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직스트레스 분석과 스트레스 대안제시를 통한 효과적인 원어민강사 관리 방법 제안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A00694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종복
연구수행기관 목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에서 영어 원어민 보조교사 지원 사업은 1994년 7월 교육부의 중점 과제로 지정된 국제교육 추진 종합계획을 시작으로 1995년 5월 세계화 교육과 외국어 교육 강화를 위한 시도 교육청 사업으로 시작되었으며, 1999년 국립 초․중등학교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활용방안, 2005년 5월 영어교육 활성화 5개년 종합대책 등을 통해 지금까지 추진되어 오고 있다. 이렇게 시작된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사업은 2006년 국립 원어민 보조교사 초청․활용사업(English Program In Korea; EPIK)으로 초․중등 학생은 물론 교사의 영어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기여해오고 있다. 2006년 교육부가 내놓은 ‘영어교육혁신방안‘에 의하면, 영어원어민의 숫자를 2007년에 1,300명, 2008년 1,850명, 2009년 2,400명, 2010년에는 2,900명을 확보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의 출범에 앞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내놓은 ’영어공교육 완성 프로젝트‘에서도 지속적으로 영어원어민 보조교사의 채용을 전국 전체 초중고에 모두 배치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면 국공립 초중고에 배치된 원어민과 사설 교육기관 및 영어체험센터 등에 배치된 영어 원어민의 수는 실로 막대한 수에 이른다할 것이다.
    그러나 영어 원어민강사의 숫자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들 원어민강사를 활용한 영어교육이 영어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원어민강사를 효육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영어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 이들이 어린 영어학습자들의 인성과 사회적 태도 및 세계관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볼 때 원어민 교사에 대한 인적 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들 영어 원어민 교사들을 관리하는 전문적인 부서가 없으며 이들이 이 문화와 새로운 근무 환경 속에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는 그들의 교육과 연구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것은 곧 그들에게 우리가 요구하고 있는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이라고 하는 궁극적 목표의 달성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원어민강사 활용 영어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은 여러 가지이지만 이 연구에서는 원어민강사가 교직수행에서 느끼게 되는 심리적 스트레스와 스트레스의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러한 요인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여 원어민 교사에 대한 인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원어민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둘째, 설문조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원어민강사의 교직스트레스의 현황과 그 요인을 도출하고 셋째, 원어민강사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와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실제적(authentic)인 자료를 수집하여 교직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적절한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원어민강사의 교직스트레스 검증과 대안제시를 포함한 원어민강사에 대한 종합적 관리체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분야에 대한 기여

    지금까지 원어민강사를 활용한 교수-학습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어민강사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어려움을 어떻게 관리하여 원어민강사 활용 영어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고 있는 학술적인 가치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원어민강사의 교직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로써의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와 같이 다수의 외국인강사가 교육활동의 전면에 참여하고 있는 사례는 세계적으로 드물다. 이에,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연구에서도 원어민강사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한 결과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선행연구로써의 가치를 지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후속연구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한 원어민강사의 교직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요인 그리고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 제시는 향후 본 주제와 관련된 다양한 후속연구를 양산할 수 있는 학문적인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어교육분야를 넘어서 사회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촉발할 수 있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학문적인 연구의 결과가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원어민강사의 교직스트레스에 대한 대안과 이를 반영한 관리 방법은 원어민강사를 활용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사회의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공공기관, 대학, 일선학교뿐만 아니라 소규모 사업장에 이르기까지 원어민강사를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기관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영어교육 발전에 대한 기여

    원어민강사의 교직스트레스 현황 파악과 이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원어민강사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영어교육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다주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원어민강사를 활용한 영어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까지 원어민강사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교직 수행 활동에서 어떤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를 통해 원어민강사가 어떤 부분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어떻게 원어민강사가 교직수행활동에서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원어민강사를 활용한 영어교육을 내실화할 수 있을 것이다. 원어민강사가 효과적으로 학습자들을 지도할 수 있도록 관리함에 있어, 그들이 심리적으로 가지고 있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대안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원어민강사가 더욱 충실하게 교직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3. 사회적 기여

    사회적으로 원어민강사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면서, 원어민강사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이에, 우수한 원어민강사를 초청하는 일 못지않게, 현재 활동하고 있는 원어민강사를 어떻게 관리하여, 교수-학습활동의 효율성을 높일 것인지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어민강사가 자신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문제를 일으키게 될 경우, 관리자의 입장에서 입는 피해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 중 하나가 원어민강사가 어떤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제시한 결과를 통해 원어민강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영어교육 정책의 수립과 운영에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요약
  • 현재 영어 의사소통 향상을 목적으로 원어민강사를 활용한 영어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 원어민 화자가 겪게 되는 이 문화에서의 스트레스의 종류와 스트레스의 요인 등은 제대로 연구되어 있지 않으며 이러한 원인에 대한 적절한 처방이 없이 원어민 교사의 문제점들만을 주로 지적해온 점이 없지 않다. 영어 원어민 강사가 겪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우리의 영어교육 환경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연구한다. 1) 원어민강사의 스트레스는 교수-학습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요인을 파악하여 제거함으로써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2) 원어민강사 관리에 있어서도 원어민 강사가 받는 스트레스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파악하여 원어민 강사에 대한 인적 관리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한다. 3)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원어민강사가 갖는 스트레스와 그 요인을 파악하여 원어민강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자료수집과 분석 및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의 경향을 연구한다. 둘째, 원어민영어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원어민 영어강사에게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한다. 넷째, 원어민 강사 관리시스템의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고 연구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적절한 관리 시스템과 방안을 제안한다.
  • 한글키워드
  • 초등학교,한국영어교육프로그램,중등학교,원어민 보조교사,영어 원어민 강사,교직스트레스 요인,영어체험센터,영어마을,생활여건,수업환경,외국어 환경,외국어,제2언어,교직스트레스
  • 영문키워드
  • Native speaker,psychological stability,EPIK,native assistant teachers,English experiment centers,English village,reward and soocial security,teaching environment,ESL/EFL teacher,factors affecting stress of native English teachers,stres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영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이 강조되면서 영어교육 현장에 원어민 강사를 활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원어민 영어 보조교사 초청・활용사업’이라는 사업명으로 진행되고 있는 원어민 강사 활용 사업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력들을 영어 강사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 시점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상황은 원어민 강사를 활용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원어민 강사를 통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양질의 교사를 초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미 채용된 교사가 효과적으로 교수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원어민강사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부족한 점이 많으며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원어민강사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어떤 부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그리고 그 어려움의 원인과 대처 방법을 파악하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에, 원어민강사의 스트레스가 교수-학습활동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검증하는 연구 역시 부재한 상태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원어민강사의 교직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원어민강사가 어떤 원인으로 교직스트레스와 만족도를 느끼는지 그 이유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을 고려해 보았다. 1차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원어민 영어강사의 의견을 1차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교직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는 원어민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질적 설문조사를 통해 교직 수행에 있어서 원어민 강사들이 어떤 부분에 어려움을 느끼며, 어떤 부분에 만족을 느끼는지 그 이유를 심층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본 연구를 통해 원어민 강사의 스트레스 요인으로 ‘학습자’, ‘상급자’, ‘근무여건’, ‘동료교사’, ‘처우’, ‘육체적’ 그리고 ‘정신적’ 총 7가지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요인을 바탕으로 원어민 강사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본 결과 원어민강사는 교직스트레스는 보통 이하로 느끼고 있었고, 보통정도의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사항에 따른 스트레스와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력에 따라 처우와 육체적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처우와 육체적 스트레스 모두 학력이 높을수록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응답을 살펴보면, 나이가 적을수록 ‘상급자’, ‘육체적’, ‘정신적’ 요인의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전체 스트레스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기간의 경우,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학습자’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거주기간이 길수록 ‘처우’에 대한 스트레스 수치가 높았다.
    교직경력의 경우, 교직경력이 낮은수록 ‘학습자’,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전체 스트레스가 높았다. 임금요인에서는 임금이 적을수록 ‘육체적’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의 경우, ‘대학’, ‘초중등학교’ 그리고 ‘사설학원’을 기준으로 ANOVA 분석을 한 결과 ‘처우’ 요인에서 대학에서 근무하는 응답자 보다 사설학원에서 근무하는 응답자의 스트레스 수치가 더 높았다.
    주관식 설문을 통해 수집한 결과를 살펴보면, 원어민 강사들이 의사소통의 문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연장제를 불편해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직무 및 직장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적 차이를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우리에게는 익숙한 문화이지만, 원어민 강사들에게는 낮선 문화들이 그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상적인 문제에 있어서는 주거, 음식, 금융에 대한 문제들이 제시 되었는데, 특히 금융의 경우는 은행에 계좌를 만들고 은행을 원활히 이용하는 것이 원어민 강사들에게는 쉽지 않은 생활이라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원어민 강사가 원하는 지원에 대해서는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강좌를 많이 원했으며, 대부분의 원어민 강사가 영어교육에 있어서는 비전공자인 만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노하우를 알려주는 강좌에 대한 수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영문
  • As intern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have been carried out frequently, need for experts who can take part in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are increasing. To meet this, there is a huge interest in English education in Korea. To overcome the limits of Korean English environment and to increas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ies and efficiency in teaching English and American culture, inviting English natives as English teachers, is being widely implemented(Choi, 2008). Called as English Program in Korea(EPIK), the inviting native English teacher program began in 1992 with inviting 30 English natives and has expanded year by year.
    At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o raise efficiency of the program to meet two main purposes of Korean English education; increasing communicative ability and experiencing English and America culture. Main problems in running this program can be integrated into two points; how to secure quality of the native and how to manage invitees.
    To increase efficiency of the program, it is no less important to build a system which manages and cares native English teachers to do their roles sufficiently, than to employ well qualified natives. However, this issue is still overlooked now.
    This study set its focus on stress and satisfaction of native English teachers when they could feel in their teaching. Therefore, as one of the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English education inviting Native English teachers, this study focused on teaching stress and satisfaction by taking a survey toward 101 native English teachers who were gathered from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As the results, native English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elt least stress(2.22) and average satisfaction(3.39). Comparing teaching stress and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their background information, the higher teaching experience group felt less stress and the longer residence group felt more teaching satisfaction significantly. Based on opinions from open-ended questions asking problems which native English teachers face with in there teaching, the participants have several difficulties such as office hour, information notice, contract, sick leave, unstable rehiring, excessive regulation, and communication with Korean teac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urve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teaching stresses and teaching satisfaction from native English teachers. A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increasing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hese days, English education managed by inviting native English teachers becomes popular and spreads broadly.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how to increase efficiency of English education conducted by native English teachers. Therefore, as one of the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English education inviting Native English teachers, this study focused on teaching stress and satisfaction by taking a survey toward 101 native English teachers who were gathered from online and offline communities. As the results, native English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elt least stress(2.22) and average satisfaction(3.39). Comparing teaching stress and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their background information, the higher teaching experience group felt less stress and the longer residence group felt more teaching satisfaction significantly. Based on opinions from open-ended questions asking problems which native English teachers face with in there teaching, the participants have several difficulties such as office hour, information notice, contract, sick leave, unstable rehiring, excessive regulation, and communication with Korean teachers.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직 스트레스와 교직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10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원어민 영어교사의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의견을 수집하여 키워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교직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고 있으며(2.22), 교직 만족도는 보통 정도(3.39)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적사항에 따른 교직 스트레스 및 교직 만족도 추이를 살펴본 결과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경력이 적은 집단에 비해 교직 스트레스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그리고 거주기간이 길수록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교직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교직 스트레스의 추이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교직스트레스를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적을수록, 거주기간이 길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급여를 높게 받을수록 교직 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원어민 영어교사가 직무와 관련하여 겪고 있는 문제에 대해 의견을 수집해 본 결과 근무시간과 직무에 대한 정보제공, 계약, 병가, 불확실한 재임용, 통제, 한국 교사와의 의사소통 등의 문제에 직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대안 마련은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직 스트레스와 교직 만족도에 영향을 주며 나아가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 영어수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늘어날 것이며, 이에, 원어민 영어교사의 활용 영어수업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사례로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E-2비자 취득 자격요건 기존의 학사학위 이상 소유자에서 대학 2년 이상 이수자 혹은 전문대학 졸업자로 완화하는 지침을 발표하여 원활한 원어민 보조교사 수급을 위한 제도를 마련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점점 확산되는 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수적이다. 이에,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직 스트레스와 교직 만족도에 초점을 맞춘 본 연구의 결과가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 제도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색인어
  • Native English teacher, Teaching stress, Teaching satisfaction, 원어민 영어교사, 교직 스트레스, 교직 만족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