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치원과 초등학교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계성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B00605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황윤세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40;삼척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유아는 성장·발달함에 따라 가족 구성원, 또래 그리고 교사 등으로 인간관계의 영역을 넓혀 나가면서 사회화 과정을 경험하는데, 이 시기는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인해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적절한 교육경험으로 유아교육과정에 통합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최근 사회의 변화 추이는 유아의 조기 사회화 경험을 교육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교육 연령의 하향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는 교육기관에 대한 경험의 증가와 이후의 교육과도 통합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들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 분석의 필요성을 현장의 측면인 교육 실제적 필요성, 학문적인 필요성, 그리고 사회적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 실제적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첫째, 유아의 측면에서,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과 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유의미한 생활을 위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성 분석은 필요하다. 둘째, 부모의 측면에서, 유아의 문제는 유아 개인의 비단 유아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과 부모와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과 적응의 문제는 부모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성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셋째, 교사의 측면에서, 유치원 교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며, 초등학교 교사 역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상방 간의 이해를 통해서 진정한 교육의 연계가 이루어 질 수 있다.
    학문적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새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따라서 각급 학교간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특정 영역과 특정 교과 내에서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구성의 주요원리 중의 하나는 통합성이다. 그러므로 통합성을 고려한 연계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최근의 프로그램 평가 연구들은 혼합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으며,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고, 친구로서의 프로그램 평가를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평가 동향을 반영한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이 절실하다.
    사회적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성 분석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의 수월성 제고의 측면에서 유치원 교육과 초등학교 교육은 연계성이 반드시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와 아동의 전인적 발달과 교육의 수월성 제고의 문제는 국가의 발전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이러한 필요에 근거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 분석은 매우 중차대한 문제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현재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는 새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이전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또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의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포함한다. 첫째, 새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성에 따른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이 절실하다. 둘째, 과거 교육과정에서의 연계성 문제가 새 교육과정에서는 어느 정도 보완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셋째, 현재까지 연계성 분석은 주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 이루어졌으나,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통합 교육과정이므로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이 분석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독창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의 연계성 분석이 아닌 영역 간 혹은 교과 간의 통합적 관점에서 교육과정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교육과정 연계성을 분석함에 있어, 교육과정 문서 분석뿐만 아니라, 교실 관찰, 교사와 부모 면담, 유아의 학습준비 전반적인 프로그램 평가를 혼합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상에 나타난 새 교육과정의 연계성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교육의 실제에서 교사와 부모의 신념, 인식, 실제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와 아동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준비와 적응은 어떠한가?
    따라서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연계성 분석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교육과정 운영 지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 후속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연구결과의 기대 효과를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 인력양성 방안, 교육과의 연계성 방안으로 나누어 기대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학문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 분석을 통해 유치원 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연계성 연구에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의 분석이 아닌 통합적 관점에 연계성을 분석함으로써 이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학문적 발전을 일 진전 시킬 것이다. 셋째, 최근 프로그램 평가의 연구 동향을 반영한 혼합연구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 관련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

    본 연구의 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교육 및 사교육 열풍의 문제와 연령의 하향화로 교육과정 연계성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본 연구는 기여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연계성 검토는 교육의 수월성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연계성의 문제는 이후의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유아의 전인적 발달은 미래의 인재육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계성 분석 연구는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인력양성 방안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보일 것이다.첫째, 유치원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연계성에 대한 내용을 교사양성 및 현직 교육에 포함하는 데에 본 연구는 기여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교육대학 재학생인 예비교사들에게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 교육을 통해 교육과정 연계성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후의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라는 인식을 제고할 것이다. 이는 유아의 전인적 발달은 미래의 인재육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계성 분석 연구는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의 연계성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보일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교사들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연계성을 고려하여 이후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들이 아동들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해 유치원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유, 초연계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가정에서 이를 교육실제 적용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2007년도 유치원과 초등학교 새 교육과정이 고시 됨에 따라 이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Greene, 2007; Teddlie & Tashakkori, 2009)를 사용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양적·질적 접근을 거의 동등하게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활과 관련되는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정도를 검토하는데 있어 연구대상, 자료수집, 자료분석에 이르기까지 양적·질적이라는 두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양적연구를 위한 대상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유아와 아동들의 학습 준비와 적응에 도구들이다. 그리고 질적 연구를 위해 관련 교육기관의 교사들이다. 자료수집방법은 교육과정 분석, 유아와 아동의 적응 상ㅌ태, 교사와 부모를 통해 양적 및 질적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절차는 본 연구는 Denzin(1978)이 제안한 네 가지 유형의 삼각화 기법(triangulation) 중 자료(data)의 삼각화와 방법론적(methodological) 삼각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자료의 삼각화는 유·초연계교육의 실제를 분석하기 위해 고시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을 면담하므로 하나의 연구를 위해 다양한 자료원을 활용하였다. 둘째, 방법론적 삼각화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교사들의 신념과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는 방법을 택하였다. 셋째, 유아와 아동에 대한 유치원과 학교에 대한 적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료와 방법의 삼각화를 포함하여 혼합연구 방법(Greene, 2007; Teddlie & Tashakkori, 2009)에 따라 진행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의 필요성, 연구방법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새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한다. 둘째, 특정 영역 혹은 교과 중심이 아닌 통합적 관점에서 교육과정 연계성을 분석한다. 셋째, 다양한 차원 즉 고시된 교육과정, 유아와 아동, 교사 및 부모에 통한 프로그램 평가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예상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및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 정도는 높거나 낮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유아와 아동들의 일부는 초등학교 적응에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 간에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성에 대한 신념, 인식, 실제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교육과정 연계성,유치원 교육과정 평가,유치원 교육과정,유·초 연계교육,초등학교 교육과정
  • 영문키워드
  • articulation of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elementary school curriculum,early childhood curriculum evaluation,curriculum articulation,early childhood curriculu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사회의 변화 추이는 유아의 조기 사회화 경험을 교육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교육 연령의 하향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는 교육기관에 대한 경험의 증가와 이후의 교육과도 통합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는 새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이전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또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의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포함한다.
    첫째, 새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성에 따른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이 절실하다. 둘째, 과거 교육과정에서의 연계성 문제가 새 교육과정에서는 어느 정도 보완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셋째, 현재까지 연계성 분석은 주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 이루어졌으나,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 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통합 교육과정이므로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이 분석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새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 분석을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함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교육과정 운영 지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 후속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상에 나타난 새 교육과정의 연계성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교육의 실제에서 교사와 부모의 신념, 인식, 실제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와 아동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준비와 적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Greene, 2007; Teddlie & Tashakkori, 2009)를 사용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양적․질적 접근을 거의 동등하게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활과 관련되는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정도를 검토하는데 있어 연구대상, 자료수집, 자료분석에 이르기까지 양적․질적이라는 두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양적연구를 위한 대상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유아와 아동들의 학습 준비와 적응에 도구들이다. 그리고 질적 연구를 위해 관련 교육기관의 교사들이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탐구생활과 초등학교 관련 교육과정 간의 연계정도 알아 보기위해 현행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관련 문서들을 분석하였다. 즉 유치원 교육과정,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초등학교 교육과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연계성 정도에 유아와 아동들의 각급학교에 대한 적응과 학습준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에 포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enzin(1978)이 제안한 네 가지 유형의 삼각화 기법(triangulation) 중 자료(data)의 삼각화와 방법론적(methodological) 삼각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자료의 삼각화는 유․초연계교육의 실제를 분석하기 위해 고시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을 면담하므로 하나의 연구를 위해 다양한 자료원을 활용하였다. 둘째, 방법론적 삼각화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교사들의 신념과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는 방법을 택하였다. 셋째, 유아와 아동에 대한 유치원과 학교에 대한 적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료와 방법의 삼각화를 포함하여 혼합연구 방법(Greene, 2007; Teddlie & Tashakkori, 2009)에 따라 진행하고자 한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에 대한 연구 수행결과 예상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및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 정도는 높거나 낮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유아와 아동들의 일부는 초등학교 적응에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 간에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성에 대한 신념, 인식, 실제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영문
  • Research on the Shared Articulation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a

    This study analyzes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curricula with regard to the articulated correspondence in concepts and practice from early childhood curriculum to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Equal status mixed method designs were used to achieve a balanc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The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was analyzed using a quantitative approach. Educational objectives were considered indicative of the degree of articu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lementary․ Early childhood mathematics related to first grade elementary school. The criteria used to assess the degree of articulation between the two curricula consisted of correlation, inclusion, order, continuity, sequence commonnes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assess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two curricula using only an analysis of the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because of the complex dynamics of educational practice. S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ree first grade and kindergarten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related practices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articulation regarding science between the two curricula is consistently high but articulation regarding mathematics is not consistently high. Second, analyses of! the interview data on interview with regard to beliefs, knowledge as they are articulated in practice,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유아는 성장․발달함에 따라 가족 구성원, 또래 그리고 교사 등으로 인간관계의 영역을 넓혀 나가면서 사회화 과정을 경험하는데, 이 시기는 현대사회의 특징으로 인해 점점 더 빨라지고 있다.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적절한 교육경험으로 유아교육과정에 통합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최근 사회의 변화 추이는 유아의 조기 사회화 경험을 교육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교육 연령의 하향화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는 교육기관에 대한 경험의 증가와 이후의 교육과도 통합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새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는 새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이전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또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의 분석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문제를 포함한다.
    첫째, 새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방향성에 따른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이 절실하다. 둘째, 과거 교육과정에서의 연계성 문제가 새 교육과정에서는 어느 정도 보완되었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셋째, 현재까지 연계성 분석은 주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 이루어졌으나,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은 통합 교육과정이므로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이 분석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새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 분석을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함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교육과정 운영 지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 후속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본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상에 나타난 새 교육과정의 연계성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교육의 실제에서 교사와 부모의 신념, 인식, 실제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와 아동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준비와 적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Greene, 2007; Teddlie & Tashakkori, 2009)를 사용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양적․질적 접근을 거의 동등하게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유치원 교육과정활과 관련되는 1학년 교육과정의 연계정도를 검토하는데 있어 연구대상, 자료수집, 자료분석에 이르기까지 양적․질적이라는 두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의 대상은 양적연구를 위한 대상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유아와 아동들의 학습 준비와 적응에 도구들이다. 그리고 질적 연구를 위해 관련 교육기관의 교사들이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탐구생활과 초등학교 관련 교육과정 간의 연계정도 알아 보기위해 현행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관련 문서들을 분석하였다. 즉 유치원 교육과정,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초등학교 교육과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연계성 정도에 유아와 아동들의 각급학교에 대한 적응과 학습준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연구대상에 포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enzin(1978)이 제안한 네 가지 유형의 삼각화 기법(triangulation) 중 자료(data)의 삼각화와 방법론적(methodological) 삼각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자료의 삼각화는 유․초연계교육의 실제를 분석하기 위해 고시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분석과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을 면담하므로 하나의 연구를 위해 다양한 자료원을 활용하였다. 둘째, 방법론적 삼각화는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대해 교사들의 신념과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는 방법을 택하였다. 셋째, 유아와 아동에 대한 유치원과 학교에 대한 적응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료와 방법의 삼각화를 포함하여 혼합연구 방법(Greene, 2007; Teddlie & Tashakkori, 2009)에 따라 진행하고자 한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에 대한 연구 수행결과 예상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및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 정도는 높거나 낮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유아와 아동들의 일부는 초등학교 적응에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 간에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성에 대한 신념, 인식, 실제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에 대한 연구 수행결과 예상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및 통합적 관점에서 연계성 정도는 높거나 낮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유아와 아동들의 일부는 초등학교 적응에서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그리고 학부모 간에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성에 대한 신념, 인식, 실제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먼저, 활용계획을 학문적 기여도와 사회적 기여도로 나누어 제시하고, 다음으로 연구성과를 교육과의 연계와 인력양성 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활용계획을 학문적 기여도와 사회적 기여도의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학문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새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 분석을 통해 유치원 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연계성 연구에서 특정 영역 혹은 교과 내에서의 분석이 아닌 통합적 관점에 연계성을 분석함으로써 이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학문적 발전을 일 진전 시킬 것이다.
    셋째, 최근 프로그램 평가의 연구 동향을 반영한 혼합연구 방법론을 적요함으로써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가 관련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

    본 연구의 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교육열풍의 문제와 연령의 하향화로 교육과정 연계성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본 연구는 기여할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연계성 검토는 교육의 수월성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연계성의 문제는 이후의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유아의 전인적 발달은 미래의 인재육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계성 분석 연구는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성과를 교육과의 연계와 인력양성방안으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교육과의 연계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교육의 실제에서 교사들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연계성을 고려하여 이후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들이 아동들의 초등학교 적응을 돕기 위해 유치원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유, 초연계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가정에서 이를 교육실제 적용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성과에 대한 인력양성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현직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연계성에 대한 내용을 교사양성 및 현직 교육에 포함하는 데에 본 연구는 기여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현직교사와 교육대학 재학생인 예비교사들에게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 교육을 통해 교육과정 연계성의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후의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유아의 전인적 발달은 미래의 인재육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계성 분석 연구는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유치원, 초등학교, 유초 연계교육, 교육과정, 연계성, 교육과정 평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