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방정부의 학습조직적 특성과 공공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효율성과 공공성의 딜레마 극복을 위하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A-B00236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정무권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40;미래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조창현(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최무현(상지대학교)
한상일(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지방정부의 학습조직화를 통한 효율성과 공공성의 조화

    최근 글로벌 경제구조의 심화, 지식기반사회로의 이행, 저출산․고령사회로의 진입 등 급격한 환경변화와 도전들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새로운 역할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해 효율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강화시킬 수 있는 정부의 역량 강화가 공공부문의 개혁에서 매우 중요한 시대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가 실시 된지 1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중앙과 지방, 그리고 지방 간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장한 지역주의는 점점 심화되고 통합적이며 균형적인 국가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제는 중앙정부에 의존적인 지방행정이 아니라 지방정부의 자발적이며 창의적인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의 자주적인 발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진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최근에 글로벌 경제구조와 지식기반사회에 대안적인 조직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의 논리를 지방정부에 적용함으로써 실질적이며 지속가능한 역량강화(sustainable competency development model)'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첫째로 지방정부의 학습조직적 특성을 분석하여 지방정부의 학습조직화의 가능성과 이를 위한 조직변화의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진은 그동안 공공부문의 조직들을 학습조직화 하는 '학습정부(learning government)'의 모델이 미래의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효율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담보할 수 있는 조직모델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해 왔다. 이런 과정에서 본 연구진이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비교연구를 통해서 공공조직의 학습조직 연구에 대한 보편성과 특수성의 비교연구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둘째는 공공조직의 성과를 효율성과 공공성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도록 공공성과(public performance)라는 새로운 개념 하에 공공성 성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동안 행정학계에서는 공공성에 대한 개념화와 공공성을 어떻게 성과에 연계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이론화에 대한 논의가 적었다. 이를 경험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이 어렵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노력이 사실상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서구의 행정학계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최근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의 행정학계에서도 공공성, 공공의 가치, 민주적 행정과 책임성을 강조하는 연구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에게도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 학습조직의 한일 비교: 실증적이며 이론적 차원의 비교연구 시도
    일본은 이웃 국가이면서 과거의 식민지 경험을 통해 국가 행정체제나 지방행정체제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또한 그동안 유사한 문제해결을 위해 새로운 제도나 정책의 도입을 위해 일본의 제도와 정책들을 많이 도입했었다. 그동안의 행정학계에서의 한일 비교연구는 대부분 형식적 제도차원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하거나 문제해결을 위한 제도 또는 정책의 도입을 위한 서술적 차원의 제도비교연구가 많았었다. 반면에 정부조직차원에서의 미시적인 조직 차원에서 조직의 행태와 행동 메카니즘을 학술적으로 연구하는 실증적인 비교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본도 역시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정부의 학습조직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들이 학습조직화를 통한 상시적이며 지속가능한 혁신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보편적인 학습조직의 특정도구로서 DLOQ와 본 연구진이 개발한 공공성과측정도구를 가지고 미시적인 조직차원에서의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의 학습조직적 특성과 그 성과를 측정하는 비교연구를 한국과 일본을 보다 잘 이해하고 이론의 보편화를 검증해보는데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1) 학습조직연구의 이론적, 실증적 기반을 제공

    최근 학계에서는 학습조직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체계적인 이론화와 객관적 측정도구를 가지고 보다 보편화를 추구하는 연구가 부족하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전략으로서 학습조직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다양한 목적과 존재양식을 가지고 있는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포괄적인 연구가 없다.
    본 연구진은 DLOQ라는 분석도구를 가지고 중앙정부기관을 조사 분석했으며, 현재 준정부기관을 수행 중이다. 이어서 본 연구진이 지방정부에 대하여 학습조직적 특징을 분석하고 한일 비교까지 시도 한다면 학습조직 연구, 특히 행정학계의 공공조직에 대한 학습조직 연구에 이론적, 실증적 기반을 제공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2) 공공조직에 효율성과 공공성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성과 지표 개발

    지금까지는 공공조직이 성과평가에도 민간조직과 유사하게 효율성 중심으로 재정성과나 생산성 중심으로 성과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효율성과 공공성은 상호 상충관계에 있다는 관념이 지배적이었다. 공공조직이 공공성을 위해 존재한다는 문제의식은 있지만, 실제로 이론적 논쟁과 이를 측정하기 위한 노력이 서양 및 우리 학계에서도 부족했다. 이를 위해 최근에 공공성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증가하고 이론화와 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본 연구는 효율성과 공공성 추구가 상호 딜레마 관계에 있다는 관념을 극복하고 이를 통합하여 공공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개발을 시도함으로써, 행정학계에 공공성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3) 지방정부의 학습조직화를 위한 처방모형 개발

    지방정부의 학습조직적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DLOQ를 통한 조사분석과 심층적인 사례연구, 그리고 한일비교연구를 통해 우리의 지방정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습조직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역량강화를 시스템화 할 수 있는 처방모형의 개발에 기여 할 것이다.

    (4) 한일 비교연구를 통해 동아시아적 맥락을 고려할 수 있는 학습조직이론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해

    한일 비교연구는 그동안 서양 중심적인 실증연구의 소개를 통해 무비판적으로 한국에 적용하는 문제들을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일 비교는 한편으로는 거시적으로는 유사한 제도와 문화를 가지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구체적이고 미시적인 수준에서 제도와 문화적 차이라는 맥락에서 한국과 일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동아시아적 맥락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동양과 서양을 비교하는 관점에서 기존의 서양중심의 학습조직이론을 새롭게 바라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5) 지방공무원의 지속가능한 역량강화

    실천적 기여로서 본 연구는 학습조직화에 기반한 지방정부의 지속가능한 역량강화 모델의 개발은 모색한다. 이를 통해 지방공무원의 역량강화와 이를 위한 교육훈련시스템의 개발에도 기여할 것이다.

    (6) 지방정부의 공공성 제고 및 지역발전에 기여

    학습조직의 논리는 지방정부라는 조직적인 차원을 넘어서서 지역차원에서의 산업, 교육기관, 시민사회의 영역에서 혁신을 제도화하는 중요한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구 선진국에서는 지역 산업클러스터 또는 지역혁신체제의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 지역 자체의 역량이 부족한 우리의 현실에서는 지역혁신의 주도자로서 지방정부의 역량강화를 통해 지방정부의 공공성과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제를 형성할 것을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 지방정부의 학습조직적 특성과 공공성과를 측정하여 그 인과관계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문헌분석을 통한 학습조직과 공공성과의 개념과 주요 영역을 밝히는데서 출발한다. 학습조직적 특성은 Marsick & Watkins에 의하여 DLOQ의 개념으로 발전된 7가지 영역인 지속적인 학습기회의 제공, 질의와 대화의 활성화, 공통의 비전을 위한 임파워먼트, 협력과 팀 학습의 장려, 학습을 공유하는 시스템, 조직과 환경과의 연계, 학습을 위한 전략적 리더십 등의 영역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43개 설문문항을 활용한다. 조직적 역학관계를 좀 더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43개 문항을 다시 학습조직의 인프라, 시스템, 문화 영역으로 재분류하여 2차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공공조직의 다차원적 성과지표로서의 공공성과 개념의 개발과 측정은 기존연구가 충분치 않은 만큼 보다 주의 깊게 연구된다. 먼저 공공성과의 개인적 수준으로서의 공공서비스 동기(public service motivation)는 Perry(1997)와 Vandenabeele(2007) 등에 의하여 개발된 측정도구들 중에서 상호 중복되는 문항과 설문문항으로서의 조건을 결여한 문항들을 제외한 나머지 문항들을 모두 1차 설문조사에 활용한다. 조직적 수준에서의 공공가치는 실체적 영역과 과정적 영역으로 나뉜다. 각 영역은 4개가량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여 각 하위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여 역시 1차 설문조사에 활용한다. 실제로 연구진은 이미 1차 설문조사에 활용할 설문문항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탐색하여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1차 설문조사는 공공서비스 동기와 조직적 공공가치를 측정하는 다양한 문항을 조사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의 공공조직의 서비스 동기와 공공가치를 잘 설명하는 변수와 측정영역을 발굴하는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1차 설문조사를 마치면 2차 설문조사에 돌입한다. 2차 설문조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의 공무원을 조사대상으로 삼는다. 한국에서 14개와 일본에서 7개 지방자치단체를 각각 조사할 것이다. 여기서는 학습조직적 특성과 공공성과의 지표를 모두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를 분석하면 한국과 일본의 학습조직적 특성과 공공성과의 차이를 비교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조직특성과 공공성과 사이의 인과관계도 분석할 수가 있다. 2차 조사를 마치고 한국과 일본에서 심층 사례연구를 위해 전략적으로 각각 4개의 지방정부를 선택할 것이다. 조사대상 지방정부의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한다. 심층 면접조사에서는 설문조사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개별 조직구성원의 인지구조 및 정체성의 형성과정,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제도적 맥락, 그리고 그러한 정체성이 행동으로 이어지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분석을 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이 연구는 실증적 방법과 해석적 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여 보다 타당성이 높은 연구를 도모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를 동일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진단함으로써 인접국가 행정제도와 한국 관료제를 비교분석하여 한국 공공조직을 더 잘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나아가서 한국 지방정부의 창의적인 행정을 위한 학습조직적 특성은 무엇인지 진단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개발할 것이다. 결국 이 연구에서 시도하는 한국의 지방정부를 위한 균형된 공공성과 지표의 개발과 측정은 공공조직이 추구할 본연의 가치인 보편성, 형평성, 책임성 등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행정학의 영역에서 가장 난해한 해결과제인 효율성과 공공성의 딜레마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멘토링,투명성,학습시스템,학습인프라,지방정부,학습문화,공공성과,학습정부,학습지역,조직학습,학습조직,혁신,학습,개방성,학습동아리,기업의 사회적 책임,학습조직 영역설문,지속가능한 역량강화모형,신공공관리,사회적 자본,혁신클러스터,산업클러스터,공공성,효율성,지역혁신체제,국가혁신체제,상호작용에 의한 학습,행동에 의한 학습,책임성,동정심,형평성. 책무,보편성,효율성,일본,한국,민주성,보장성,구조방정식,자유,공공서비스 동기
  • 영문키워드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learning-by-action,Korea,Japan,equity,learning-by-interaction,DLOQ,sustainable competency development,new public management,social capital,industrial cluster,publicness,efficiency,regional innovation system,national innovation system,public service motivation,learning region,learning government,public performance,local government,organizational learning,learning organization,innovation,learning,democracy,responsibil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글로벌 경제구조의 심화, 지식기반사회로의 이행, 저출산․고령사회로의 진입 등 급격한 환경변화와 도전들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부의 새로운 역할의 모색이 필요하고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의 역량 강화가 공공부문의 개혁에서 매우 중요한 시대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 사회에는 전통적인 상의하달식의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정책집행을 해왔던 관료주의적 행정이 아니라 새로운 환경변화에 창의적이며, 성과 지향적이면서도, 동시에 시민들의 보편적 이익과 권리를 보장하는 공공성을 담보할 수 있는 민주적 행정의 역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래의 급격한 환경변화와 당면한 우리 사회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지속적인 학습(learning)과 혁신(innovation)에 기초한 역량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지방자치가 실시 된지 1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중앙과 지방, 그리고 지방간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성장한 지역주의는 점점 심화되고 통합적이며 균형적인 국가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그동안의 정부개혁은 여전히 중앙정부 중심으로 주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에 의존적인 지방행정이 아니라 지방정부의 자발적이며 창의적인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의 자주적인 발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가 필요한 혁신은 소수의 리더들에 의해서 나오는 혁신보다는 조직구성원의 일상적으로 일하는 과정에서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혁신이다. 복잡하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소수 리더들만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개발은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조직의 시스템으로서 구성원들의 일하는 과정에서의 상시적이며 지속가능한 혁신이 가능한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으로의 전환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왜 지역차원의 학습조직화를 통한 지방정부의 역량강화와 지역혁신체제가 중요한가 보다 근원적인 원인은 조직간 네트워크를 통해 효과적으로 발생하는 상호작용에 의한 학습/혁신은 구성원과 조직 간의 공간적 근접성(spatial proximity)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국가발전 또는 정부개혁을 논할 때, 우리는 주로 중앙정부차원에서의 정책개발과 정부개혁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더욱 중요한 개혁과 혁신이 필요한 영역은 지역차원 발전전략과 혁신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왜냐하면 지역이 바로 실제로 경제적 생산과 분배가 일어나며, 시민들에게 교육과 직업훈련이 이루어지고, 복지서비스가 전달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치에 있어서도 주민들의 집접적인 생활과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정치가 이루어지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글로벌 시대에는 역설적으로 국가단위 또는 중앙정부를 초월하여 지역단위 지방정부가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교류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과거보다도 지방정부의 역량강화가 더욱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와 맥락에서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학습조직의 특성을 객관적인 측정도구로 비교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국이 학습조직화를 추진하는 접근방법에 있어서도 차이를 비교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현재 보편적인 학습조직의 특정도구로서 DLOQ와 본 연구진이 개발한 공공성과측정도구를 가지고 미시적인 조직차원에서의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의 학습조직적 특성과 성과를 측정하는 비교연구를 시도한다.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 학습조직화에 대한 사례비교 연구에서는 비형식 학습의 이론을 검토하고 분석모형을 구축하였으며 한국과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사례를 분석하여 사례 간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한국의 경우 제도적 발전이 있었던 반면 일본의 경우 절차적 완결성이 높았고 대도시는 관료제화가 많이 진행되어 학습과정에도 투영된 반면 중소규모 도시의 경우 학습공동체의 자율성이 비교적 높았다. 그리고 비형식 학습을 통해 능력을 계발하고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나친 규제나 공식적 제도화는 적절하지 않다는 교훈도 얻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데이터와 사례연구를 다양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체계를 가지고 더욱 집중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공공조직의 학습조직적 특성과 수준, 그리고 학습조직적 특성과 성과를 높이는 다양한 조직적, 정책적 함의들을 많이 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In recent days, there are many changes and challenges such as the intensification of global economic structure, the shift into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coming of the aging society with low fertility rate. These challenges need a new role of local government to respond to the new demands of the citizens and to resolve the various problems around our turbulent environment. So in the future most societies need a more innovative public administration beyond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administration. The innovative and democratic administration should creatively adapt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toward performance-oriented activities and the citizens' universal interests.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for the local government to strengthen the learning and innovative capacity as an institutional feature. Especially the innovation and improved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need to come from the voluntary and creative effort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process of doing their work rather than the hierarchical order by the leaders in the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learning organization that can make sustainable innovation in the general work process.
    This study conducted two research strategies. First, we surveyed the local government in Korea to find out the level and the featur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with the measurement tool of the DLOQ, and how they affect the perform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developed a new performance measurement reflecting the multi-dimensional aspect of the public organization. We found that the higher level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led to the high performance in the local governments.
    Second, this study also compares the various local governments in Japan and Korea to find out the specific mechanisms about how the organizational learning operates and what the motivations and activities for construction the learning organization are. We found out som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both of the Korean and Japanese local governments. The Korean case showed more institutional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Japanese case. But both cases commonly reveal that informal learning are an important instrument for the policy and management innovation. In addition to these important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further specific research agendas in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방자치가 실시 된지 15년이 지나 중앙정부에 의존적인 지방행정이 아니라 지방정부의 자발적이며 창의적인 역량강화를 통한 지역의 자주적인 발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가 필요한 혁신은 소수의 리더들에 의해서 나오는 혁신보다는 조직구성원의 일상적으로 일하는 과정에서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혁신이다. 복잡하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소수 리더들만의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개발은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조직의 시스템으로서 구성원들의 일하는 과정에서의 상시적이며 지속가능한 혁신이 가능한 학습조직(learning organization)으로의 전환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양한 공공조직 중 지방정부 조직에 초점을 두어 DLOQ의 학습조직 분석틀과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학습조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조직적 특징에 따라 공공조직이 가지는 다차원적 성과 분석틀을 중심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인 학습메카니즘과 정치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 따라 학습조직화의 수준과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사례연구 중심으로 일본을 조사하고 한국과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지금까지 공공조직의 성과를 이해할 때, 기존의 경제중심 및 단일 기준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동안 경시해 왔던 공공조직의 공공성 성과에 대한 필요성과 공공성의 논리를 제시했다. 그리고 공공조직의 특성으로서 복잡하고 무형적인 목적과 기능에 따른 성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성과에 대한 개념화와 이해가 필요하고, 앞으로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러한 다차원적 성과의 이해는 공공조직이 본질적으로 지향하는 공공성과 효율성을 조화시키기 위한 중요한 지침들을 제시해 줄 수 있다.
    공공서비스동기와 관련하여, 이 같은 분석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현재의 공무원 채용제도를 개선하여 공직 지원동기, 공무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세들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김상묵, 2005). 근래 공무원 면접시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 같은 공공서비스 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역량면접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공무원의 교육훈련에서도 공직 수행을 통한 보람과 성취감이 중요한 직무가치가 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신공공관리적인 인센티브 제도 외에 공공서비스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궁극적으로 공무원의 성과 향상에도 긍정적인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공무원으로서 바람직한 태도와 행동을 보여주지 못하는 공무원을 걸러낼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근래 논쟁이 되었던 공무원 퇴출제도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방안으로 PSM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과 일본의 지방정부 학습조직화에 대한 사례비교 연구에서는 비형식 학습의 이론을 검토하고 분석모형을 구축하였으며 한국과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사례를 분석하여 사례 간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한국의 경우 제도적 발전이 있었던 반면 일본의 경우 절차적 완결성이 높았고 대도시는 관료제화가 많이 진행되어 학습과정에도 투영된 반면 중소규모 도시의 경우 학습공동체의 자율성이 비교적 높았다. 그리고 비형식 학습을 통해 능력을 계발하고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나친 규제나 공식적 제도화는 적절하지 않다는 교훈도 얻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데이터와 사례연구를 다양한 문제의식과 이론적 체계를 가지고 더욱 집중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한국의 공공조직의 학습조직적 특성과 수준, 그리고 학습조직적 특성과 성과를 높이는 다양한 조직적, 정책적 함의들을 많이 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지방정부, 학습조직특성, 조직혁신, 지방정부의 역량강화, 공공성과, 공공서비스동기,PSM, 비교연구, 효율성과 공공성, 지속가능성, 지역혁신체제, 한국과 일본, 개인학습, 팀학습, 조직학습, DLOQ 설문지, local government, learn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competency, public perform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comparative study, efficiency, publicness, sustainability, Japan case study, Korean case study, personal learning, team learning, organizational learning, DLOQ survey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