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상업화(commercialization)된 지방행정조직의 패러독스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013-B00095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2월 30일 ~ 2010년 12월 29일)
연구책임자 이상철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에서 참여정부가 등장하기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정부는 방만한 지방행정조직을 효율적으로 구조 조정한다는 명분으로 지방행정조직을 지속적으로 감축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기대했던 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는지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즉 구조조정으로 인하여 일부 지방행정기관의 규모와 숫자는 줄어든 반면,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새로운 상업화된 지방공기업의 생성으로 종전의 행정조직에 비해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더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함으로써 구조조정 전보다 더 비효율적으로 운영ㆍ관리되고 있지는 않은가에 대한 의문이다. 이러한 문제가 있다면 정부의 지속적인 지방행정개혁 노력이 과연 사회 총체적 의미에서 행정의 효율화를 가져 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 더욱이 우리나라에서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되고 행정개혁의 바람이 크게 불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중앙정부에서 상업화된 국가공기업의 수는 정체되거나 점차 줄어들고 있는데 비하여 지방정부에서 상업화된 지방공기업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방행정기관(local department or agency)에서 공단(authority)ㆍ공사(corporation)로 조직형태를 전환한 행정개혁 차원의 노력들이 과연 사회 총체적 의미에서 효율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지방행정기관에서 상업화한 지방공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지방공기업이 수행하는 분야의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량은 증가할지 모르지만 사회 전체적 의미에서 과연 효용의 증가를 가져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오히려 사회ㆍ경제적인 측면에서 더 효용을 높일 수 있는 분야에 자원을 투자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관 생성에 따른 거래비용(transaction cost)만 발생하고 사회전체적인 효용 측면에서 마이너스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측면이 없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절약의 역설’, ‘민영화와 역설’과 같이 ‘상업화된 지방공기업의 역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방정부에서 ‘상업화된 지방공기업의 paradox현상’을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즉 상업화된 지방공기업에서 paradox 현상이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이며 이러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논거는 무엇인지를 한ㆍ미 양국의 지방공사와 BID의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지금까지 행정학이 전통적인 정부조직의 범주에서 연구 소재를 찾고 정책적 대안을 탐색하던 것에서, 비정부 부문으로 학문적인 연구범위를 넓히는 즉, 행정학의 外延을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세계적으로 행정기관의 역할보다는 준정부조직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국내외적으로 상업화된 지방정부조직이 처한 외부환경, 내부조직체계 및 운영상의 효율성 등에 대한 기초연구의 역할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학뿐만 아니라 상업화된 지방정부조직과 관련된 법학·경영학 등의 학제적(inter-disciplinary) 연구가 필요하다. 미국의 SPEA(the School of Public and Environmental Affairs at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Indiana)는 이러한 접근방법을 활용하기가 용이한 기관이다. 셋째, 상업화된 지방정부조직 관리정책의 문제점을 한미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도출해 냄으로써 상업화된 지방공기업의 실제 담당자들에게 향후 조직이 나아가야 방향이 무엇인가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경영학적인 측면에서 공공행정기관과 순수한 사기업의 중간영역에 있는 속해 있는 상업화(commercialization)된 지방정부조직의 경영 관리상 장ㆍ단점을 파악해 봄으로써 지방공기업의 경영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중앙정부에서 상업화된 국가공기업보다는 지방정부에서 상업화된 지방공기업이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되고 있다. 특히 중앙정부에서는 참여정부 이전에는 공공부문의 구조조정을 위한 행정개혁 운동을 시작하여 실질적으로 공공부문을 줄여왔었는데 비하여 1995년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 지방행정조직에서 상업화된 지방공단ㆍ공사의 수는 「줄어들거나 혹은 정체하고 있는 다른 공공부문 조직과는 달리」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현상일까?’ 아니면 ‘전 세계적인 보편적 현상일까?’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지방행정조직에서 상업화한 지방공사ㆍ공단의 숫자가 늘어남에 따라 이들 지방공기업이 생산하는 산출(output)은 증대할지 모르지만 사회 전체적인 맥락에서 사회자본의 왜곡으로 인하여 오히려 사회 전체적인 효용의 감소를 가져오는 paradox는 없을까?’, 좀 더 구체적으로 ‘지방정부에서 수행하던 일을 새롭게 지방공사ㆍ공단을 설립하여 수행하는 지방행정조직 상업화 노력과 결과가 과연 더 효율적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우리나라의 상업화된 행정조직의 문제를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미국의 지방정부의 상업화된 조직인 BID와 비교하여 그 원인과 사회적 효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행정조직의 상업화,지방공기업,민영화 또는 상업화의 역설,상업개선지구,지방행정조직의 패러독스
  • 영문키워드
  • Paradox of Local Public Bodies,Paradox of Privatization or Commercialization,Local Enterprises,Business Improvement Strict,Commercialization of Public Bodie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행정부서를 공단 및 공사 등으로 상업화하는 사례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행정부서를 상업화하는 이러한 현상이 당초 목적인 운영효율성 증진을 달성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업화의 전형적인 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광역자치단체 산하 환경공단을 중심으로 환경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상업화 전과 상업화 후의 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하수처리 업무를 수행하는 지방행정부서의 상업화 전과 상업화 후의 운영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상업화 전보다 상업화 후의 운영 효율성이 큰 변화가 없거나 더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행정기관이 상업화되어 설립된 공단에 근무하는 직원 중 신규로 채용한 직원보다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전한 직원의 비율이 높을수록 운영효율성이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지방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시행되어온 행정기관의 상업화 노력은 사회 전체적인 효율성 측면에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소위 ‘상업화의 패러독스'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강조하였다.
  • 영문
  • Lots of local public self-governing bodies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have commercialized the local public departments and agencies to the autonomous and independent public bodies since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was in force in Korea. This paper has examined the operating efficiency with the DEA(Data Envelop Analysis) technique before and after commercialization of the local public departments and agencies which have been carrying out the environmental affair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newly established public bodies after commercialization has decreased rat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local public departments and agencies, Second, the higher is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transferred employees from the previous local public departments and agencies to newly commercialized public bodies, the lower is the operating efficiency.
    On the base of the above several findings, I would assert that there must be 'the paradox of the privat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which might bring about inefficiency in terms of the social total efficiency of the Korean public local reform which has transformed the local public departments and agencies to the autonomous and independent public bo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o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지방행정부서를 공단 및 공사 등으로 상업화하는 사례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행정부서를 상업화하는 이러한 현상이 당초 목적인 운영효율성 증진을 달성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상업화의 전형적인 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광역자치단체 산하 환경공단을 중심으로 환경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의 상업화 전과 상업화 후의 효율성을 자료포락분석(DEA: Data Envelop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o 그 결과, 첫째, 하수처리 업무를 수행하는 지방행정부서의 상업화 전과 상업화 후의 운영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 상업화 전보다 상업화 후의 운영 효율성이 큰 변화가 없거나 더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행정기관이 상업화되어 설립된 공단에 근무하는 직원 중 신규로 채용한 직원보다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전한 직원의 비율이 높을수록 운영효율성이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o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지방행정 개혁의 일환으로 시행되어온 행정기관의 상업화 노력은 사회 전체적인 효율성 측면에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소위 ‘상업화의 패러독스'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강조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o 이 연구는 행정개혁의 일환으로 유행처럼 시행하고 있는 행정기관의 상업화 노력이 당초 기대했던 기술적 효율성에 못 미치거나, 오히려 사회 전체적인 측면에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소위 ‘상업화의 패러독스'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국가에서 지방행정조직을 지방공단이나 공사로 상업화하기 때문에 우리도 당연히 해야 하고, 광역자치단체에서 행정조직을 상업화하기 때문에 기초자치단체에서도 따라서 하는 조직 확대는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o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우리나라 지방행정조직의 개혁에 이론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상업화, 상업화의 패러독스, 지방행정부서, 지방공단, 자료포락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