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8-327-B00869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1 년 (2008년 11월 01일 ~ 2009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후석
연구수행기관 한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첫째, 지역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둘째, 수도권의 경기도를 사례로 시, 군별 관광산업 지역혁신역량을 점검하고 비교분석하여 이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대안 제시하는데 있다.
    셋째, 한국의 관광산업에 대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지표와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지수 개발 및 활용을 통해 관광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
    - 지역의 관광자원에 대한 새로운 평가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의 혁신을 위한 효율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2) 지역 연구에 대하여 학제적으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이 분야 선진국(유럽, 미국 등)의 학제적 수준의 catching-up 경로 확대
    - 우리나라 지역개발에 대한 총괄적인 접근은 바로 이 연구를 통해서 현재보다 더 연구역량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3) 지역혁신역량지수개발 방법론은 타 학문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매우 높아 향후 인접학문간 다양한 연구 성과 확대에 기여
    - 관광학, 지리학, 경제학, 행정학 등 의사결정과 평가와 관련된 제반 분야에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 연구요약
  • 국가경쟁력 확보 및 지역혁신에 대한 주체로서 관광산업이 그 역할을 제대로 담당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광산업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데, 이것을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체계라고 정의한다.
    현대의 관광산업은 더 이상 산업 그 자체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정체성과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지역혁신역량을 강화시키는 혁신의 산업으로 그 성격이 변모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 비중이 낮은 지역에서는 관광산업이 전략산업이자 기반산업으로 삼고자 한다. 따라서 관광산업의 육성전략을 어떻게 수립하느냐에 따라 지역의 위상이 달라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연구의 연구 분석의 틀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관광산업이 미래 지역의 핵심 산업으로서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재 이 지역들 관광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원인을 밝혀보고 적절한 대안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체계를 비롯한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정책, 관광동향, 관광성과 등의 관련문헌 및 자료를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계층화된 지표체계가 필요한데, 이것을 위해 사례지역 관광의 문제점들을 나열하고 그룹화하여, 일반 지역혁신체계 이론에 적용시킨 뒤, 사례지역 관광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항목들로 구성할 것이다.
    셋째, 위에서 도출된 최상위 항목을 기준으로 각 부문에 해당하는 하위항목을 선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두 차례의 설문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1차 설문조사는 문헌조사 결과 수집된 자료들에 대한 지표역할의 가능성을 검증하는 단계이며, 2차 설문조사는 1차 설문조사 결과 추출된 지표 간 가중치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중요도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개발된 지역 관광산업의 RIS 구축지표는 이 지역들 관광산업의 구조적 문제점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도구로서 활용가능하며, 이러한 과학적 분석결과는 지역 관광정책 및 관광계획에 반영되어, 관광산업이 지역혁신을 위한 핵심 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글키워드
  • 관광산업,지역혁신역량(지수),혁신주체,혁신의지,혁신컨텐츠,지속가능한 개발,네트웤,지역혁신체계
  • 영문키워드
  • Sustainable Development,Tourism Industry,Regional Innovation Capacity(Index),RIS,Innovation Mind,Innovation Environments,Network,Innovation Contents,Innovation Main Groups,AHP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평가요인 중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측정한 결과 나타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표에 대한 <계층 2>의 평가요인별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문화매력물’이 가장 중요한 요인을 나타났다. 다음으로 ‘홍보/안내’, ‘레크리에이션’, ‘접근성’, ‘관광지’, ‘관광객/수입’, ‘예산/인센티브’, ‘인적자원’, ‘회의/전시’, ‘숙박/여행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이 접근성과 관광기반시설 및 인적자원도 중요하지만 현실적인 관광산업 역량측면에서는 관광자원적 요소들(문화매력물, 레크리에이션, 관광지 등)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것은 관광산업 혁신역량으로서 관광객 흡인요소들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혁신역량 지수에 대한 <계층 3>의 평가항목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문화매력물’에서는 축제 개최 건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되었으며, ‘홍보/안내’ 영역에서는 관광안내소수 비율, ‘레크리에이션’ 영역에서는 스키장 슬로프수 비율, ‘접근성’ 영역에서는 공항이용객수 비율, ‘관광지’ 영역은 관광특구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관광객/수입’ 영역에서는 관광객 평균 증가율, ‘예산/인센티브’ 영역은 관광부문 예산 비율, ‘인적자원’ 영역에서는 서비스업 중 관광산업 종사자수 비율, ‘회의/전시’ 영역은 국제회의 개최건수 비율, ‘숙박/여행업’에서는 특급호텔 객실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중요도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관광산업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채택하여 지역혁신체재를 구축할 때 위에 제시된 지표들을 우선적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셋째,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각각의 가중치를 강원도와 전라북도의 관광산업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강원도의 관광산업 지역혁신역량 지수가 전라북도의 지역혁신역량 지수보다 높게 도출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of tourism industry of two provinces: GangWonDo and JeollaBukDo, Korea.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used to develop the measure of the capa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60 tourism specialists including tourism practitioners, administrators and academics.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attraction appeared to b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innovation capacity measur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numbers of tourism information centers, the numbers of festival events, and the numbers of airport users were also important criteria of the innovation capacity. Furthermore, results demonstrated that sregional innovation capacity index of GangWonDo tourism industry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JeollaBukDo tourism indust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regional innovation capacity of tourism industry of two provinces: GangWonDo and JeollaBukDo, Korea.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used to develop the measure of the capa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60 tourism specialists including tourism practitioners, administrators and academics.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attraction appeared to b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innovation capacity measur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numbers of tourism information centers, the numbers of festival events, and the numbers of airport users were also important criteria of the innovation capacity. Furthermore, results demonstrated that sregional innovation capacity index of GangWonDo tourism industry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at of JeollaBukDo tourism industry.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강원도와 전라북도의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AHP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목표에 따라 세부 평가항목의 합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일관성지수가 0.1이하로 나타난 표본은 39매였다. 이는 평가에 참여한 전문가 중 65.0%가 일관성 있는 답변을 했음을 의미한다.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평가요인 중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측정한 결과 나타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표에 대한 <계층 2>의 평가요인별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문화매력물’이 가장 중요한 요인을 나타났다. 다음으로 ‘홍보/안내’, ‘레크리에이션’, ‘접근성’, ‘관광지’, ‘관광객/수입’, ‘예산/인센티브’, ‘인적자원’, ‘회의/전시’, ‘숙박/여행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이 접근성과 관광기반시설 및 인적자원도 중요하지만 현실적인 관광산업 역량측면에서는 관광자원적 요소들(문화매력물, 레크리에이션, 관광지 등)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것은 관광산업 혁신역량으로서 관광객 흡인요소들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혁신역량 지수에 대한 <계층 3>의 평가항목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문화매력물’에서는 축제 개최 건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되었으며, ‘홍보/안내’ 영역에서는 관광안내소수 비율, ‘레크리에이션’ 영역에서는 스키장 슬로프수 비율, ‘접근성’ 영역에서는 공항이용객수 비율, ‘관광지’ 영역은 관광특구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다고 평가되었다. 또한, ‘관광객/수입’ 영역에서는 관광객 평균 증가율, ‘예산/인센티브’ 영역은 관광부문 예산 비율, ‘인적자원’ 영역에서는 서비스업 중 관광산업 종사자수 비율, ‘회의/전시’ 영역은 국제회의 개최건수 비율, ‘숙박/여행업’에서는 특급호텔 객실수 비율이 상대적으로 중요도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관광산업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채택하여 지역혁신체재를 구축할 때 위에 제시된 지표들을 우선적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셋째,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각각의 가중치를 강원도와 전라북도의 관광산업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강원도의 관광산업 지역혁신역량 지수가 전라북도의 지역혁신역량 지수보다 높게 도출되었다.
    지역균형발전을 통한 지역혁신은 모든 지역에 대해 자원의 균등한 배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마다 비교우위가 있는 부분에 대한 특화와 경쟁을 의미하는 것이며, 모든 지역들이 선택과 집중을 통해 경쟁력 있는 산업을 육성시켜 특성화된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관광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채택한 지역마다 관광산업 지역혁신역량 지수가 나타내는 발전 정도와 경쟁력 즉 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혁신역량을 얼마나 육성하고 결집시키는가에 따라 그 성공여부가 크게 좌우될 것이다.
    따라서 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수의 강화를 통해 관광산업의 특성화 목표를 보다 원활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혁신자원의 수를 늘리기 보다는 지방이 보유하고 있는 기존의 혁신자원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그것이 지역의 혁신활동이나 노력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혁신성과로 나타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같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산출된 혁신역량지수 모델은 전국을 망라하는 광역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산업 지역혁신역량을 비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관광산업의 지역혁신역량 지수(Regional innovation capacity index of the tourism industry), 강원도(Gangwondo),전라북도(Jeollabukdo)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