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도시공간의 문화정체성과 서사성 : 도시공간의 의미구조, 표상체계, 그리고 서사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A00303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2 년 (2008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오장근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과제는 한국 도시 공간이 창출하는 의미 구조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기초로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 공간의 표상체계와 서사구조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같은 작업은 21세기에 진입한 한국 주요 도시들의 문화정체성을 이해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한국 도시들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체계적이고 독창적인 내러티브 전략을 설계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과제는 기존의 사회과학적 방법이나 통계 자료에 기초한 계량적 방법이 아닌,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 기호학과 더불어 텍스트학, 미학 등의 인문학적 문화연구 방법론을 활용할 것이며, 또한 분석 도시들에 대한 직접적인 현장 방문을 통해 획득된 기초 자료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해 도시이미지가 창출하는 메시지의 텍스트 의미를 밝혀내고 도시언어의 표상체계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시도할 것이다.
    이처럼 한국의 주요 도시 공간에 대한 기호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상호 비교하는 연구는 단순한 공간위상적 비교를 넘어서서, 개별 공간들에서의 소통구조와 문화기호학적 포지셔닝 그리고 도시간 소통구조에 대한 새로운 접근가능성을 환기한다. 그런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선택된 한국의 4개 도시 공간(서울, 안동, 광주, 전주)은 연구의 단서를 제공하는 표본도시의 특성을 제시함은 물론이고 그 밖의 도시들을 세분된 방식으로 그리고 초지역적으로 고찰하는 원근법을 제공하는 출발도시가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과제의 기대효과는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와 인력양성 활용방안, 교육과의 연계 가능성 등 3가지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과제가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분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언어학의 분과 학문 속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오던 이론들과 방법론들 사이의 철저한 협동성을 지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학의 분과 이론들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넘어서 학문 상호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축하게 될 한국 도시 공간의 문화적 표상에 대한 도시 기호학적 패러다임은 향후 다양한 도시 문화 연구나 관련 연구에 적용되어 생산적인 연구 결과물을 산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가 취하게 될 통합적 방법론은 기존의 고답적이고 사변적인 문화 해석이나 순수 이론적 담론과는 달리 도시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이며 창의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언어학(특히 기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창발적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가 구축하고자 하는 통합적 방법론을 통해 제출될 ‘기호학 기반의 인문학적 정성평가 모델’은 ‘경제학적 브랜드 가치 지수 모델’로도 전환하여 도시 경쟁력 제고에 구체적인 지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문화적 차원의 도시브랜드 이미지는 사람들의 인지 및 심상과 관계되는 심미적 상징 가치로서 순수창작과 지식에 기반을 두는 고부가가치의 무형적 자산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갖는 사회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도시의 독창적인 문화이미지 정체성을 도출하는 본 연구 결과는 경제사회의 유형자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산업전반에 걸친 경쟁력 강화라는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연구결과의 모든 성과물을 구축한 DB는 일종의 ‘한국의 도시브랜드 뱅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산-학 연계차원에서 기업의 이미지전략수립, 브랜드가치설정, 마케팅 및 소비자 조사 등의 분야에서 매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국가 정책적 측면에서 볼 때도 본 연구과제는 한국의 도시 문화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에 중요한 방법론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사이트의 모니터링을 통해 한국 도시 관련 자료들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도시 이미지를 소개 및 재현하는데 본 연구과제의 방법론 및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2) 인력양성의 기대 효과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양성될 수 있는 인력의 유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본 연구과제는 한국 도시 공간에 대한 문화콘텐츠 자료를 비교, 대응할 수 있는 기초 콘텐츠 자료 분석 인력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인력은 문헌학이나 문화콘텐츠를 전공한 인력으로서 언어자료 및 시각자료를 수준별로 선정하거나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자료를 문화적 지식에 따라 분석할 수 있는 인력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과제는 기초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분석 연구할 때 필요한 액세스 및 각종 도구 사용 인력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선정된 자료를 분석할 때 자료의 수정과 관리가 용이하며, 분석 작업의 체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액세스(Access)와 같은 DB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셋째, 본 연구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은 무엇보다도 한국 도시 공간의 문화적 표상을 다양한 인문학적 방법론으로 읽어낼 수 있는 문화전문가 인력이다. 도시 공간의 기호체계와 이들이 창출해내는 내러티브를 분석하는 본 연구과제의 독창적인 도시 분석 방법론은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 훈련 프로그램을 구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본 연구가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과제는 한국 도시 공간의 문화적 전통과 현대적 의미를 도시 인문학의 시각에서 정립함으로써 한국의 도시 공간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귀중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문화 전문가 훈련 프로그램을 구상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대내외적으로 심포지움을 개최함은 물론 '인문학과 한국적 도시 문화 이미지’ 혹은 '도시브랜드 개발을 위한 인문학의 학제간 방법론' 등의 문화 전문 강좌를 대학에 개설할 수 있다.
    셋째, 교육적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도시 공간을 인문학적으로 해독할 수 있는 판독 능력을 배양하고, 재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과제는 2년간의 수행과제로 계획한다. 1차년도에는 연구 방향성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질적(기호학적)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 내 주요 4개 도시들의 의미 구조 및 이미지에 대한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각 도시들의 문화 가치표준을 도출한다. 이어 2차년도에는 1차년도에서 추출한 개별 도시들의 문화 가치 표준을 바탕으로 도시들의 차별화된 의미생성 메카니즘을 도출하고, 이를 한국의 도시문화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내러티브 전략을 마련한다.
    1. 제1 차년도 연구내용 : 한국 도시 공간의 문화 표상에 대한 자료 수집 및 기호학 기반의 해석
    본 연구과제의 대상으로 선택된 도시 공간은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브랜드인 서울과 조선시대 사대부 문화를 상징하는 경상북도 안동, 그리고 한국의 예술혼이 흐르는 광주와 천년의 멋과 미(美, 또는 味)를 지녀온 전라북도 전주이다. 이들 도시를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이들 도시가 얼(神/心), 꼴(形), 결(象/理), 멋(美/味/聖)으로 구성되는 한국 고유의 문화이미지 상징체계를 대표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박종천 2008 참고). 이때 도시텍스트 안동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선비문화로 이해되는 추상적이고 정신적 내용의 ‘얼을 표상하는 도시공간’으로서, 도시텍스트 서울은 한국 도시공간의 발전과 그늘의 모습을 공시적으로 구현해주는 ‘꼴을 표상하는 도시공간’으로서, 도시텍스트는 광주는 한국 대중문화의 대표적 속성인 흥(興)과 한(恨)의 추상적 이미지 또는 이러한 이미지들의 양태(pattern)를 상징하는 ‘결을 표상하는 도시공간’으로서, 그리고 도시텍스트는 전주는 한국의 맛의 이미지를 체현하고 도시의 역사성을 경험할 수 있는 실천적 감응이 수행되는 ‘멋을 표상하는 도시공간’으로서 선택되었다.
    따라서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본 연구과제가 수행할 1차년도의 연구내용은 이러한 도시들의 차별적인 문화 속성을 통해 해당 도시의 전통과 문화가 투영된 문화정체성과 표상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 수집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호학기반의 통합적인 분석이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자료수집의 대상은 해당 도시가 발간한 ‘홍보물ㆍ안내책자’, ‘미디어정보’, ‘8개 도시 웹사이트’, 해당 도시를 대상으로 한 ‘회화나 사진 등의 예술매체’와 ‘포스트 카드 등의 시각인쇄물’ 등인데, 이는 이러한 자료들이 특정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주요 채널들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과제에서는 기호학을 비롯한 텍스트학, 미학 등의 다양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기초자료를 심화 분석함으로써 4개 도시의 문화표상이 그려내는 의미 지형을 공시태적 관점에서 확인하고, 정성적 가치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단계에서 다루어질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공간의 텍스트 의미 구조와 기능 규명
    둘째, 도시 문화적 유산과 전통에 대한 문화사적 심층 분석
    셋째, 4개 도시의 문화이미지 지형을 파악하기 위한 기호학적 기저이분법 활용의 비교 문화론적 접근
    넷째, 도시이미지에 대한 미학적 분석

    2. 제2 차년도 연구내용 : 독창적인 한국의 도시문화 이미지 형상화를 위한 서사구조의 개발
    본 연구과제의 2차년도 수행 작업은 1차년도에 진행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 도시문화의 심층적인 코드를 이야기와 플롯의 형식으로 엮어내기 위한 서사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즉, 한국 도시민들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정박해 있는 지리적 공간 안에서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생성되는 다양한 의미들의 총체를 고유한 내러티브로 구성해낸다는 것이다.
    본 연구과제는 ‘과거와 현재’의 관계를 다양한 교차로에 위치시켜, 선대로부터 유산으로 물려받은 기억의 흔적과 표상이 어떻게 가동되고, 활성화되고, 재분배되어, 오늘의 도시를 이루게 되었는지 이해하고, 수 세기를 거쳐 이어져온 다양한 한국의 문화기호들에 의해 구성된 밀도 높은 직물로서의 도시구조를 진단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시는 하나의 방대한 건축물 그 자체로서 보다는 거주자들에 의해서 경험되고 지각되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도시민들로 하여금 도시의 형태를 만들고, 이를 인지하고, 그 정체성을 파악하게 해주는 코드와 규약은 도시의 존재 조건이 된다. 그러므로 한국의 도시 형태를 단순히 자연적인 환경으로서가 아니라, 도시 공간의 사용자인 거주민들이 공유하는 제도적인 상황에서 만들어진, 그리고 이들의 일상적 실천 속에서 경험되는 것으로 파악할 때, 진정한 한국의 도시문화 내러티브 텍스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한글키워드
  • 텍스트학,기호학,전주,서사구조,서사,문화정체성,도시 공간,광주,안동,서울,한국의 도시,의미구조,표상체계,표상,미학
  • 영문키워드
  • Urban space,Semiotics,Jeonju.,Gwangju,Andong,Seoul,Korean cities,Semantic structure,Representation system,Representation,Aesthetics,Text science,Narrative structure,Narrative,Cultural ident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과제는 ‘과거와 현재’의 관계를 다양한 교차로에 위치시켜, 선대로부터 유산으로 물려받은 기억의 흔적과 표상이 어떻게 가동되고, 활성화되고, 재분배되어, 오늘의 도시를 이루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고, 수 세기를 거쳐 이어져온 다양한 한국의 문화기호들에 의해 구성된 밀도 높은 직물로서의 도시구조를 서사구조의 형태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는 하나의 방대한 건축물 그 자체로서 보다는 거주자들에 의해서 경험되고 지각되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도시민들로 하여금 도시의 형태를 만들고, 이를 인지하고, 그 정체성을 파악하게 해주는 코드와 규약은 도시의 존재 조건이 된다. 그러므로 한국의 도시 형태를 단순히 자연적인 환경으로서가 아니라, 도시 공간의 사용자인 거주민들이 공유하는 제도적인 상황에서 만들어지고, 또한 이들의 일상적 실천 속에서 경험되는 것으로 파악할 때, 비로소 진정한 한국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과제는 이러한 도시공간의 서사구조와 문화적 정체성 파악을 토대로 도시공간이 어떻게 고유한 장소적 의미를 획득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기호학 기반의 통합적 서사구조 개발 표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년도 과제로 진행된 본 연구과제의 수행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1차년도 연구내용 : 한국 도시공간의 문화표상에 대한 자료 수집 및 기호학 기반의 해석.

    본 연구과제가 1차년도에 수행한 연구내용은 분석대상 도시들의 차별적인 문화 속성을 통해 해당 도시의 전통과 문화가 투영된 문화정체성과 표상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 수집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호학기반의 통합적인 분석이다. 본 연구과제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자료수집 대상은 해당 도시가 발간한 ‘홍보물ㆍ안내책자’, ‘미디어정보’, ‘8개 도시 웹사이트’, 해당 도시를 대상으로 한 ‘회화나 사진 등의 예술매체’와 ‘포스트 카드 등의 시각인쇄물’ 등인데, 이는 이러한 자료들이 특정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주요 채널들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1차년도의 주요 연구내용은 수집된 자료의 분류와 연구방법론의 적용에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연구과제는 서울의 청계천 공간을 실례로 하여 도시공간의 문화정체성과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다.

    2) 2차년도 연구내용 : 독창적인 한국의 도시문화 이미지 형상화를 위한 서사구조의 개발.

    본 연구과제의 2차년도 수행 작업은 1차년도에 진행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 도시문화의 심층적인 코드를 이야기와 플롯의 형식으로 엮어내기 위한 서사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즉, 한국 도시민들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정박해 있는 지리적 공간 안에서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생성되는 다양한 의미들의 총체를 고유한 내러티브로 구성해낸다는 것이다. 결국 본 연구과제의 2차년도 연구 내용은 1차년도에서 추출한 개별 도시들의 문화 가치 표준을 바탕으로 도시들의 차별화된 의미생성 메카니즘을 도출하고, 이를 한국의 도시문화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내러티브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과제는 한국의 대표적 도시공간 4곳(서울, 광주, 전주, 안동)을 선정해, 각각의 도시공간이 지니는 ‘서사구조(또는 서사성)’, ‘문화적 정체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 도시공간의 서사구조 개발을 위한 표준 모델'을 제안하였다.

  • 영문
  • In der vorliegenden Arbeit handelt es sich um die semiotisch grundliegenden interdisziplinaeren Untersuchung zum Auffassen der kulturellen Identitaet und Narrativitaet von Stadtraeumen 'Seoul', 'Gwuangju', 'Jeonju', 'Andong', wobei sich ihre eigenhaftige Kulturkoden und ihre Narrative-Strukture fokussieren lassen. Diese Arbeit, in der die Kulturrepraesentationen und Textstrukture der Stadtraemen ebenso wie die Stadt-Bedeutung, Stadt-Story, Stadt-Image mit Hilfe der semiotischen, aesthetischen, textwissenschaftlichen Analyse dargestellt werden, ist eine vorbildlich kulturwissenschaftliche Methodologie vorgezeigt, und dann von diesem Gesichtpunkt aus will sie den Stadtraum als ein textliches Gefuege auffasse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과제는 2년간의 수행과제로 진행되었다. 1차년도에는 연구 방향성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조사 결과를 기준으로 질적(기호학적) 분석을 적용하여 한국 내 주요 4개 도시들의 의미 구조 및 이미지에 대한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각 도시들의 문화 가치표준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과제는 1차적으로 분석대상인 4개 도시 공간(서울, 안동, 광주, 전주)의 문화적 표상에 대한 자료 수집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중 기호학 기반의 정성적 해석을 위해 서울의 대표적 상징 공간인 ‘청계천’을 선택하여 예시적으로 문화가치 표준을 도출하고 도시공간의 문화정체성과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과제가 서울의 청계천을 대상으로 수행한 1차년도의 연구내용은 도시의 차별적인 문화 속성을 통해 서울 청계천 공간의 전통과 문화가 투영된 문화정체성과 표상을 파악하기 위한 자료 수집과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호학기반의 통합적 분석이다. 이를 위해 요구되었던 자료수집의 범위는 서울시가 발간한 ‘홍보물ㆍ안내책자’, ‘미디어정보’, ‘웹사이트’, 청계천 공간을 대상으로 한 ‘회화나 사진 등의 예술매체’와 ‘포스트 카드 등의 시각인쇄물’ 등인데, 이는 이러한 자료들이 청계천 공간의 문화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주요 채널들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1차 연구과제의 단계에서 다루어진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공간 ‘서울 청계천’ 관련 자료 수집 및 텍스트 의미 구조와 기능 규명
    둘째, 도시 공간 ‘서울 청계천’ 관련 문화유산과 전통에 대한 문화사적 심층 분석
    셋째, 도시 공간 ‘서울 청계천’의 문화이미지 지형을 파악하기 위한 기호학적 기저 이분법 활용의 비교 문화론적 접근
    넷째, 도시 공간 ‘서울 청계천’의 이미지에 대한 미학적 분석

    또한 본 연구과제가 2차년도에 수행한 핵심내용은 한국의 도시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한 독창적인 서사구조 표준모델 개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1차년도에 진행한 자료수집과 분석을 토대로 하여, 한국 도시문화의 심층적인 코드를 이야기와 플롯의 형식으로 엮어내기 위한 서사성과 문화 정체성의 파악이 가능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즉, 한국 도시민들이 삶을 영위하기 위해 정박해 있는 지리적 공간 안에서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생성되는 다양한 의미들의 총체를 고유한 내러티브로 구성해내는 메커니즘을 도출해낸다는 것이다. 결국 본 연구과제의 2차년도 연구 내용은 1차년도에서 추출한 개별 도시들의 문화 가치 표준을 바탕으로 도시들의 차별화된 의미생성 메커니즘을 도출하고, 이를 한국의 도시문화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내러티브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2차년도의 연구 내용은 크게 ‘도시공간의 서사구조 파악’, ‘연구대상 공간인 서울, 안동, 광주, 전주의 문화적 정체성’, ‘한국 도시공간의 서사구조 개발을 위한 표준 모델 제안’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관심은 어떻게 도시의 표상이 의미를 구축하는지, 또는 어떻게 도시의 표상이 공통의 문화적 이해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내러티브 구조를 형성하는지에 있다. 표상은 하나의 체계/시스템으로서 대상 인식의 과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시 공간의 표상은 해당 문화 속에 지닌 개념과 아이디어 혹은 감정 등을 통해 나타내는 매체 중의 하나가 되므로, 다양한 도시의 표상은 차별화된 도시의 의미가 생산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이라 하겠다. 도시 공간의 기능적ㆍ경제적 해석이 아닌, 도시의 의미, 서사, 이미지 등 도시 공간의 텍스트 구조와 문화적 표상에 대한 기호학적 시각을 제시하며 도시 인문학의 전범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과제는 도시 공간을 텍스트적 의미구성체로 이해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유의미한 작업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의 활용계획은 크게 세 가지 방향, 즉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인력양성방안,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으로 나뉘어 기술될 수 있다.

    1) 연구결과의 학문적ㆍ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과제가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분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언어학의 분과 학문 속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오던 이론들과 방법론들 사이의 철저한 협동성을 지향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학의 분과 이론들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넘어서 학문 상호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구축하게 될 한국 도시 공간의 문화적 표상에 대한 도시 기호학적 패러다임은 향후 다양한 도시 문화 연구나 관련 연구에 적용되어 생산적인 연구 결과물을 산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가 취하게 될 통합적 방법론은 기존의 고답적이고 사변적인 문화 해석이나 순수 이론적 담론과는 달리 도시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이며 창의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언어학(특히 기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창발적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다.
    넷째, 본 연구가 구축하고자 하는 통합적 방법론을 통해 제출될 ‘기호학 기반의 인문학적 정성평가 모델’은 ‘경제학적 브랜드 가치 지수 모델’로도 전환하여 도시 경쟁력 제고에 구체적인 지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문화적 차원의 도시브랜드 이미지는 사람들의 인지 및 심상과 관계되는 심미적 상징 가치로서 순수창작과 지식에 기반을 두는 고부가가치의 무형적 자산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갖는 사회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도시의 독창적인 문화이미지 정체성을 도출하는 본 연구 결과는 경제사회의 유형자산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국가산업전반에 걸친 경쟁력 강화라는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연구결과의 모든 성과물을 구축한 DB는 일종의 ‘한국의 도시브랜드 뱅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산-학 연계차원에서 기업의 이미지전략수립, 브랜드가치설정, 마케팅 및 소비자 조사 등의 분야에서 매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셋째, 국가 정책적 측면에서 볼 때도 본 연구과제는 한국의 도시 문화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에 중요한 방법론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문화권에서 제공되는 인터넷 사이트의 모니터링을 통해 한국 도시 관련 자료들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도시 이미지를 소개 및 재현하는데 본 연구과제의 방법론 및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2) 인력양성 방안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양성될 수 있는 인력의 유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본 연구과제는 한국 도시 공간에 대한 문화콘텐츠 자료를 비교, 대응할 수 있는 기초 콘텐츠 자료 분석 인력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인력은 문헌학이나 문화콘텐츠를 전공한 인력으로서 언어자료 및 시각자료를 수준별로 선정하거나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자료를 문화적 지식에 따라 분석할 수 있는 인력을 말한다.
    둘째, 본 연구과제는 기초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분석 연구할 때 필요한 액세스 및 각종 도구 사용 인력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선정된 자료를 분석할 때 자료의 수정과 관리가 용이하며, 분석 작업의 체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액세스(Access)와 같은 DB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셋째, 본 연구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은 무엇보다도 한국 도시 공간의 문화적 표상을 다양한 인문학적 방법론으로 읽어낼 수 있는 문화전문가 인력이다. 도시 공간의 기호체계와 이들이 창출해내는 내러티브를 분석하는 본 연구과제의 독창적인 도시 분석 방법론은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구체적 훈련 프로그램을 구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가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과제는 한국 도시 공간의 문화적 전통과 현대적 의미를 도시 인문학의 시각에서 정립함으로써 한국의 도시 공간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귀중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문화 전문가 훈련 프로그램을 구상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대내외적으로 심포지움을 개최함은 물론 '인문학과 한국적 도시 문화 이미지’ 혹은 '도시브랜드 개발을 위한 인문학의 학제간 방법론' 등의 문화 전문 강좌를 대학에 개설할 수 있다.
    셋째, 교육적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도시 공간을 인문학적으로 해독할 수 있는 판독 능력을 배양하고, 재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다.
  • 색인어
  • 도시, 도시공간, 장소, 장소성, 도시문화, 도시이미지, 도시 정체성, 도시텍스트, 문화정체성, 서사구조, 도시의 서사, 도시공간의 서사구조, 문화코드, 도시공간의 의미구조, 표상체계, 기호학, 문화 인류학, 도시미학, 텍스트학, 서울, 안동, 광주, 전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