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09-327-B00458
선정년도 2009 년
연구기간 1 년 (2009년 11월 01일 ~ 2010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박미은
연구수행기관 한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그 어느 때 보다 높다. 그 일차적인 배경은 1980년대 이후 국제결혼의 꾸준한 수적 증가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배경으로는 이들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들이 개인과 가족의 수준을 뛰어넘어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혼이주여성의 적응과 관련하여 그 동안 수행되어진 연구들을 보면 대부분 이주여성 개개인이 경험하는 내면적 혼란과 문화갈등, 혹은 부부나 가족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부적응 및 인권과 복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의 적응과 관련하여 국내의 관련 연구들에서 간과되어 온 것이 있다면 그것은 이들의 경제활동 혹은 취업경험에 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한 학술적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단지, 일부 시민단체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정부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실태 및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차원에서 이들의 경제활동이나 취업 여부를 파악한 정도에 불과하다. 관련 실태조사의 결과를 보면, 조사시점과 방법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이주여성들이 취업의 의사가 있으며, 개인적인 이유이든 가족적인 이유이든 취업을 통해 경제적 안정과 일정한 수입을 원하고 있다. 또한 현재 취업중인 여성의 비율이 최소 30%대에서 60%대 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앞으로 취업의 여건이 향상된다면 실제 취업의 비율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들 여성들의 취업경험은 - 다양한 개인차가 있겠으나- 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면이 분명 존재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구직활동이나 직업유지에서 현실적인 장애물과 편견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그 동안 학술적 연구나 사회적 관심의 대상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과 관련한 경험을 심층면접을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즉,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그들이 처한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실제로 어떠한 취업의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그들의 입장에서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이와 관련한 취업대책 수립에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그들을 둘러싼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실제로 어떠한 취업의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그들의 입장에서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갖는다.
    즉, 먼저, 이론적 측면의 효과로는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직업경험에 대한 최초의 현상학적 연구라는 점이다. 그 동안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이나 사회적 관계(부부 및 가족)상의 갈등과 해소방안을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들의 직업경험을 최초로 탐색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확산시키고, 후속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둘째, 실천적 측면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활동에 대한 가족 및 사회 차원의 편견과 차별의 잠재성을 줄이고,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 개발 및 근로여건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서구 중심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수성과 결혼이주여성이 처한 사회환경적 맥락에서 이들의 취업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천가들에게 공감적 이해와 민감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그들을 둘러싼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실제로 어떠한 취업의 경험을 하고 있는지 그들의 입장에서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배경으로는 우선 결혼이주여성의 적응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에서 취업경험에 대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는 점이다. 또한 현재 취업중인 이주여성의 경우에도 본국에서의 경험과 비교하여 낮은 수준의 임금과 근로여건에 처해했으며, 구직활동이나 직업유지에 있어서도 가족의 몰이해 및 육아문제, 의사소통의 장벽 등으로 많은 어려움과 차별을 겪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거하여 10명의 참여자들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하고자 한다. 그 첫째는 결혼 전 외국 국적을 가진 자로서 한국 남성과 결혼하여 가족을 이룬 여주여성으로서, 현재 취업 중인 자로 한다. 둘째, 연구참여자와는 심층면접을 통한 자료수집이 주가 되므로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로 하고자 한다. 셋째, 결혼기간을 포함한 이주기간은 최소한 4년이 경과한 결혼이주여성을 선정하고자 한다. 넷째, 위의 기준을 충족시키면서도 연구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해 자발적 동의를 한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 표집은 대전광역시(2개소)와 충청남도(7개소), 충청북도(7개소)에 소재한 다문화가정지원센터를 통해 상기 기준에 부합하는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가진 대상자를 의뢰받고자 한다. 또한 자료를 수집하기 전, 연구의 목적과 참여자의 권리 그리고 윤리적인 고려에 대하여, 연구참여자에게 설명하고 동의를 얻도록 한다. 자료는 개방형 면접, 관찰과 현장노트 등을 통하여 수집하고자 하며, 심층적인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자가 표준화한 개방형 면접(standardized open-ended interview) 기준에 대해 연구자가 먼저 숙지하고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고자 한다. 풍부한 자료를 얻기 위해, 참여자 1인당 1시간에서 2시간씩 면접을 실시하도록 하며, 이해가 더 필요한 부분은 추가면접을 2-5회 정도 진행하여 자료를 얻을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질문은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질문을 위해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면접지침(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① 현재 취업하여 일하고 있는 상황은 어떠한가? ② 취업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일의 의미는 무엇인가? ③ 취업 후 달라진 점(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은 무엇인가? ④ 취업에 도움이 되거나 힘든 점은 무엇인가? ⑤ 취업에 대해 가족 및 주변인의 태도는 어떠한가? ⑥ 일을 계속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과 관련하여 앞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이다.
    자료분석에서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Guba와 Lincoln이 제시한 기준(사실적 가치(truth value), 적용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에 의거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진행에 대해 지오르기 (Giorgi)의 연구방법을 충분히 이해하는 전문가의 자문과 검토를 받으며, 연구방법 및 주제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자의 사전준비와 더불어,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이해에 대한 괄호치기(판단중지)를 가능한 중립성을 유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먼저 이론적인 면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직업경험에 대한 최초의 현상학적 연구라는 점이며, 실천적 측면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관련 실천가들에게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민감성을 한층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취업경험,결혼이주여성,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 영문키워드
  • immigrant women,job experience,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한국사회에서의 심리적, 사회적 적응 혹은 부적응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경제활동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현실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 목적을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경험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하는데 있었다. 즉, 결혼이주여성들이 일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내용을 그들의 입장에서 청취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과 충청권의 다문화센터를 통해 현재 취업하여 일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9명을 의뢰 받아 2-3차례 2시간 전후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질문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경험은 어떠한가"이었으며, 보다 구체적인 면접리스트를 활용하여 가능한 충분하고 적정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을 심층면접한 결과 총 4개의 구성요소와 15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에는 미로같은 취업, 준비안된 기회의 땅에서 버텨내기, 돌아 돌아 결국은 목표를 향하여, 한국에서 뿌리내리기였다. 15개의 하위범주로는 유리문 같은 한국의 채용조건, 일-가정 양립의 부담, 구직통로의 한계, 제한된 일자리와 맞지 않는 옷, 부당하지만 작아질 수 밖에 없는 나, 낯설음을 인정 안 함, 현실적 한계, 웅크리고 기다리기, 안정받기, 쓸모있는 사람이 되어가기, 나의 모습으로 그리고 나의 강점 찾기, 주체되어 살아가기, 한국사회에 끼여들기, 평범하게 살아가기, 내가 살곳은 한국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이 경험하는 취업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고통을 겪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한국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가려는 희망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 및 의의는 크게 이론적, 실천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이론적 측면의 효과로는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직업경험에 대한 최초의 현상학적 연구라는 점이다. 그 동안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이나 다양한 사회적 관계(부부 및 가족)상의 갈등과 과제를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들의 직업경험을 최초로 탐색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확산시키고, 후속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둘째, 실천적 측면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활동에 대한 가족 및 사회 차원의 편견과 차별의 잠재성을 줄이고,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 개발 및 근로여건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서구 중심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수성과 결혼이주여성이 처한 사회환경적 맥락에서 이들의 취업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천가들에게 공감적 이해와 민감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utiliz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Job Experience of Immigrant Women. Due to the low accessibility of objects and the distinctiveness of the topic, I have selected 9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s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re were 4 superior component elements and 15 inferior component elements. This research result will be useful in seeking an effective social service intervention plan for successful adaptation of working Immigrant Women in Korea.

    Key words: Immigrant Women, Job Experience,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관련하여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경제활동 혹은 취업경험에 초점을 주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전과 충청권의 다문화센터를 통해 현재 취업하여 일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9명을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한 방법론은 지오르기(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을 토대로 하였으며, 연구질문은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은 어떠한가"였다. 결혼이주여성을 심층면접한 결과 총 4개의 구성요소와 15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에는 미로같은 취업, 준비안된 기회의 땅에서 버텨내기, 돌아 돌아 결국은 목표를 향하여, 한국에서 뿌리내리기였다. 15개의 하위범주로는 유리문 같은 한국의 채용조건, 일-가정 양립의 부담, 구직통로의 한계, 제한된 일자리와 맞지 않는 옷, 부당하지만 작아질 수 밖에 없는 나, 낯설음을 인정 안 함, 현실적 한계, 웅크리고 기다리기, 안정받기, 쓸모있는 사람이 되어가기, 나의 모습으로 그리고 나의 강점 찾기, 주체되어 살아가기, 한국사회에 끼여들기, 평범하게 살아가기, 내가 살곳은 한국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이 경험하는 취업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이들의 취업을 지원하는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경험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즉, 결혼이주여성들이 일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내용을 그들의 입장에서 청취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과 충청권의 다문화센터를 통해 현재 취업하여 일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9명을 의뢰 받아 2-3차례 2시간 전후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질문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경험은 어떠한가"이었으며, 보다 구체적인 면접리스트를 활용하여 가능한 충분하고 적정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을 심층면접한 결과 총 4개의 구성요소와 15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에는 미로같은 취업, 준비안된 기회의 땅에서 버텨내기, 돌아 돌아 결국은 목표를 향하여, 한국에서 뿌리내리기였다. 15개의 하위범주로는 유리문 같은 한국의 채용조건, 일-가정 양립의 부담, 구직통로의 한계, 제한된 일자리와 맞지 않는 옷, 부당하지만 작아질 수 밖에 없는 나, 낯설음을 인정 안 함, 현실적 한계, 웅크리고 기다리기, 안정받기, 쓸모있는 사람이 되어가기, 나의 모습으로 그리고 나의 강점 찾기, 주체되어 살아가기, 한국사회에 끼여들기, 평범하게 살아가기, 내가 살곳은 한국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이 경험하는 취업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취업과정에서 많은 어려움과 고통을 겪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한국사회에서 당당하게 살아가려는 희망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 및 의의는 크게 이론적, 실천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이론적 측면의 효과로는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직업경험에 대한 최초의 현상학적 연구라는 점이다. 그 동안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이나 다양한 사회적 관계(부부 및 가족)상의 갈등과 과제를 다룬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들의 직업경험을 최초로 탐색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확산시키고, 후속연구에 대한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이론적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둘째, 실천적 측면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활동에 대한 가족 및 사회 차원의 편견과 차별의 잠재성을 줄이고, 취업을 지원하는 서비스 개발 및 근로여건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서구 중심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우리 사회의 문화적 특수성과 결혼이주여성이 처한 사회환경적 맥락에서 이들의 취업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천가들에게 공감적 이해와 민감성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결혼이주여성, 취업 경험, 현상학적 연구, 의미와 본질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