야경’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의 결과물은 학술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기존의 해석이 한역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산스크리트 텍스트의 해석은 불교학에 새로운 해석 또는 관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② 대상 텍스트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와 불교혼성 산스크리트) 문법의 성격과 그 섬세함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③ 언어학적 방법론은 특정 텍스트가 아닌 그 외의 모든 산스크리트 텍스트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불교 경전 연구에서 언어학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④ 언어학적 분석에 익숙해짐으로써 그 어떤 산스크리트 텍스트를 조우하더라도 기초적이면서도 근본적인 분석과 해석의 능력을 갖게 할 수 있다.
    ⑤ ‘팔천송반야경’과 ‘이만오천송반야경’과 같은 원전 텍스트의 실제적이고도 어원적인 의미를 밝힘으로써 불교학과 언어학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이끌 수 있다.
  • 연구요약
  • 세계적으로 불교학을 포함 여러 학문적 분야의 산스크리트 텍스트들이 언어학적 연구대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고, 또한 특정 분야를 떠나 정확한 텍스트 해석을 위해서는 언어학적 분석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언어학자들의 연구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실정이지만, 유독 불교 관련 산스크리트 텍스트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직까지 언어학적 분석의 손길이 거의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불경이라 하면 한역본들을 떠올리는 것이 현실이지만, 최근에 와서 이 불경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에, 이 언어로 쓰인 원전을 분석하려는 노력과 그에 따른 결과물이 종종 눈에 띄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분석은 아직까지 기초적인 문법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는 시작 단계이다. 본 과제가 산스크리트 불전, 특히 대승불교의 초기 경전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팔천송반야경’과 ‘이만오천송반야경’을 일련의 언어학적 방법론들과 그 각각에 따른 분석 과정으로 원전의 올바르고 정확한 의미 해석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이의 결과물이 한역본, 우리말역본, 기타 외국어역본 등에 대한 검증을 가능하게 하여 미래의 한국 불교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나아가 산스크리트 언어학과 불교학에 관심을 갖게 될 후학들에게 언어적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 한글키워드
  • 팔천송반야경,데이터베이스,형태론,산스크리트 불전,이만오천송반야경,대반야경,언어학
  • 영문키워드
  • Morphology,Daatabase,Astasāhasrikāprajñāpāramitāsūtra와 Pañcavimśati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sūtra를 언어학의,Sanskrit Buddist Tex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초기 경전인 소품반야경의 '팔천송반야경'과 대품반야경 '이만오천송반야경'의 산스크리트 원전 Astasahasrikaprajnaparamitasutra(Vaidya 1960)와 Pancavimsatisahasrikaparmitasutra(Kimura 2007/2009; Dutt 1934)를 음운론 / 형태론 / 통사론 / 의미론 등 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 가공하여 텍스트와 어휘에 대한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학적 가공은 크게 두 과정으로 '형태 가공'과 '의미 가공'으로 구성된다. 형태 가공은 '단어 뭉치 절단', '산디 표시', '표지 추출', '합성어 분리', '어간/접사/어근'을 대상으로 하는 형태소 추출의 분석 단계들로 구성되며, 의미 가공은 어근의 의미, 접사의 기능, 어간 및 합성어의 의미, (실사 및 동사) 표지 기능의 규정을 위한 분석 단계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가공과 분석 단계에서 얻어지는 결과들은 크게 '텍스트에 기반한 DB'와 '어휘에 기반한 DB'로 구축된다. 전자는 단어 뭉치가 절단되고 산디가 표시된 텍스트 DB이고, 후자는 AtoH 배열의 어휘 DB와 어원적 배열의 어휘 DB로 구성된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AtoH 배열의 어휘 DB에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각 단어가 산디 적용 이후와 이전의 형태, 동시에 형태론적으로 분석된 어형으로 제시된다는 점이다.
    산스크리트 불전을 디지털 DB로 구축한 후 그 다음 단계의 작업이 언어학적 가공과 그에 따른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인 동시에 필연적인 과제이다. 이는 미래의 웹서비스 제공에서 매우 중요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불전에 관심을 두고 있는 세계의 모든 사람에게 공개되고 자유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산스크리트 언어학과 불교학에 관심을 갖게 될 미래 전문가의 후학들에게 연구의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나 아가 불교학 관련 학술 연구 뿐만 아니라, 대상 텍스트의 문법서 및 (어원적) 사전 편찬에 대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이기 때문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at linguistically analyzing the two buddhist sanskrit texts, Astasahasrikaprajnaparamitasutra and Pancavimsatisahasrikaprajnaparamita, and constructing the database of grammatical infomation.
    Linguistic Process largely consists of morphological processing(MP) and semantic one(SP),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subsequent analytic steps. As for MP, it consits in turn the steps like Word-bundle Separating, Sandhi-clearing, Compound Segmentation, and Morpheme Ectracting. In the case of SP, there are the steps for defining of Meaning or Function of Roots, Affixes, Stem and Compound, Marker of declension and conjugation.
    Results from the respective process and steps are then constructed with Textual DB and Lexical DB. The latte is Textual DB with Word-Bundle Separating and Sandhi-clearing. The formal is divided in two classes, the one is Lexical DB with alphabetically arranged words, the other Lexical DB with etymologically arranged Words and its Grammatical Information about meaning, morpheme structure, grammatical catego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초기 경전인 소품반야경의 '팔천송반야경'과 대품반야경 '이만오천송반야경'의 산스크리트 원전 Astasahasrikaprajnaparamitasutra(Vaidya 1960)와 Pancavimsatisahasrikaparmitasutra(Kimura 2007/2009; Dutt 1934)를 음운론 / 형태론 / 통사론 / 의미론 등 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 가공하여 텍스트와 어휘에 대한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학적 가공은 크게 두 과정으로 '형태 가공'과 '의미 가공'으로 구성된다. 형태 가공은 '단어 뭉치 절단', '산디 표시', '표지 추출', '합성어 분리', '어간/접사/어근'을 대상으로 하는 형태소 추출의 분석 단계들로 구성되며, 의미 가공은 어근의 의미, 접사의 기능, 어간 및 합성어의 의미, (실사 및 동사) 표지 기능의 규정을 위한 분석 단계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가공과 분석 단계에서 얻어지는 결과들은 크게 '텍스트에 기반한 DB'와 '어휘에 기반한 DB'로 구축된다. 전자는 단어 뭉치가 절단되고 산디가 표시된 텍스트 DB이고, 후자는 AtoH 배열의 어휘 DB와 어원적 배열의 어휘 DB로 구성된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AtoH 배열의 어휘 DB에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각 단어가 산디 적용 이후와 이전의 형태, 동시에 형태론적으로 분석된 어형으로 제시된다는 점이다. AtoH 배열의 어휘 수는 약 25,800여개인데, 합성어들을 단일어간으로 분리하고 재배열시킨결과, 그 수는 17,300여개로 줄어든다. 더 나아가, 문제의 텍스트에서 찾아진 150여개의 어근들을 중심으로 어원적으로 배열시키면, 이 어근들 하에 약 12,000여개의 단어들이 종속되어 있다. 따라서, 연구 결과들 가운데 하나로 본 연구가 대상으로 하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어의 수는 실질적으로 5,500여개에 불과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산스크리트 불전을 디지털 DB로 구축한 후 그 다음 단계의 작업이 언어학적 가공과 그에 따른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인 동시에 필연적인 과제이다. 이는 미래의 웹서비스 제공에서 매우 중요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불전에 관심을 두고 있는 세계의 모든 사람에게 공개되고 자유로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산스크리트 언어학과 불교학에 관심을 갖게 될 미래 전문가의 후학들에게 연구의 토대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나 아가 불교학 관련 학술 연구 뿐만 아니라, 대상 텍스트의 문법서 및 (어원적) 사전 편찬에 대한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이기 때문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팔천송반야경'과 '이만오천송반야경'에 대한 언어학적 가공 및 분석, 그에 따른 문법정보 DB의 구축은 올바른 텍스트 번역으로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불교학에 새로운 해석 및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2) 대상 텍스트의 원어인 '정통 산스크리트' 및 '불교 혼성 산스크리트' 문법의 성격과 그 섬세함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줄 수 있다.
    3) 원전 텍스트의 실제적이고도 어원적인 의미를 밝혀 줌으로서 불교학과 언어학의 인터페이스를 꾀할 수 있게 해 준다.
    4)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TITUS와 같은 세계적인 전자불전프로젝트에서처럼, 웹서비스를 통해 세계 어느 곳이든 이 자료가 필요한 사람에게 이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팔천송반야경, 이만오천송반야경, 불교, 언어학, 형태론,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AtoH 배열의 어휘집, 어원적 배열의 어휘집.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