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미군정기 형사사법정책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2-B00564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창윤
연구수행기관 경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국에서 전개된 미군정기(1945-1948)의 형사사법정책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 당시 형사사법정책의 특징과 형사사법제도의 모습은 어떠했는지를 각 시기별로 고찰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형사사법정책은 국가의 정책, 정치 이데올로기, 국민의 공통된 가치관 및 국민정신 등을 반영해야 하며, 형사사법정책을 추진하는 형사사법활동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형사사법제도는 형사사법정책의 실현을 위해서 최적화ㆍ효율화된 조직을 의미하며, 형사사법행정은 형사사법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제반 조직과 제도를 본래의 목적달성에 맞게 운영하는 지원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형사사법정책은 목적달성을 위한 방안이며, 형사사법제도는 정책목적에 맞게 제도화된 조직이고, 형사사법행정은 제도화된 실체를 운영하는 제반 행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 국가의 형사사법정책은 형사사법기관의 제반조직과 제도에 영향을 미치며, 형사사법조직은 그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쳐 형사사법정책에 따른 형사사법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미군정기의 대한정책은 형사사법정책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남한에서의 사회통제적인 형사사법체계 창설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러한 형사사법제도는 이후에도 계속 이어져 오늘날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동안 미군 점령시기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상당 양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양국의 형사사법정책에 대한 연구는 미군정의 점령정책과 제반 행정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필수적인 정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군정하 한국의 형사사법정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견학필(1983), 최상룡(1985), 김일자(1991), 김영명(1998), 김재영(2000), 강혜경(2002), 차상철a(1995), 차상철b(2000), 차상철c(2002), 안진(2005) 등은 대한정책을 주로 다루면서 치안정책을 부분적으로 언급하고, 김창윤(2008)의 연구에서 미군정에서의 치안정책을 다루었다. 한일 양국 미군정기 점령정책의 비교연구에는 남정기(1991), 오일환(1996), 이혜원․이영환․정원오(1998), 최복천(1998) 등의 연구가 있지만 이러한 제반 연구들에서는 정당정책, 좌익정책, 빈곤정책, 토지정책 등을 주로 다루는 등 미군정기 남한의 형사사법정책을 비교한 연구는 드물다고 할 수 있다. 즉, 지금까지의 제반 연구들은 미군정기에 대한 대한정책(점령정책)을 주로 다루거나, 사회정책을 다루는 등 형사사법정책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미군정기의 대한정책은 美대한정책의 기본방침을 실현하는 방편으로 실행되면서 국가정책과 동일한 기능을 하였으며, 이 당시의 형사사법정책은 미군정의 대한정책을 바탕으로 형사사법이념을 실현하는 기본적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이 당시의 형사사법정책을 고찰하는 것은 매우 큰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발전 공헌

    (1) 한국 형사사법체계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지평 확대

    본 연구는 한국 형사사법체계가 시작되고 확립되는 미군정기를 그 당시의 대한정책과 연관하여 고찰함으로써 왜 오늘날과 같은 형사사법체계가 구축되었는지를 이해하는데 보다 큰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미군정의 초기인 ‘형사사법제도 도입기’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친 정치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분석을 통해서 형사사법기관이 출범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사사법제도 성장기’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친 정치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분석을 통해서 대한정책과 냉전정책이 어떻게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독립국가수립 ‘형사사법제도 확립기’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친 정치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분석을 통해서 ‘신탁통치안의 폐기와 남한에 대한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국가 수립정책’과 ‘대소방파제 구축’정책이 어떻게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2) 한국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의 제공

    국내의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연구가 개별기관에 대한 변천과정 소개나 조직소개에 관한 연구 등에 치중해 온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형사사법체계가 성립되는 과정을 정책과정이론을 통한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여 미군정기 형사사법체계가 구축되고 확립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즉, 미군정기 형사사법정책을 새로운 분석틀을 통해서 연구함으로써 미군정의 대한정책이라는 결정요인에 의해서 미군정 형사사법정책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형사사법정책은 오늘날과 같은 형사사법체계의 수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 연구요약
  • 미국은 미군정을 통해서 1945년에서 1948년까지 남한을 통치하였다. 본 연구는 미군정의 대한정책 중 특히 형사사법정책에 관한 연구이다. 미군정기의 형사사법정책은 크게 형사사법제도 도입기, 형사사법제도 성장기, 형사사법제도 확립기의 세가지 시기로 나뉜다. 이러한 시기별 형사사법정책은 미군정의 대한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변화하게 된다.
    미군정의 대한정책은 대한민국의 통치체제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각 분야의 기본적인 토대 수립에 있어서 지대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미군정의 형사사법정책에 대한 이해는 독립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미군정이후 전개되는 형사사법체제의 특징과 형사사법제도의 발전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미군정의 형사삽버정책은 각 시기별로 정치적 요인과 이데올로기적 요인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 된다. 미군정 형사사법정책의 수립에 따라서 형사사법제도가 변화하게 되었으며, 이때의 형사사법제도는 인권보장보다는 사회통제를 위한 형사사법체제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창설된 형사사법제도는 이후의 한국형사사법제도에 있어서 뿌리와도 같은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의 사회통제적 형사사법제도 창설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일본에서의 미군정 점령정책 중 형사사법정책과의 비교 틀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형사사법,경찰,검찰,미군정,법원
  • 영문키워드
  • Prosecutor,Court ,Police,Criminal Justice,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남한에서 전개된 美군정기(1945-1948)의 형사사법정책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 당시 형사사법기관의 역할과 기능은 어떠했는지를 1947년 7월 남조선 과도정부 수립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그 역사적 의의와 성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美군정기의 제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美군정 형사사법정책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과제를 분석하였다. 첫째, 형사사법정책과 관련된 美군정 대한정책의 구체적 내용과 전개과정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 그러한 대한정책이 형사사법정책에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었는가 하는 점을 그 당시의 문헌연구를 통해서 이를 통찰하였다. 셋째, 美군정 형사사법정책에 따라서 형사사법제도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美군정은 남조선과도정부수립 전에는 형식적으로는 미국식의 치안정책과 사법정책을 추진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조선총독부하의 ‘식민지 형사사법체제를 활용한 형사사법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따라서 치안정책에 있어서는 전국 각지에 美전술군을 파견하여 치안을 유지하는 ‘직접통치체제 구축’ 정책과 ‘일제의 식민지치안체제 부활’을 통한 ‘중앙집권적 치안체제 구축’ 정책을 실시하게 된다. 사법정책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경시했던 ‘식민지 치안악법 극복’과 ‘사법시스템의 개편’ 정책을 추진하였다.
    남조선과도정부수립 후의 美군정 대한정책은 소련과의 협조를 바탕으로 한 신탁통치안을 폐기하고 남한을 ‘자유주의적 민주주의국가’로 창설하는 이른바 ‘남한단독정부수립’이었다. 따라서 치안정책으로는 ‘남한단독정부수립’이라는 대한정책 기본방침을 지원하기 위한 ‘치안기구 확대정책’과 ‘치안보조세력 확대정책’ 등과 같은 제반 정책이 추진되었다. 사법정책은 ‘조선형사령체제의 전면적 극복’을 통한 ‘형사사법의 민주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美군정기 형사사법정책은 한국을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국가로 건설’ 하고자 했던 이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美군정의 대한정책 변화라는 정치적 요인과 좌우대립에 의한 사회적 혼란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상호복합적으로 연관된 현실 때문에 ‘미완의 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A Study on the Criminal Justice Policy in Korea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s of Korea(1945-1948) after the world war Ⅱ had great influences on the history of Korea, the contents and system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s of Criminal Justice policy and their effects on the Criminal Justice systems in the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uses a policy Crime Control Model on the Criminal Justice policy of Korea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riminal Justice policy of the Before Korea Interim Government period(1945.9-1947.6) is direct rule system building and centralized police system building. These policies are effected on an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policy.
    Secondly, the Criminal Justice policy of the After Korea Interim Government period(1947.7-1948.8) is removing the communist party. This policy is effected on strengthening south Korea and upbringing the neutrals policy.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determinants were much more important than socioeconomic determinants and these determinants effect on the Criminal Justice policy.
    The policies of USAMGIK(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effect on the Criminal Justice policies in Korea and the Criminal Justice policies effect on the Criminal Justice systems too.
    In Korea, the policies of USAMGIK contributed to modernize the Criminal Justice policy and Criminal Justice system. The Criminal Justice Policy of USAMGIK played the principal role in setting up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Key words: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Policy of USAMGIK, Criminal Justice Policy, Police, Prosecution, Cour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남한에서 전개된 美군정기(1945-1948)의 형사사법정책을 분석하고, 나아가 이 당시 형사사법기관의 역할과 기능은 어떠했는지를 1947년 7월 남조선 과도정부 수립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그 역사적 의의와 성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美군정기의 제반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으로 美군정 형사사법정책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과제를 분석하였다. 첫째, 형사사법정책과 관련된 美군정 대한정책의 구체적 내용과 전개과정은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둘째, 그러한 대한정책이 형사사법정책에 어떠한 모습으로 반영되었는가 하는 점을 그 당시의 문헌연구를 통해서 이를 통찰하였다. 셋째, 美군정 형사사법정책에 따라서 형사사법제도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역할과 기능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美군정은 남조선과도정부수립 전에는 형식적으로는 미국식의 치안정책과 사법정책을 추진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조선총독부하의 ‘식민지 형사사법체제를 활용한 형사사법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따라서 치안정책에 있어서는 전국 각지에 美전술군을 파견하여 치안을 유지하는 ‘직접통치체제 구축’ 정책과 ‘일제의 식민지치안체제 부활’을 통한 ‘중앙집권적 치안체제 구축’ 정책을 실시하게 된다. 사법정책은 ‘민주주의’와 ‘인권’을 경시했던 ‘식민지 치안악법 극복’과 ‘사법시스템의 개편’ 정책을 추진하였다.
    남조선과도정부수립 후의 美군정 대한정책은 소련과의 협조를 바탕으로 한 신탁통치안을 폐기하고 남한을 ‘자유주의적 민주주의국가’로 창설하는 이른바 ‘남한단독정부수립’이었다. 따라서 치안정책으로는 ‘남한단독정부수립’이라는 대한정책 기본방침을 지원하기 위한 ‘치안기구 확대정책’과 ‘치안보조세력 확대정책’ 등과 같은 제반 정책이 추진되었다. 사법정책은 ‘조선형사령체제의 전면적 극복’을 통한 ‘형사사법의 민주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美군정기 형사사법정책은 한국을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국가로 건설’ 하고자 했던 이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美군정의 대한정책 변화라는 정치적 요인과 좌우대립에 의한 사회적 혼란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상호복합적으로 연관된 현실 때문에 ‘미완의 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활용계획

    1) 한국 형사사법체계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지평 확대

    본 연구는 한국 형사사법체계가 시작되고 확립되는 미군정기를 그 당시의 대한정책과 연관하여 고찰함으로써 왜 오늘날과 같은 형사사법체계가 구축되었는지를 이해하는데 보다 큰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즉, 미군정의 초기인 ‘형사사법제도 도입기’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친 정치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분석을 통해서 형사사법기관이 출범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사사법제도 성장기’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친 정치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분석을 통해서 대한정책과 냉전정책이 어떻게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독립국가수립 ‘형사사법제도 확립기’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친 정치적 요소와 이데올로기적 요소분석을 통해서 ‘신탁통치안의 폐기와 남한에 대한 자유주의적 민주주의 국가 수립정책’과 ‘대소방파제 구축’정책이 어떻게 형사사법정책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2) 한국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의 제공

    국내의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연구가 개별기관에 대한 변천과정 소개나 조직소개에 관한 연구 등에 치중해 온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형사사법체계가 성립되는 과정을 정책과정이론을 통한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여 미군정기 형사사법체계가 구축되고 확립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공하였다. 즉, 미군정기 형사사법정책을 새로운 분석틀을 통해서 연구함으로써 미군정의 대한정책이라는 결정요인에 의해서 미군정 형사사법정책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형사사법정책은 오늘날과 같은 형사사법체계의 수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 수 있게 도움을 주였다.

    2) 연구결과의 파급효과

    (1) 한국과 일본 미군정기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단서제공

    미군정은 양국 모두의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지만, 그 내용과 결과는 상당히 달랐으며, 형사사법정책에 있어서도 양국의 미군정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한국의 미군정은 형사사법정책의 법적 제도화를 위한 노력을 거의 하지 않았고, 임기응변적인 형사사법정책을 시행 하였다. 하지만 일본의 미군정은 군국주의적 형사사법정책을 근본적으로 개조하려는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양국 미군정의 형사사법정책에 대한 차이점을 고찰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써의 의의도 본 연구는 가지게 되었다.

    (2) 남한과 북한 군정기 형사사법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단서제공

    이 당시 남한에는 미군정이 북한에는 소련군정이 실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소련군정기 형사사법기관의 구축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비교연구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통일을 위한 남북한의 형사사법체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는데도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색인어
  • 미군정, 형사사법정책, 경찰, 검찰, 법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