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 수집 및 정리 대상은 <<全明詩>>, <<全明詞>>, <<全明散曲>> 등의 총집류 및 <<古今名媛诗词选>>, <<国朝闺秀正始集>> 등의 선집류에 흩어져 전하는 명대 여성 작가와 그들이 남긴 작품 전체이다. 400여명 여성작가의 생애를 복원하고, 시 3,605수 ...
본 연구에서 수집 및 정리 대상은 <<全明詩>>, <<全明詞>>, <<全明散曲>> 등의 총집류 및 <<古今名媛诗词选>>, <<国朝闺秀正始集>> 등의 선집류에 흩어져 전하는 명대 여성 작가와 그들이 남긴 작품 전체이다. 400여명 여성작가의 생애를 복원하고, 시 3,605수, 사 2,066수, 산곡 165수, 산문 119편, 희곡 3편, 탄사 2편의 작품 원문을 입력하며, 해당 작품에 대해 주석과 해제를 달도록 한다. 본 연구는 크게 시, 사, 산곡, 산문, 서사 등 다섯 분야로 나누어 진행된다. 그 중에서 산문 분야는 다시 序跋, 書信, 賦, 傳, 引, 頌 , 祭文, 墓誌銘, 誄 등 8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지고, 서사 분야는 희곡, 탄사 등 2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진다. 서사 분야 즉 희곡과 탄사는 총 다섯 작품으로 2년차 이내에 연구를 수행하고 3년차에는 시, 사, 산곡, 산문 네 분야로 연구가 시행될 예정이다.
본 연구의 1년간 연구일정은 3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는 여성작가와 작품을 분류, 목록화하는 작업과 자료 수집, 정리하는 과정이 된다. 작가와 작품에 대한 목록화 작업은 총 2개월로 상정하고, 수집된 자료를 즉시 원문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시행될 예정이다.
1단계에서 자료 수집이 필요한 경우, 현지답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중국 상해의 上海圖書館, 남경의 古籍圖書館을 비롯하여 각 지역의 주요 도서관, 대만의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傅斯年圖書館, 臺灣國家圖書館日本內閣文庫, 일본의 日本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日本東洋文庫, 日本靜嘉堂文庫, 홍콩의 中文大學圖書館, 미국의 燕京圖書館 등과 연계하여 자료 수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2단계는 구체적인 작업에 들어가는 시기로 여성작가에 대한 해설, 작품 주해를 합리적으로 산출해낸 연구계획에 의거하여 8개월 내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1년차 연구에서 다룰 시의 작가는 41명, 작품 1,111수, 사의 작가는 108명, 작품 702수, 산곡의 작가는 1명, 69수, 산문은 序跋과 書信 위주로 하여 작가 29명, 작품 61편, 희곡의 작가는 3명, 작품 3편 등이다. 2년차 연구에서 다룰 시의 작가는 10명, 작품 1,244수, 사의 작가는 66명, 작품 700수, 산곡의 작가는 7명, 작품 50수, 산문에서는 賦, 傳, 引, 頌, 祭文, 墓誌銘, 誄, 雜文을 중심으로 하여 작가 17명, 작품 50편, 탄사의 작가 2명, 작품 2편 등이다. 3년차 연구에서 다룰 시의 작가는 59명, 작품 1,250수, 사의 작가는 150명, 작품 664수, 산곡의 작가는 21명, 작품 46수, 산문에서는 저술을 위주로 하여 작가 6명, 저술 8편 등이다.
3단계에서는 연구 성과의 공유를 위해 전문 사이트를 개설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DB구축을 시행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출판 작업을 위해 2개월 동안 교열, 교정, 색인 작업에 들어가기로 한다. 또한 매년 국내 혹은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국내외 문헌학, 여성학 등 관련 전문가들을 초빙하고, 다방면에서 자문과 조언을 구하여 전 세계 학자들과 교류를 넓힘으로써 본 연구 사업의 취지를 널리 알리고자 한다. 이러한 국제학술대회 개최를 통해 관련 연구에 대한 많은 정보와 경험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