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수출지역과 항만 및 배후 수출단지 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A-B00109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노승혁
연구수행기관 영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철민(영산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010년에 수립되는 항만개발정책은 2021년까지 우리나라의 항만 개발 정책을 포괄하면서 우리나라 항만의 발전을 좌우할 중요한 정책이 될 것이다. 이에 기존의 항만개발정책의 기준이 되었던 물동량에 기반한 항만개발정책 수립 방향에 참고가 될 수 있는 항만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의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역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항만의 성장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항만개발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연구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동안 대외무역에 대한 의존이 매우 컸던 우리나라에서는 수출입 물류체계 특히 전통적인 무역항만체계는 그 주된 대상이었던 일본과 미국과의 교역에 유리한 방향으로 집중되어 부산항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은 동아시아를 비롯한 세계경제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와 대외무역환경을 근본적으로 뒤흔들고 있다. 대중국 교역의 급속한 발달을 단지 새로운 방향의 수출대상지역이 형성된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우리나라의 많은 제조업체가 중국으로 이전한 사실은 국내의 생산체계가 급속하게 재편되고 있음을 방증하고 있다. 국내 경제환경의 재편은 결국 수출입 구조의 변화로 귀결될 것이며, 이는 변화된 대외무역구조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수출입 물류체계를 필요로 하게 된다. 급변한 대외무역환경이 이전과 다른 새로운 수출입 공간질서를 창출하는 과정은 무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단순히 동북아물류허브를 지향하는 입장과는 다른 방향에서의 연구를 필요로 하였다.
    물류산업에 대한 정부와 학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면서, 동북아 물류허브 중심국가 건설에 포부를 밝힌 정부 시책에 따라 이에 부응하는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물류 허브는 항만 및 공항의 발전을 통해 구축되어 것이므로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반가운 일이나, 실제로 발표되는 많은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연구 분야에는 아쉬움이 있었다. 경제가 성장할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는 정책적 비전 또는 발전계획에 치우치거나, 화물을 적재하는 용기에 불과한 컨테이너의 처리량과 컨테이너 부두의 경쟁력 요인을 주로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세계경제의 통합은 수출입 화물 물동량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증가된 물동량이 우리나라 물류산업을 발전시켰다. 특히 중국 경제가 발전하면서 중국이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보유하고 있지 않던 시절에는 우리나라의 항만이 중국 물동량으로 인해 발전할 수 있었으나, 중국이 주요 항만에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건설하게 되면서 오히려 우리나라 항만의 발전속도가 낮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물류허브를 지향하면서 전국 주요항만에 컨테이너부두를 건설하고있는 상황에서 과거와 같은 물동량의 증가가 보장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각 항만들이 치킨게임을 통하여 자멸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항만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항만의 배후지 산업공간과 항만의 주요 수출대상지역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체계의 변화와 배후지 화물창출체계 분석에 활용할 연구개념 모델을 검토한다.
    둘째,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화물유통구조변화를 분석하여 항만체계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제반 요인들을 도출한다.
    셋째, 해외의 주요항만들이 물동량 특성의 변화에 대한 항만운영체계가 어떻게 변화했는 지를 분석한다.
    넷째, 외국의 주요항만이 보유하고 있는 배후지와 수출입대상 지역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한다.
    다섯째, 이를 기반으로 항만체계의 변화과정을 배후지와 수출입 대상지역 비교 관점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 지를 분석한다.
    여섯째,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주요항만이 보유하고 있는 배후지와 주요 수출입 대상지역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추후 발전해나갈 전략적 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모형을 제안한다.
  • 기대효과
  • 무역항개발계획은 애초 각 항만을 통해 유통될 물동량에 대한 예측에 기초한다. 이 물동량 예측이 어떤 요소를 고려하고 어떤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는 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물동량에 대한 예측을 항만의 배후지 특성과 수출입대상지역과의 관계가 항만에 끼치는 영향에 의거하여 예측해볼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 단순한 현재의 물동량과 경제성장률과 산업별 성장률을 참고하여 물동량을 예측하는 구조가 아니라, 항만이 포괄하고 있는 배후지의 특성과 수출입대상지와의 관계가 실제로 항만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특정한 항만의 물동량을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제 3차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의 적절한 수립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는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와 항만의 발전을 상호 분석하면서, 항만의 발전전략을 SWOT 분석이나 항만경쟁력요인 분석이 아닌 물동량과 직접 관계 있는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역에 대한 상호 분석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선사나 항만의 입장에서 선사는 물동량이 많은 항만을 선택하여 기항하고, 항만의 입장에서는 물량을 가지고 오는 선사의 기항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문제는 물동량의 확보이다. 항만의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의 상호분석을 통한 물동량 증가 방안이 검토되고 제시될 수 있다.
    이 물동량 증가 방안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물동량을 우리나라 항만의 물동량으로 재창출하는 방안도 포함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연구목표에서 제시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항만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항만의 배후지 산업공간과 항만의 주요 수출대상지역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체계의 변화와 배후지 화물창출체계 분석에 활용할 연구개념 모델을 검토한다.
    둘째,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화물유통구조변화를 분석하여 항만체계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제반 요인들을 도출한다.
    셋째, 해외의 주요항만들이 물동량 특성의 변화에 대한 항만운영체계가 어떻게 변화했는 지를 분석한다.
    넷째, 외국의 주요항만이 보유하고 있는 배후지와 수출입대상 지역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한다.
    다섯째, 이를 기반으로 항만체계의 변화과정을 배후지와 수출입 대상지역 비교 관점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 지를 분석한다.
    여섯째,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주요항만이 보유하고 있는 배후지와 주요 수출입 대상지역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추후 발전해나갈 전략적 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모형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방법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Ⅰ. 서론
    1.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2 선행연구의 검토
    Ⅱ. 우리나라 수출화물의 유동과 배후단지 특성
    2.1 수출화물의 유동구조
    2.2 항만별 수출지 및 배후단지특성
    Ⅲ. 수출지역에 따른 항만선택과 배후단지지분포의 관계
    3.1 수출지역과 항만선택의 관계
    3.2 항만선택과 배후단지분포의 관계
    Ⅳ. 수출지역이 항만선택 및 배후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4.1 수출지역별 항만선택의 관계
    4.2 수출지역별 배후단지의 관계
    Ⅴ. 요약 및 결론
  • 한글키워드
  • 시뮬레이션,수출지역,배후지,로지스틱스,항만,공급사슬관리,수출단지
  • 영문키워드
  • SCM,harbor,export complex,simulation,hinterland,logistic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난 반세기 성장을 이끌던 제조업의 상당수가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일대로 빠르게 이전하였고, 국경을 초월한 각종 경제 활동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역내 생산-물류-소비 네트워크를 더욱 복잡하게 하고 있으며, 그 지역 범위도 급속하게 확장시키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교역규모와 이에 수반되는 수출입 물동량도 놀라운 속도로 증가하였다. 전 세계경제를 급속히 발전시켰던 중국의 경제발전이 오히려 우리나라의 항만 발전속도를 저하시키는 영향을 주었으며, 최근에는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로 항만의 물동량이 감소하는 추세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동북아 3국은 세계적인 물동량의 증가를 예상하고 경쟁적으로 항만을 증설하여 항만 시스템이 제공하는 항만서비스 공급이 수요를 넘어서게 되는 상황이 예상되어 각국은 자국의 항만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우리나라도 2010년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항만개발정책을 다시 수립할 예정이다. 2010년에 수립되는 항만개발정책은 2021년까지 우리나라의 항만 개발 정책을 포괄하면서 우리나라 항만의 발전을 좌우할 중요한 정책이 될 것이다. 이에 기존의 항만개발정책의 기준이 되었던 물동량에 기반한 항만개발정책 수립 방향에 참고가 될 수 있는 항만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의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역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항만의 성장을 예측하고 이에 적합한 항만개발정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연구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Korean country image influences Vietnames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exported goods.
    First, it is analysed what factors influence Korean country image, and the way how Korean country image influences Vietnames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Korea goods is analysed. Finally, this study analyses the relationship among Korean wave, Korean country image, product evaluation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Korean wave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directly, but influences on Korean country image and product confidence and evaluation, and these influence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goods. In the Korean country image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mage is not related positively to Korean goods evaluation, and relative image is related positively to Korean goods evalu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항만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항만의 배후지 산업공간과 항만의 주요 수출대상지역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체계의 변화와 배후지 화물창출체계 분석에 활용할 연구개념 모델을 검토한다.
    둘째,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화물유통구조변화를 분석하여 항만체계의 변화를 이끌고 있는 제반 요인들을 도출한다.
    셋째, 해외의 주요항만들이 물동량 특성의 변화에 대한 항만운영체계가 어떻게 변화했는 지를 분석한다.
    넷째, 외국의 주요항만이 보유하고 있는 배후지와 수출입대상 지역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한다.
    다섯째, 이를 기반으로 항만체계의 변화과정을 배후지와 수출입 대상지역 비교 관점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받는 지를 분석한다.
    여섯째,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주요항만이 보유하고 있는 배후지와 주요 수출입 대상지역을 비교하여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추후 발전해나갈 전략적 방안을 제안할 수 있는 모형을 제안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본 연구는 물동량에 대한 예측을 항만의 배후지 특성과 수출입대상지역과의 관계가 항만에 끼치는 영향에 의거하여 예측해볼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 단순한 현재의 물동량과 경제성장률과 산업별 성장률을 참고하여 물동량을 예측하는 구조가 아니라, 항만이 포괄하고 있는 배후지의 특성과 수출입대상지와의 관계가 실제로 항만에 주는 영향을 고려하여 특정한 항만의 물동량을 예측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제 3차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의 적절한 수립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2. 본 연구는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와 항만의 발전을 상호 분석하면서, 항만의 발전전략을 SWOT 분석이나 항만경쟁력요인 분석이 아닌 물동량과 직접 관계 있는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역에 대한 상호 분석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선사나 항만의 입장에서 선사는 물동량이 많은 항만을 선택하여 기항하고, 항만의 입장에서는 물량을 가지고 오는 선사의 기항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 문제는 물동량의 확보이다. 항만의 배후지와 수출입대상지의 상호분석을 통한 물동량 증가 방안이 검토되고 제시될 수 있다.
    이 물동량 증가 방안에는 중국이나 일본의 물동량을 우리나라 항만의 물동량으로 재창출하는 방안도 포함된다.
  • 색인어
  • 항만, 배후지, 수출지역, 수출단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