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언어학자들은 자국어의 언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반 언어학 이론을 응용하는 과정에서 명쾌하게 설명해내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자본위 이론이 출현하게 된다. 1991년 “語義句法芻議” 발표를 시작으로 “‘字’和漢語的句法結構”, “‘字’和漢語硏究的方法論”, “說‘字’” ...
중국 언어학자들은 자국어의 언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반 언어학 이론을 응용하는 과정에서 명쾌하게 설명해내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자본위 이론이 출현하게 된다. 1991년 “語義句法芻議” 발표를 시작으로 “‘字’和漢語的句法結構”, “‘字’和漢語硏究的方法論”, “說‘字’”, “‘字’和漢語語義句法的生成机制”등으로 이어진 서통장의 자본위에 대한 연구는 1994년 12월 중국해양대학에서 처음으로 字本位에 대한 학술토론를 개최하기에 이르렀고, 이제 중국어 연구에서 자본위론은 매우 중요한 방법론의 하나가 되었다고 보여진다. 자본위설 이론의 모티브는 중국어의 특징을 제대로 기술해낼 수 있는 이론을 찾는 데 있고 방법론은 Peirce의 모사성(iconisity)과 리거(motivations)를 기저로 삼고 있다. 자본위 이론의 핵심은 중국어의 기본단위는 “字”여야 하며, 한자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現成 특징과 심리현실성(mental reality) 을 가진다는 것이다. 徐通鏘(1994b:11)은 훈고학에서 주장하는 음에서 그 의미을 구하는 因聲求義나 그 형태에서 뜻을 파악하는 以形求義와 같은 방법론 또한 철저하게 모사성(iconisity)원칙을 준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다시 徐通鏘(1994b:11)은 중국어에서는 단어와 단어 조합의 경계선을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의 이론들을 가지고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는데, 이는 이제까지 연구들이 모두 인도유럽어에 기준한 시각에서 중국어를 연구해 온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것은 중국어 단어가 근본적으로 심리현실성 혹은 모사성이 없으므로 단어와 단어조합의 경계를 찾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한 것이었다는 것이다. 이렇듯 자본위는 외부적인 언어이론의 내부적 적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에서부터 기인한 것이다. 그리고 현재는 중국어 교육과 중국어 연구에서 매우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다. 특히 대외중국어 교육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하다. 형태와 통사에 있어서 이론적인 면의 보충은 말할 것도 없고, 교재의 편찬에 있어서도 훌륭한 성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한자에 비교적 익숙한 문화적 환경과 같이 한다. 만약 자본위적 인식과 이론 연구가 더욱 보완되고 응용될 수 있다면, 이는 학술적인 면뿐만 아니라 시간과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반가운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본위 이론에 대한 심층적인 배경 및 이론의 과학적 근거 등을 탐구하고, 또 현재 중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한자중심 교육의 실효성 등을 연구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가 계획대로 수행되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1. 중국어 연구자들에게 중국어의 본질적인 특징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 중국어 학습자들에게는 한자에 기초한 중국어 교육이라는 인식의 전환으로 좀 더 효과적인 교육이 ...
본 연구가 계획대로 수행되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예상된다.
1. 중국어 연구자들에게 중국어의 본질적인 특징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 중국어 학습자들에게는 한자에 기초한 중국어 교육이라는 인식의 전환으로 좀 더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한자 문화에 익숙한 학습자들에게는 더욱 효과가 있을 것이다. 3. 요즘 대학원에는 중국어 이론 연구보다 중국어 교육을 희망하는 학습자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교육내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현재 이론적으로도 많이 보완이 되어 있는 자본위 이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자본위가 중국어 현상을 이해하고 연구하고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당연히 다시 ...
본 연구는 현재 이론적으로도 많이 보완이 되어 있는 자본위 이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자본위가 중국어 현상을 이해하고 연구하고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당연히 다시 한 번 이론의 출현배경, 이론을 뒷받침하는 중심개념, 중국어 연구와 교육에의 응용 등의 관계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도 있는 검토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이론들로 어떤 중국어 현상을 설득력 있게 해석할 수 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중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이 이론을 응용하여 교재를 편찬하는지, 또 이론적 결함은 없는지 등도 연구할 것이다. 본인은 이미 중국어의 특성에서 한자와의 관련성에 기인하는 것이 많음을 여러차례의 논문을 통하여 밝힌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자본위 이론의 출현배경과 이론의 밑바탕에 깔린 주요 개념들에 대하여 심도있는 연구를 할 것이다. 주요 개념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임모성(모사성)과 리쥐성 중국어에 모사성의 특징은 중국어를 구성하는 각 층위에 모두 나타난다. 즉 한자 형태와 형태론적, 통사론적, 화용론적 특징에 모두 모사성의 특징이 보인다. 이는 중국어 연구에 있어서 자본위를 주장하는 강력한 증거가 되기도 한다. 그 때문에 본 연구는 모사성과 리쥐성의 개념에 대하여 그리고 중국어와 한자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2) 한자의 離散性(분절성)과 독립성 한자는 특히 결합능력과 독립성이 강하다. 예를 보자. 这样解释是误认仂语为句子形式。(왕력문집제9권:524)은 뜻인즉슨 '이렇게 이해하는 것은 구절을 문장으로 잘못 이해한 것이다'이다. 아마 ‘误认’과 같은 형태적 결합은 우리말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언어현상을 대량으로 찾아내어 정량화 할 것이다. ‘误认’에 보이는 두 개의 글자는 우리말로 하면 모두 음과 훈을 가지고 있는 독립성이 매우 강한 한 개의 글자이다. 중국어는 바로 이러한 한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들은 독립성과 분절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앞서 말했던 그들의 결합체 ‘误认’이 단어여야 되는지 혹은 단어들의 결합이어야 되는지 그 경계선이 모호하게 되는 것이다.
본연구는 또 상술한 개념들에 대한 철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중국어 연구와 교육에서 왜 이와 같은 개념어들이 중요하며, 그들을 이용하여 설명할 때 어떤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를 연구할 것이다. 초보적으로 자본위로 해석이 용이한 중국어 현상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这样解释是误认仂语为句子形式。(왕력문집제9권:524)은 뜻인즉슨 '이렇게 이해하는 것은 구절을 문장으로 잘못 이해한 것이다'이다. 아마 ‘误认’과 같은 형태적 결합은 우리말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언어현상을 대량으로 찾아내어 정량화 할 것이다. ‘误认’에 보이는 두 개의 글자는 우리말로 하면 모두 음과 훈을 가지고 있는 독립성이 매우 강한 한 개의 글자이다. 중국어는 바로 이러한 한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그들은 독립성과 분절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앞서 말했던 그들의 결합체 ‘误认’이 단어여야 되는지 혹은 단어들의 결합이어야 되는지 그 경계선이 모호하게 되는 것이다. 본인은 이러한 특징이 중국어가 단음절적 특징을 가지는 한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여주는 특징 중의 하나라고 본다. 사실 중국어 구절구조와 형태구조에서 보여주는 간략성은 중국어 연구자이면 누구나 동감하는 부분일 것이다. 그리고 그 간략성이 한자를 상용함에서 오는 특징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어 연구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역할에도 당연히 비중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문자와 언어를 설명하는 데서 이론적인 설명이 뒷받침이 있다는 전제하에서다. 자본위로 해석이 용이한 중국어 현상으로는 ‘사자성어’ ‘축약어’등에서 자주 보이고, 그리고 통사와 형태결합에서도 자주 나타난다.
본문은 자본위 이론에 대하여 그 출현 배경과 철학적 기초, 자본위와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과의 관계, 자본위 이론으로 실제 어떤 언어현상을 이해하고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에 대한 예시를 주로 다루었다.
(1) 자본위의 출현배경 중국어 연구에 있어서 ...
본문은 자본위 이론에 대하여 그 출현 배경과 철학적 기초, 자본위와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과의 관계, 자본위 이론으로 실제 어떤 언어현상을 이해하고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까에 대한 예시를 주로 다루었다.
(1) 자본위의 출현배경 중국어 연구에 있어서 字本位의 출현 배경은 세계 및 중국 언어학 연구의 흐름과 중국 언어학 연구자들의 연구관에 대한 自我 省察이란 두 가지 측면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로 언어학 연구의 흐름이다. 이 시기 이론 언어학 연구는 同質언어관에서 異質언어관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었다. 동질언어관이란 구조주의 언어학적 연구방법에 근간을 둔 언어관을 말하며 언어를 同質的, 정태적, 폐쇄(封閉, Closed)적, 線性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에 비하여 異質연구관 하에서는 랑그와 빠롤, 내부언어체계와 외부언어체계, 通時와 共時와의 관계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언어의 교제(交際, Comunication) 기능을 주로 연구하게 된다. 자본위는 이질언어관에 속한다. 둘째로 자아 성찰이란 측면이다. 중국 언어학은 馬氏文通 이래 줄곧 印歐語적 관점으로 중국어 사실을 묘사하고 분석하였다는 지적이다. 서통장은 중국어 연구에 있어서 단어와 구의 경계 확정 문제, 품사 확정 문제, 主賓語 문제, 단복문의 경계 확정 문제, 품사유형과 문장성분 간의 대응 문제 등에 있어서 끊이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본위적인 시각으로 중국어를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2) 자본위 속의 사상 字本位 사상의 형성은 서통장 자신의 前期 연구단계에서 역사언어학적 연구방법으로 언어구조의 성질을 탐구하였던 것에 기초한다. 원래 소쉬르 이래의 구조주의는 언어의 체계를 ‘계열과 배열(聚合과 組合,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relations)’ 관계에 기초하여 묘사하고 분석하였다. 그러나 서통장은 ‘계열과 배열’관계에 기초한 線性구조관을 탈피하고, 언어는 東西/古今과 共時/通時가 연계되며 설사 공시적 상태라 하더라고 다른 층위 간에 상호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근거하면 중국어 음절의 編碼 機制와 印歐語 음절의 編碼 機制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예를 들면 중국어에서는, "‘民’을 ‘人民’할 때 ‘民’이라고 할 수 있고 또 의미를 가지지만, 영어 ‘nationality’의 音素 ‘-al’을 "[-al]은 ‘nationality’의 [-al]"이라고는 하지 못하고 또한 의미도 가지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編碼 機制가 다르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3) 語義型 언어와 形態型언어
a. 他很高興地玩兒。 He is playing very happily. b. 他玩兒得很高興。 He is very happy from playing.
위의 두 문장은 중국어의 사건서술은 시간의 순서와 대응이 됨을 잘 보여준다. (3)에는 ‘高興’과 ‘玩’이란 두 설명어가 있는데, a의 경우는 ‘高興’한 상태가 먼저이고, b의 경우는 ‘玩’이란 사건이 먼저이다. 즉, a는 ‘마음이 즐거워서 재미있게 놀았다’이고, b는 ‘놀다보니 즐거워졌다는 것이다.’ a와 b의 이러한 編碼 체계의 차이가 바로 서통장이 주장하는 語義型 언어와 形態型 두 종류의 유형상의 분류를 낳게 되는 것이다.
(4) 연구와 교육에의 응용 본문에서는 몇 가지 실 예를 들어 중국어 교육에 자본위가 적용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영문
The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a Theory of Character-Unit
This thesis describes the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a theory of character-unit. Chinese linguists could not clearly describe much portion of the linguistic phenomenon in the pr ...
The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a Theory of Character-Unit
This thesis describes the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a theory of character-unit. Chinese linguists could not clearly describe much portion of the linguistic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applying a general linguistic theory. In this situation, the theory of character-unit has appeared. The methodology of the theory character-unit is based on the iconicity and the motivations of Pierce. The core of the theory of character-unit is that the basic unit of the Chinese language should be "a character". The Chinese character has a mental reality that whoever uses the Chinese language can recognize with their eyes. This thesis describes the usefulness of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character-unit in the study of Chinese language in consideration of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language. Typologically, the languages of India and Europe belong to a morphology-based language, but the Chinese language belongs to a semantic-based language. The semantic-based language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parataxis in mixing of language units. This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language proves that the efficiency of the application of a theory of character-unit is very high.
중국 언어학자들은 자국어의 언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반 언어학 이론을 응용하는 과정에서 명쾌하게 설명해내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고 바로 이런 상황에서 자본위 이론이 출현하게 된다. 자본위설 이론의 모티브는 중국어의 특징을 제대로 기술해낼 수 있는 이론을 ...
중국 언어학자들은 자국어의 언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반 언어학 이론을 응용하는 과정에서 명쾌하게 설명해내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고 바로 이런 상황에서 자본위 이론이 출현하게 된다. 자본위설 이론의 모티브는 중국어의 특징을 제대로 기술해낼 수 있는 이론을 찾는 데 있고 방법론은 Peirce의 모사성(iconisity)과 리거(motivations)를 기저로 삼고 있다. 자본위 이론의 핵심은 중국어의 기본단위는 "字"여야 하며, 한자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눈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現成 특징과 심리현실성(mental reality)을 가지는 것을 강조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문은 자본위설의 철학적 배경과 이론적 합리성 등을 근거로 자본위 이론을 이용하는 중국어 연구의 가능성을 논의하였고, 구체적인 언어현상들을 예로 들어 중국어 교육에서의 활용방안을 예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중국어 연구자들에게는 중국어의 본질적인 특징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중국어 학습자들(특히 우리나라처럼 한자 문화에 익숙한 학습자)에게는 한자와 중국어의 관계적 특수성을 인식시켜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부연하면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다.
(1) 중국어 연구 방법론: 中國語의 特徵에 대한 이해에 기초한 言語(중국어)類型論으로의 새로운 접근을 하게 될 것이다. 이제까지 자본위에 대하여는 문자와 언어라는 결코 한 층위선상에 두기 어려운 두 범주의 결합 때문이었으나, 만약 중국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교육하는데 실제로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면 이 또한 긍정적인 자세를 더욱 발전시키려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자본위(zi-based)라는 언어연구 단위가 극복이 너무 어렵다면 혹은 자중심(zi-centerd) 연구로 사고를 전환하여 긍정적으로 확대 발전시키고 중국어와 한자의 교육에 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2) 중국어 교육 방법론: 王若江(2000)와 張朋朋(1992)은 가장 적극적으로 자본위를 이용한 대외중국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이유는 ‘자본위’ 이론이 중국어의 본질적인 특징에 가장 부합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이론으로 중국어의 한자, 형태결합, 구절구조의 통사적 특징에 대한 설명에 응용하면 도움이 매우 크다는 것이다. 특히 한자의 형태에 보이는 리쥐(理據)성 성질과 통사와 의미에서 보이는 모사적 특징은 한자의 기억과 중국어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