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아시아 근대불교문화의 변용과 정체성 모색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점연구소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8-005-J02303
선정년도 2008 년
연구기간 3 년 (2008년 12월 01일 ~ 2011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고영섭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황순일(동국대학교)
김진영(동국대학교)
강문선(동국대학교)
한상길(동국대학교)
정영식(동국대학교)
이전 참여 공동연구원 현황 박영환(동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아시아의 근대화는 사실상 서구화를 그 내용으로 한다. 근대화로 인해 아시아 국가들은 큰 변화를 겪었는데, 서구의 선진 기술문명이 들어오면서 농업을 중심으로 하던 전통적 생산체계가 붕괴되고 근대적 산업이 융성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서구 사상 및 문화의 유입에 따라 아시아인의 생활양식 또한 크게 바뀌어 갔고, 그것은 아시아 불교인들의 의식을 변화시켰다. 특히, 기독교의 유입은 유불도 삼교를 중심으로 하던 아시아인들의 종교관에 큰 영향을 미쳤고 변화를 재촉하였다.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근대화는 미신적이고 기복적인 전통종교관에 회의를 느끼게 하였으며, 포교방식에 있어서도 잡지․신문 등의 대중매체의 활용과 영화․연극 등을 통한 불교의 대중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전제왕권이 붕괴되고 서양국가들의 침략이 가속화되는 등 민중의 삶이 억압되면서, 그 해방구로서 신흥종교가 많이 나타났다. 근대화는 아시아의 종교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불교도 예외는 아니었다. 근대화에 의해 아시아 불교는 신앙․의례․제도․포교 등의 다방면에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근대에 있어서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을 비교․연구하는 것은 아시아불교의 정체성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필수불가결의 작업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종래 시도되지 않았던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 본 분과의 연구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화로 인한 아시아 전통불교의 신앙체계와 의례문화의 변용 양상과 그 의미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근대화에 따른 불교신앙체계의 변용 양상을 비교․고찰하고, 합리성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화가 전통불교의례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전통적인 사찰 운영 방식과 계율 및 수행 방식의 변화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둘째, 아시아 불교의 문화담론 형성 과정과 신불교운동의 전개 양상을 고찰한다. 근대화에 의해 아시아 각국에서 형성되고 활발하게 전개된 주요 담론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근대화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신불교운동에 주목하여, 신불교운동의 근대적 성격과 전통불교와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근대적 전환에 따른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을 탐구한다. 포교 방식․문학․음악․문화재 관리․여성 활동 등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한 전개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 기대효과
  • 본 분과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화에 의한 아시아 민중들의 신앙관의 변화 양상 규명
    근대화와 불교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불교 교리와 사상적 측면에 치우친 감이 없지 않다. 곧 ‘불교의 어떤 사상이 근대화에 공헌했는가, 아니면 근대화를 저해했는가?’ 등의 물음이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그러나, 변화는 항상 구체적인 현실에서 먼저 드러난다. 근대화에 의한 아시아 불교의 변화 역시 신앙생활․불교의례․사원 제도 등에서 먼저 보이고, 민중들은 그것을 통해 변화를 느끼고 그에 대응한다. 특히, 대처․육식의 문제는 근대화와 깊이 관련된 문제이다. 근대 이전에 있어서 승려의 대처와 육식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고, 그것이 당연한 것이었다. 따라서, 대처․육식이 논쟁거리가 되었다는 것 자체가 바로 근대화의 산물이다.

    둘째, 불교문화 담론의 성격 규명을 통한 아시아 근대불교의 정체성 파악
    아시아 근대 지성의 불타․불교․불교문화․근대불교 등에 관한 담론은 서구 사상과 문화의 유입에 의해 형성되고 전개된 것이다. 그리하여 담론 형성의 초기에는 서구의 시각과 인식을 그대로 수용하고 전파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점차 자국의 불교 전통에 대한 재인식의 과정을 거치면서, 아시아 근대불교의 문화담론은 ‘자국 불교의 정체성 모색’이라는 공통된 성격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아시아 근대불교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담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근대적 전환에 따른 근대 불교문화의 다양성 고찰
    근대화에 의한 불교문화의 변용을 포교방식․불교문학․불교음악․교육제도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폭넓게 연구한다. 특히 ‘불교문화재 관리’와 ‘근대 불교지성의 성지순례’는 지금까지 전혀 연구되지 않은 분야이다. 우리나라의 문화재 중 상당부분이 불교문화재이지만, 근대이전에는 문화재의 가치에 대한 인식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보존방법도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서면서 문화재의 중요성을 알게 되고 보존방법․관리체계도 진보해 갔다. 이와 같이, 사상뿐만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현실에 드러난 불교문화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은 근대화와 불교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기초가 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소의 1단계 사업인 <동북아 삼국의 근대화와 불교문화의 변용 비교>는 주로 정치․사회적 측면에 주목하여 동북아 삼국의 근대 불교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근대 시기에 등장한 ‘민족주의와 불교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역점을 두었다. 이로 인해, 아시아 불교의 저변에 흐르는 사상적 변용이나 문화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폭넓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2단계 사업의 제3분과인 문화분과에서는 ‘아시아 근대불교문화의 변용과 정체성 모색’이라는 주제를 설정하여, 근대화에 대해 아시아불교가 어떻게 대응하고 변화해 갔으며, 정체성 확립을 모색하기 위해 어떤 시도들을 하였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분과는 ‘신앙․의례’, ‘담론․운동’, ‘불교문화’의 세 가지 영역을 설정하였다. 먼저, ‘신앙․의례’는 합리성․공리성을 특징으로 하는 근대화 및 서구사상의 유입에 의한 신앙체계와 의례문화의 변용 양상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다음으로, ‘담론․운동’은 근대 불교문화의 주요 담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담론을 바탕으로 전개된 신불교운동의 양상과 성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끝으로, ‘불교문화’는 근대적 전환에 따른 아시아 불교문화의 다양성과 정체성 모색에 대한 탐구이다. 사상 외적인 측면, 곧 포교방식․문학․음악․여성 활동 등의 측면에서 불교문화와 근대화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한다. 특히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불교문화재의 관리 체계와 근대 불교인들의 성지순례 등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본 분과는 이상의 세 영역을 연구하기 위해 25개의 세부주제를 설정하여 아시아 불교문화와 근대화의 관계를 집중 조명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근대불교, 아시아근대불교, 불교문화, 불교의례, 근현대신문, 신종교, 대중불교, 문화담론, 신불교운동, 근대불교문학
  • 영문키워드
  • Asian Modern Buddhism, Japanese Buddhism, A Ritual Book of Buddhism, Buddhist Reform Movemant, Modern Literature, Modern Newspaper, Modern New Religion, Culture Conversation, Buddhist Culture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