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명대 여성작가 작품 집성 - 해제, 주석 및 DB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22-A00093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3 년 (2009년 07월 01일 ~ 201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종진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일의(강릉원주대학교)
박영희(숭실사이버대학교)
김의정(이화여자대학교)
정민경(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김수희(서울대학교)
강경희(이화여자대학교)
김지선(고려대학교)
최동표(백석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3년에 걸쳐 明代 여성 작가 및 작품 전체를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하여 학술DB로 공개하고, 그 가운데 문학적, 사료적 가치가 높은 작품들을 선별, 해제 및 각주를 더하여 단행본 자료집(전 10권)으로 출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집 및 정리 대상은 <<全明詩>>, <<全明詞>>, <<全明散曲>> 등의 총집류 및 <<古今名媛诗词选>>, <<国朝闺秀正始集>> 등의 선집류에 흩어져 전하는 명대 여성 작가와 그들이 남긴 작품 전체이다. 현재 400여명 여성작가가 시 3,605수, 사 2,066수, 산곡 165수, 산문 119편, 희곡 3편, 탄사 2편이 알려져 있으며 향후 디지털 아카이브화를 위한 자료 발굴 및 수집 과정에서 상당수의 작가 및 작품들이 신규로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들을 총체적으로 수집한 다음, 이를 문헌학(교감학)적으로 정리하여 작품 원문을 입력하고, 해당 작품에 대해 주석과 해제를 달며, 작가 생애를 복원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吳宏一(홍콩 城市大學), 黃嫣梨(홍콩 浸會大學), 方秀潔(캐나다 맥길대학), 孫康宜(예일대학), 張宏生(南京大學), 史梅(南京大学), 鄧紅梅(南京师範大学), 鍾慧玲(대만 東海大學), 胡曉真(臺灣中央硏究院) 등 관련 분야의 권위자들을 자문위원 등의 형태로 네트워크에 흡수하여 명대 여성문학 자료 수집의 전면화(총집형태를 지향), 주석과 해제의 정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국내외적으로 충실한 원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검색의 다양화를 도모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데 있다. 텍스트화를 통한 全文 검색, 시대별 구분 등 검색조건 다양화를 통한 학술 DB로서의 활용가치 제고에 역점을 두고, 온라인 DB와 병행하여 해제와 각주를 포함한 단행본 선집을 출간함으로써 토대연구의 모범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는다.
  • 기대효과
  • 본 연구결과는 중국학 전반 및 한국학, 동아시아학 분야의 연구영역의 확충과 시야의 확장을 통하여 학문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활용은 크게 세 가지 분야에서 두드러질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학 전반에 걸쳐 새로운 연구주제의 발굴과 방법론적 시야의 확대를 가져올 수 있다. 그 동안 연구의 사각지대에 속했던 작가, 작품의 발굴과 소개는 중국 고전문학사에 대한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는 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여성생활사와 풍속사, 문화사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학에 대한 비교연구적 시야를 확장하는데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학술 DB와 별도로 해제와 주석을 포함해서 출간되는 자료집은 국문학 연구에서 일찍이 주목해온 명과 조선 사이의 긴밀한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비교연구 시야의 확장을 통해 조선문화가 갖는 동아시아적 맥락에서의 보편성이 증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여성학 연구의 지역화와 내재화를 통해 여성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명대 여성 문인들의 작품세계는 당시 여성들의 삶과 문학의 구체적 면모들을 생생히 제시해 줌으로써 여성주의적 시각과 담론을 동아시아 공통의 문화적 경험 속에서 반추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된다. 이는 여성주의 담론이 서구의 경험에 기반한 외래 이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동아시아 고유의 문화적 경험을 토대로 새롭게 정의되고 활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또한 학술 DB 구축과 운영을 통하여 학술정보화 진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명대 여성문학 작가 및 작품을 DB로 구축함에 있어 가장 역점을 둔 사항은 DB의 다음 세 가지 사항이다. 첫째, 자료 수집 범위의 전면화(총집형태를 지향)하여 학술적 권위를 확보하는 것, 둘째, 이미지파일 형태가 아닌 Text화를 통해 검색 편의성을 제고하는 것, 셋째, 시대별 구분 등 태그와 필드를 다양화함으로써 활용도를 제고하는 것.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미처 실현되지 못한 이러한 특징들은 DB의 학술적 가치와 활용도를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기초자료 학문 능력 및 연구성과물의 사회적 공유 경험을 아울러 갖춘 학문 후속세대 양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입수와 해독이 어려운 고문헌의 수집과 정리 능력을 갖춘 학문 후속세대는 사회적으로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그 수가 많지 않다. 고도로 전문화된 훈련 기회를 거치지 않고서는 관련 인력의 배양이 지극히 곤란함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 참여하는 학문후속세대(전임연구인력 및 연구 보조 인력)는 자료의 입수와 정리(원문판독, 디지털정보처리), 해제와 주석 등의 과제수행 과정에서 기초학문 능력을 안정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또한 일반에게까지 폭넓게 공개된 DB의 구축 및 운영 경험은 연구결과의 사회적 공유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자발적 부가과제로서 일반 독자의 눈높이에 맞춘 작품 선집(작품번역, 해설, 감상 포함)의 출간을 계획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전공 및 교양 교과목의 개발을 통한 교육발전에도 기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관련 전공 및 교양 교과목에 있어서의 신규영역 개발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명대 여성의 글쓰기라는 새로운 영역에 대한 관심은 중국학, 여성학, 동아시아학 등 분과학문 내부의 새로운 영역으로 학문적 관심을 다양화하는 한편 영역간의 복합과 탈경계적 학문실천을 통한 학부 및 대학원 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 수집 및 정리 대상은 <<全明詩>>, <<全明詞>>, <<全明散曲>> 등의 총집류 및 <<古今名媛诗词选>>, <<国朝闺秀正始集>> 등의 선집류에 흩어져 전하는 명대 여성 작가와 그들이 남긴 작품 전체이다. 400여명 여성작가의 생애를 복원하고, 시 3,605수, 사 2,066수, 산곡 165수, 산문 119편, 희곡 3편, 탄사 2편의 작품 원문을 입력하며, 해당 작품에 대해 주석과 해제를 달도록 한다. 본 연구는 크게 시, 사, 산곡, 산문, 서사 등 다섯 분야로 나누어 진행된다. 그 중에서 산문 분야는 다시 序跋, 書信, 賦, 傳, 引, 頌 , 祭文, 墓誌銘, 誄 등 8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지고, 서사 분야는 희곡, 탄사 등 2개의 하위 범주로 나누어진다. 서사 분야 즉 희곡과 탄사는 총 다섯 작품으로 2년차 이내에 연구를 수행하고 3년차에는 시, 사, 산곡, 산문 네 분야로 연구가 시행될 예정이다.
    본 연구의 1년간 연구일정은 3단계로 나누어진다. 1단계는 여성작가와 작품을 분류, 목록화하는 작업과 자료 수집, 정리하는 과정이 된다. 작가와 작품에 대한 목록화 작업은 총 2개월로 상정하고, 수집된 자료를 즉시 원문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시행될 예정이다.
    1단계에서 자료 수집이 필요한 경우, 현지답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중국 상해의 上海圖書館, 남경의 古籍圖書館을 비롯하여 각 지역의 주요 도서관, 대만의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所傅斯年圖書館, 臺灣國家圖書館日本內閣文庫, 일본의 日本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日本東洋文庫, 日本靜嘉堂文庫, 홍콩의 中文大學圖書館, 미국의 燕京圖書館 등과 연계하여 자료 수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2단계는 구체적인 작업에 들어가는 시기로 여성작가에 대한 해설, 작품 주해를 합리적으로 산출해낸 연구계획에 의거하여 8개월 내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1년차 연구에서 다룰 시의 작가는 41명, 작품 1,111수, 사의 작가는 108명, 작품 702수, 산곡의 작가는 1명, 69수, 산문은 序跋과 書信 위주로 하여 작가 29명, 작품 61편, 희곡의 작가는 3명, 작품 3편 등이다. 2년차 연구에서 다룰 시의 작가는 10명, 작품 1,244수, 사의 작가는 66명, 작품 700수, 산곡의 작가는 7명, 작품 50수, 산문에서는 賦, 傳, 引, 頌, 祭文, 墓誌銘, 誄, 雜文을 중심으로 하여 작가 17명, 작품 50편, 탄사의 작가 2명, 작품 2편 등이다. 3년차 연구에서 다룰 시의 작가는 59명, 작품 1,250수, 사의 작가는 150명, 작품 664수, 산곡의 작가는 21명, 작품 46수, 산문에서는 저술을 위주로 하여 작가 6명, 저술 8편 등이다.
    3단계에서는 연구 성과의 공유를 위해 전문 사이트를 개설하고 전문가를 초빙하여 DB구축을 시행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출판 작업을 위해 2개월 동안 교열, 교정, 색인 작업에 들어가기로 한다. 또한 매년 국내 혹은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국내외 문헌학, 여성학 등 관련 전문가들을 초빙하고, 다방면에서 자문과 조언을 구하여 전 세계 학자들과 교류를 넓힘으로써 본 연구 사업의 취지를 널리 알리고자 한다. 이러한 국제학술대회 개최를 통해 관련 연구에 대한 많은 정보와 경험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글키워드
  • 네트워크,중국학,한국문학,중국문학,복합검색,검색,성,유니코드,주석,시,인덱스,산곡,부,산문,여성학,한국학,여성작품,여성작가,원문,청,명,송,당,문헌학,해제,DB화,탄사,사
  • 영문키워드
  • annotation,unicode,gender,search,Korean literature,Korean studies,index,bibliography,Ming,Song,network,commentation,digitization,text,database,sanqu,fu,prose,Tang,tan ci,ci,poem,Women's writings,woman writers,Qing,Women's studies,compound search,Chinese studies,Chinese literatur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