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대학생들을 위한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 교재개발 및 실행과 학습자 성취도 평가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9-351-B00063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0 개월 (2009년 09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고명희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적게는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어휘 학습 교수법 개발을 시도한다. 학생들 모두가 혼자서, 그리고 자발적으로 어휘 학습을(autonomous vocabulary learning) 할 수 있도록 어휘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교양영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체계적인 어휘 학습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다. 둘째, 크게는 본 어휘 학습 모델을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새로운 어휘 학습 모델의 한 예로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 대학교 대부분이 운영하고 있는 교영영어 혹은 실용영어 프로그램에서 어휘 학습은 필요 조건이라는 점과 아직 체계적인 어휘 학습 모형이 없다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본 학습 모델이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어휘자체가 발화자(speaker)나 글쓴이(writer)의 의도(intended message)를 담고 있어서 잘못 된 어휘의 사용은 잘못 된 문법이나 발음보다 더 치명적인 의사소통 단절(communication breakdown)을 초래 할 수 있다 (Gass, 1988; Nation, 1982; Thornbury, 2002). 이러한 관점에서 효율적인 어휘 학습 모델의 개발이 영어의 4가지 skill 분야를 익히는 데에 촉매 작용을 할 것이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대학교에서 여러해 동안 교양영어 그리고 실용영어를 가르쳐 본 경험에 의거하여 현 대학생들의 어휘에 대한 두 가지 보편적인 현상을 알게 된다. 첫째는 알고 있는 어휘수가 많이 부족하다. 제7차 영어 교육 과정에 따르면 고등학교를 졸업 할 무렵까지 학생들이 익히는 어휘는 1700~1750 단어이다. 이 숫자는 능숙한 영어 사용자로서 살아가는 데에는 부족한 양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수능시험 위주로 훈련을 받은 영향 때문인지, 학생들 대부분이 어휘를 학습할 때에 뜻만 외우는(receptive knowledge of a word) 식의 어휘 학습 태도를 보였다. 영어 단어와 한국어 어휘 사이에 일대일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영한 사전을 통해 무조건 연관되는 한글 뜻만 외웠으므로 학생들이 영어 어휘를 제대로 안다고 할 수 없다. 우리말에 가장 가까운 뜻만 알게 되었을 뿐, 이것을 문맥상에서 어떻게 제대로 사용하는지(productive knowledge of a word)는 모르기 때문이다. 영어 단어를 안다는 것은 수동적 채널로 사용되는 듣기와 읽기에 필요한 수동적 능력(receptive knowledge)과 능동적 채널로 사용되는 말하기와 글쓰기에 필요한 능동적 지식(productive knowledge) 모두를 안다는 것이다. 어느 한쪽만 알고 있다는 것은 그 단어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분명 한계를 초래한다 (Hudson, 2007).
    최근에 본 연구자가 실시한 고려대 교양영어 프로그램 학생욕구조사(needs analysis) 에서도 어휘의 중요성은 입증 되었다. 학생들의 중요한 욕구(needs)중 하나가 단어를 많이 배우는 것 이었다. 강사들과 경영진들(administrators)도 단어의 필요성을 중요한 욕구(need)라 지적 하였다. 문제는 교양영어를 가르치면서 어떻게 단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가이다. 현 프로그램의 상황(context)을 살펴보면 (a) 일주일에 50분 혹은 1시간15분 수업이 두 번이라 읽기(reading)에만 집중을 해도 시간이 모자라는 형편이고, (b) 학생들 마다 아는 단어와 모르는 단어가 제 각기 다르며, 그리고 (c) 모두 성인 학습자들이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볼 때, 학생들에게 혼자서 단어 공부 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각자 스스로 공부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대신 꾸준히 단어를 공부 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주고 학생들 학습 성취도도 측정할 겸 규칙적으로 시험을 보는 방식이 나을 듯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려대 교양영어 프로그램에서 사용 할 자발적인 어휘 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일차적인 목표를 두었다.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을 만들어 1년간 실제 교양영어 수업에서 이를 실행하면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측정할 것이며 더불어 본 모델에 대한 학생들 의견도 모을 것이다. 그 결과를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강사들과 공유하고 개발한 모델의 수업시간 활용방법을 강사들에게 가르칠 것이다. 즉, 강사들은 어휘 학습 모델을 얻고 실제 활용 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를 통해 그 교영영어 프로그램 전체가 어휘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체계화된 시스템을 갖추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보다 큰 목표는 이러한 연구 과정 및 결과를 한국 영어 교육의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분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이 정보를 널리 알리는 데에 있다. 국내의 관련 분야 학회에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여 이 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이들이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에 관련 된 정보를 알도록 할 것이며, 나아가서는 한국 학술재단 등재지 논문집이나 해외 논문집에 본 연구를 출판하여 어휘 학습 분야의 영향력 있는 지식 기반으로 쓰이도록 할 것이다.
  • 기대효과
  • 여기에서는 세 가지의 연구 질문을 중심으로 기대되는 결과와 그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다. 첫번째 연구 질문은 두 집단의 학생들의 어휘 성취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며 설명 할 것이다. 아마도 비교군의 평균값이 더 높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두 집단은 똑같이 자발적 어휘 학습법을 배운 후, 서로 다른 storybook과 구동사 연습을 통해서 어휘를 배우게 된다. 그러나 비교군 집단에서 목표 어휘를 축출해서 어휘 시험을 출제했기 때문에 비교군 집단의 학습자들의 그 목표 어휘에 대한 성취도가 높을 것이다. 그리고 두 집단의 평균 차이가 유의미한지 spss 프로그램을 통해서 p값을 확인 할 것이다. 그 후, 결과에 대한 이유를 논의(discussion) 할 것이다.
    두번째 연구 질문은 비교군 집단 내 학습자들의 성취도를 측정해서 보여주는 것이다. 학습자 개개인의 어휘 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각 개인 학습자들의 pre-vocabulary test 와 post-vocabulary test 점수를 비교 할 것이다. 아마도 post-vocabulary test에서 더 많은 점수를 얻을 것이라 기대된다. 숫자적인 변화 외에 학습자들의 정서적인(emotional)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정성적인(qualitative) 데이터를 발췌형식으로 보여 줄 것이다.
    세번째 연구 질문은 학생들의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과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반응이다. 익명으로 열린형의 설문지를(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 만들어서 학생들의 솔직한 의견을 모을 것이다. 모인 데이터를 카테고리로 분류해서 빈도수와 함께 제시 할 것이다. 그리고 직접적인 발췌도 예로서 보여 줄 것이다. 이러한 정성적인(qualitative) 데이터는 앞의 숫자적인 (quantitative) 데이터와 더불어 학습자들의 모형에 대한 반응과 새로운 어휘 학습법에 대한 의견을 잘 설명해 줄 것이라 믿는다.

    세가지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가 끝나면, 이 연구의 활용방안(implications)에 대해서 논의 할 것이다. 연구 결과 활용방안은 세가지로 계획하고 있다. 첫째는, 연구 결과를 해당기관에 제안을 해서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활용 할 계획이다. 연구 후 그 결과를 강사 워크숍에서 발표하고, 고안한 자발적 어휘 학습법과 관련된 교수법을 자세히 보여 줄 것이다. 그 결과 해당 프로그램의 모든 강사들이 (1) 자발적 어휘학습모델을 얻을 것이고; (2) 어떻게 그 모형을 사용하는지 알게 될 것이며; (3) 관련된 어휘 교수법과 어휘시험 출제법도 배우게 될 것이다. 결국 어휘를 가르치는 방법과 시험 제출 양식이 체계화 되어서 교양영어 프로그램 전체가 좀 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변화 될 것이다.
    두 번째는, 관련 국내 학회에 연구 결과를 발표 할 것이다. 학회를 통해 이 모델과 교수법을 한국 영어 사회에(community) 널리 알리고자 한다.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분들에게 효과적이면서도 우리 실정에 맞는 어휘 교수법과 모델을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다.
    셋째는, 이 모든 데이터를 정리해서 한국 학술진흥재단에 제출한 후 국내 혹은 외국 논문집에 발표 할 계획이다. 그래서 영어교육 사회(community)에 대학생들의 어휘 습득과 효과적인 어휘 교수법의 케이스의 한 예로 보여 줄 것이다. 아직 자발적 어휘 학습에 관한 연구가 별로 없는 영어교육 분야에서는 하나의 의미 있는 지식기반으로 공헌 하리라 생각한다.
  • 연구요약
  •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을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체계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다음 과정을 차례로 수행 할 계획이다. 첫째, 자율적인 어휘 학습 모형을 만들기에 앞서 교양영어를 수강하는 고려대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를 했다.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서 대학생들의 어휘학습 태도와 어휘시험을 치렀던 경험에 대해서 조사했다. 그 결과는 4가지로 요약된다: (a) 여러 종류의 사전의 역할에 대해 알아야 하며; (b) 어휘의 수동적 지식 (receptive knowledge) 못지않은 능동적 지식(productive knowledge)의 중요성을 알아야하며; (c) 구동사 (phrasal verbs)를 많이 알아야 하며; 그리고 (d) 학습자들의 실력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어휘의 수동적 그리고 능동적 지식 둘 다 측정 할 수 있는 어휘 시험이어야 한다이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려대 학생들의 욕구(need)에 맞춘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을 만들었다.
    둘째, 자발적 어휘 학습모델을 실험적으로 가르쳐 보고, 다듬은 후 고려대 교양영어 과목을 1년 동안 가르치면서 실제로 실행과(implementation) 평가를(evaluation) 하려고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알아내고자하는 연구 질문은 3가지이며 다음과 같다.
    1. 비교군 집단과 통제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비교군 집단에 있는 학습자들은 어느 정도 영어 어휘를 배웠는가?
    3.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과 그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연구 참가자 (Participants) -- 교양영어 프로그램에는 4종류의 과목이 있다: 대학영어 1, 2, 3, 그리고 4. 본 연구의 참가자는 대학영어1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섞여서 수업을 듣기 때문에 참가자들의 나이는 19~26세이며 전공은 다양하다. 한 반에 대략 25명 정도의 학생들이 수강한다. 비교군 집단과 통제 집단을 각각 50명 정도로 할 것이며(각각 2반 정도) 총 100명 정도의 학생들이 참가 할 것이다.

    연구 도구 (Materials) -- Pre-test and post-test 디자인을 사용해서 학습자들의 어휘 성취도를 측정 할 것이다. 목표 어휘는 실험 teaching 중에 학생들이 storybooks을 읽으면서 어렵다고 지적한 어휘들과 구동사 exercise 책에서 축출한 어휘로 구성 될 것이다. 구동사는 Michael McCarthy 와 Felicity O'Dell 이 지은 English Phrasal Verbs in Use에 나오는 어휘를 사용 할 것이다. 이렇게 해서 습득된 어휘 중, 비교군 집단이 읽은 storybook에서 30개의 어휘 그리고 구동사에서 20개의 어휘를 무작위(random) 축출하여 총 50 단어를 준비하고 이를 가지고 pre-vocabulary test와 post-vocabulary test로 만들 것이다. 이 두 test는 동일하며 그 형태(format)는 Paribakht and Wesche (1993; 1996; 1997) 가 만든 Vocabulary Knowledge Scale (VKS)를 참고해서 만들었다. 이 VKS 스케일(scale)은 “전혀 그 단어를 모름”에서 “그 단어를 문맥을 통해 사용 할 수 있다”까지 5가지 스케일(scale)로 만들어졌으며 학습자의 self-reporting과 어휘 사용 능력을 통해 특정한 어휘를 어느 정도까지 아는 지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자료 수집 절차 (Procedures) -- 대학영어1을 택하는 4반의 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눠서 두 반을 비교군으로 나머지 두반은 통제군으로 설정 할 것이다. 학기 첫날 학생들에게 어휘 지식을 진단한다고 말하고서 pre-vocabulary test를 양쪽 집단에 줄 것이다. 학기 두 번째 주에 양쪽 집단의 학생들은 자발적 어휘 학습법에 대해서 배우게 된다. 그런 후 학생들은 수업시간 중에 어휘를 배우지는 않는다. 대신 항상 어휘 공부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고, 수업내용 성취도 확인을 위해서 storybook에 대한 시험을 볼 때 마다 어휘시험도 같이 보게 된다 (대학영어1에 관련된 시험).
    대학영어 1과목은 통제된(controlled) 다독식(extensive reading) 접근법으로 가르칠 것이다. 두 집단 모두 대학영어1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공평하게 다룰 것이다. 두 집단의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100페이지 정도에 해당하는 3권의 storybook을 읽을 것이다. 비교군 집단과 통제 집단은 각각 다른 3권의 storybook을 읽을 것이며, 그리고 각각 다른 구동사를 공부 할 것이라는 점에서 차별된다. 비교군 집단은 구동사 책의 1과부터 30과까지를 학습할 것이고, 통제 집단은 31과부터 60과까지에 나와 있는 구동사를 익힐 것이다. 다시 말해, 두 집단이 공통적으로 자발적 어휘 학습 모델을 통해 학습하지만 읽는 책들이 다르기 때문에 학습하게 되는 어휘는 다른 것이다. 학기 마지막 날 학생들은 기대하지 않았던(unexpected) post-vocabulary test를 치른다. 그 시험의 형태와 응시 방법은 pre-vocabulary test와 같다.
  • 한글키워드
  • 영어 어휘 학습법,자발적 어휘 학습 모형,대학생들의 어휘 학습 모델
  • 영문키워드
  • Autonomous vocabulary learning model,Vocabulary learning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English vocabulary learning approach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필요욕구 조사를 근거로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을 고안한 후, 이를 직접 수업해 보고, 한 학기에 걸쳐 본 모형이 세 가지 부분에서 효과가 있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첫째,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둘째, 자발적 어휘학습의 결과로 유의미한 어휘능력 향상이 있었는가 셋째, 어휘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태도의 변화가 있었는가 대학영어 읽기 과목을 수강하는 39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150 페이지 정도의 소설 두 권을 읽었다. 학기 첫 날 학생들은 학습자들의 수동적 및 능동적 어휘지식을 측정하는 43개의 어휘 항목으로 구성된 사전 어휘시험을 치렀다. 학기 첫째 주 수업에서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을 통해 학습자가 독립적, 효과적으로 영어어휘를 익히는 방법을 배웠다. 또한 본 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후 학습자들은 학기 중 수업시간에 별도로 어휘를 배우지 않았으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대비하여 두 권의 교재에서 선택된 200개의 어휘 목록을 제공받았다. 사후 어휘시험은 중간과 기말고사에서 본문 내용에 대한 시험과 함께 실시되었다. 사전 어휘시험과 동일한 4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연습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어휘 항목의 배열이나 형태가 다소 변경되었다. 학기 마지막 날,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어휘학습법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자발적 어휘학습법이 여러 면에서 효과적이라는 것과 본 모형의 본래 목적이 상당부분 달성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우선,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통해 어휘지식이 수동적 및 능동적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과 구동사의 중요성, 그리고 사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법의 중요성 등을 학습자들이 충분히 숙지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사전 어휘시험과 사후 어휘시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어휘학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변화 조사에서도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는데, 예컨대 학습자들은 어휘를 학습할 때 어휘의 뜻뿐만 아니라 활용법 또한 익히게 되었고, 사전을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온라인 콘코던스를 이용하고, 구동사를 더욱 적극적으로 익히게 되었다고 보고했다.
  • 영문
  •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autonomous vocabulary learning lesson module to college students in Korea. College students should study vocabulary by themselves since they are adult learners, class time is limited, and everyone has a different repertoire of L2 vocabulary. Thus, the present study presents an autonomous vocabulary learning lesson module devised with considera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 needs and evaluates its effectiveness through three perspectives: (a) student reactions toward the lesson module; (b) quantitative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c) qualitative student learning outcomes. Thirty nine college students taking an English reading cours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course was primarily designed to improve the students’ general reading skills, although other skill areas were considered as well. They read two books (about 150 pages in length) for the course: The Citadel and Pride and Prejudice. These books are simplified books for L2 readers. Students were assigned to read several chapters and were given various post-reading activities in class. On the first day of the course, they were given a pre-vocabulary test, which consisted of 43 words selected from the vocabulary item pool that the author prepared based on student needs from previous classes. On the pre-vocabulary test, students were assessed o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of a word. In other words, they were asked to provide word definitions either in Korean or English and use each word in context by producing a sentence using the target word. In the first week of the semester, they were taught how to study a word using the autonomous vocabulary learning lesson module and asked to report their reactions toward the module. After, they were not taught any word during the class but had to independently prepare for post-vocabulary tests given as part of midterm and final exams. Word lists were given to the students to prepare for the exams: 120 words for The Citadel and 80 words for Pride and Prejudice. The two post-vocabulary tests consisted of 43 words altogether. Again, they were asked to provide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of a word. In order to prevent the practice effect between the pre/post-vocabulary tests, the arrangement and wordings were given differently. On the last day of the course, students were asked to report on their attitudinal changes as part of course evaluation. Overall,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autonomous vocabulary learning lesson module was effective for the students. Regarding learner reactions, students reported that, most importantly, they learned that a word has two types of knowledge. They also answered that they learned how to use dictionaries and online concordances and the importance of phrasal verbs. Regarding quantitative learning outcomes,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vocabulary tests, most having improved their scores in post-vocabulary test. With respect to qualitative learning outcomes, they reported various positive attitudinal changes: (a) besides learning definitions, they often looked up how the word is used in context; (b) they made better use of dictionaries and online concordances; and (c) they made an effort to learn phrasal verbs. In short, the data from reactions, pre/post-vocabulary tests and survey on attitudinal changes demonstrated many positive outcomes toward the new vocabulary teaching method for Korean college stud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필요욕구 조사를 근거로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을 고안한 후, 이를 직접 수업해 보고, 한 학기에 걸쳐 본 모형이 세 가지 부분에서 효과가 있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첫째,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은 어떠했는가? 둘째, 자발적 어휘학습의 결과로 유의미한 어휘능력 향상이 있었는가? 셋째, 어휘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태도의 변화가 있었는가? 대학영어 읽기 과목을 수강하는 39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150 페이지 정도의 소설 두 권을 읽었다. 학기 첫 날 학생들은 학습자들의 수동적 및 능동적 어휘지식을 측정하는 43개의 어휘 항목으로 구성된 사전 어휘시험을 치렀다. 학기 첫째 주 수업에서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을 통해 학습자가 독립적, 효과적으로 영어어휘를 익히는 방법을 배웠다. 또한 본 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후 학습자들은 학기 중 수업시간에 별도로 어휘를 배우지 않았으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대비하여 두 권의 교재에서 선택된 200개의 어휘 목록을 제공받았다. 사후 어휘시험은 중간과 기말고사에서 본문 내용에 대한 시험과 함께 실시되었다. 사전 어휘시험과 동일한 4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연습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어휘 항목의 배열이나 형태가 다소 변경되었다. 학기 마지막 날,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어휘학습법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에 응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자발적 어휘학습법이 여러 면에서 효과적이라는 것과 본 모형의 본래 목적이 상당부분 달성되었음을 보여 주었다. 우선,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통해 어휘지식이 수동적 및 능동적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과 구동사의 중요성, 그리고 사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법의 중요성 등을 학습자들이 충분히 숙지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사전 어휘시험과 사후 어휘시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어휘학습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변화 조사에서도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는데, 예컨대 학습자들은 어휘를 학습할 때 어휘의 뜻뿐만 아니라 활용법 또한 익히게 되었고, 사전을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으며, 온라인 콘코던스를 이용하고, 구동사를 더욱 적극적으로 익히게 되었다고 보고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여러 측면에서 자발적 어휘학습법의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었다. 첫째, 본 연구에 참가한 학습자들은 어휘가 수동적 지식과 능동적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신들이 말하기와 글을 쓸 때 어려움을 겪는 주된 이유가 어휘를 제대로 활용하는 능동적 지식의 부재임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따라서 향후 사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구동사를 익히며 온라인 콘코던스를 활용해야겠다고 보고했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은 어휘를 안다는 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사전시험과 사후시험을 통해 두 시험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줌으로서 수치적으로 어휘능력 향상을 보여주었다. 즉,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으로 학습한 결과 학습자들의 영어어휘가 상당 수준 향상되었다. 셋째, 정서적 성취도를 위해서 측정한 한 학기 동안의 어휘학습법 관련 인식 및 태도 변화에 대한 조사에서 학습자들은 네 가지 영역에서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했다: (a)어휘의 뜻 이외에도 활용법에 대해서 익히게 되었으며; (b)영어사전을 좀 더 잘 활용하게 되었고; (c)구동사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고; (d) 온라인 콘코던스도 필요에 따라서 활용하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계획하고 있다. 첫째, 국내의 영어교육 학회에 본 어휘모형과 교수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성인 학습자들과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이들에게 한국 실정에 적합한 효과적인 어휘교수법과 모형을 알리고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둘째는, 연구결과를 해당연구기관의 영어읽기 프로그램 웹싸이트에서 활용할 계획인데, 예를 들어 원하는 강사들이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을 자신들의 수업시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셋째는,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을 널리 알리기 위해, 국내의 영어교육관련 학술지에 본 연구를 발표할 계획이다. 이러한 모든 노력이 한국의 성인 학습자들을 위한 어휘학습 연구가 미흡한 현 영어교육 상황에서 의미 있는 지식기반으로 공헌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어휘학습법, 영어어휘 학습법, 어휘교수법, 영어어휘 교수법, 자발적 어휘학습 모형, 자발적 어휘학습 모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