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西周中期 金文 어휘와 이를 활용한 靑銅器 斷代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2-A00111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신주
연구수행기관 서울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穆王에서 夷王에 이르는 서주중기의 청동기는 청동기 발전 역사상 전환기로 불릴 만큼 서주초기와는 확연히 다른 특징을 띠고 있다. 서주초기의 청동기는 명문을 제외하고는 文飾 및 형태면에서 기본적으로 商代말기의 풍격을 계승한 점이 많지만, 穆王때 이르러서는 각 방면 있어 많은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서주중기의 청동기는 서주초기의 특징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새로운 형식들이 출현하게 되는데, 穆王과 恭王 시기에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다가 懿王 이후로는 전통적 스타일이 차츰 자취를 감추게 된다.
    서주중기의 청동기 명문 또한 이러한 변화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기록물로서, 穆王・恭王 시기가 新舊 교체의 시기였다면 懿王・孝王・夷王 때에는 새로운 형식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서주중기 명문의 특징은 대략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째, 대량의 새로운 금문 어휘 출현; 둘째, 금문 편폭의 장편화; 셋째, 금문 형식의 규범화이다.
    끊임없이 발전하는 문명과 당시 사람들의 진화하는 사고는 참신하고 새로운 어휘의 생산을 유도해내었고, 이는 전체적 어휘량의 증가로 이어졌다.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서주중기에 처음 출현한 금문 어휘로는 '肇享'・'永福'・'吉唐'・'多宗'・'無疆福'・'懿德'・'屯魯'・'壽老'・'彌生'・'三壽'・'永令'・'廣啓' 등이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서주중기와 타 시기의 언어를 구분해주는 귀중한 자료라 생각된다. 또한, 새롭고 풍부한 금문 어휘에 대한 탐구는 청동기 명문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밖에 서주중기에 유행했던 금문 어휘에 대한 조사 작업은 그동안 제작 시기가 불분명했거나 이견이 있었던 청동기의 시대 판정에 근거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기대효과
  • 첫째,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를 분석할 수 있다.기존의 금문 연구는 개별 어휘에 대한 전체적인 고찰이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금문 어휘에 대한 더 심도 있는 이해 모색을 위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각 어휘의 금문 文例에 나타난 의미를 집대성하고, 이들의 문형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각종 의미 항목들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각 금문 어휘의 어법적 특징, 즉 단어의 구성 방식・어법 기능・다른 어휘와의 결합 형식 등을 살펴봄으로써 명문 해독은 물론 上古중국어 어휘 연구 분야에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다. 상술한 연구 과정을 통해 기존에 연구가 되어 있는 금문 어휘에 대해서는 새로운 의미나 어법 기능을 보충할 것이며, 금문 어휘 사전에 누락되었거나 과거 연구되지 않았던 새로운 금문 어휘의 경우는 발굴 후 분석을 진행한다. 또한, 집대성된 금문 어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명문 고석에 있어 기존의 해석에 대해 그 타당성을 검토해보고 필요에 따라 수정을 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래 문헌 및 기타 문자 자료와의 비교 연구 과정에서 금문 어휘와 관련해 오류가 있다면 이 점에 대해서도 보충 및 첨삭을 진행할 것이다.
    셋째,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이다. 청동기의 시대 판정에 있어서 어휘는 標準 청동기처럼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으나, 보조 수단으로서 큰 의의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기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분석 및 검토・시대별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斷代가 불분명했거나 異說이 있었던 서주중기 청동기들을 대상으로 필요에 따라 재고찰을 진행할 것이다. 이는 청동기 斷代 연구에 충분히 신빙성 있는 증거 자료를 더해주는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서주중기(穆王~夷王)에 해당하는 청동기 명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해당 시기 금문 어휘의 변화 및 발전 맥락을 탐구하고자 한다. 선행과제인 서주초기 금문 어휘 특징을 활용한 斷代 연구에 이어 서주중기의 금문 어휘를 고찰하는 작업은 금문 어휘의 전체적 모습을 조망하는 연구로, 이는 체계적이고 연속성 있는 금문 어휘사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금문 어휘들에 대해서는 청동기 명문에 나타나는 모든 의미 항목과 상관 文例는 물론 각 文例에서의 어법 기능 및 활용 부분까지 면밀히 분석하여 하나의 어휘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을 시도할 것이다.
    또한, 시대적 특색을 띤 어휘를 이용하여 청동기의 시대를 측정하는 語彙斷代法을 적극 활용하여 청동기 斷代 연구에 더 풍부한 연구 근거를 마련해주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서주(西周),고문자(古文字),명문(銘文),단대(斷代),청동기(靑銅器),금문(金文)
  • 영문키워드
  • Posy,ancient character,bronze ware,inscriptions on bronze,Western Zhou Dynasty,Dat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 목표
    穆王에서 夷王에 이르는 서주중기의 청동기는 청동기 발전 역사상 전환기로 불릴 만큼 서주초기와는 확연히 다른 특징을 띠고 있다. 서주초기의 청동기는 명문을 제외하고는 文飾 및 형태면에서 기본적으로 商代말기의 풍격을 계승한 점이 많지만, 穆王때 이르러서는 각 방면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서주중기의 청동기는 서주초기의 특징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새로운 형식들이 출현하게 되는데, 穆王과 恭王 시기에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다가 懿王 이후로는 전통적 스타일이 차츰 자취를 감추게 된다.
    서주중기의 청동기 명문 또한 이러한 변화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기록물로서, 穆王・恭王 시기가 新舊 교체의 시기였다면 懿王・孝王・夷王 때에는 새로운 형식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서주중기 명문의 특징은 대략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째, 대량의 새로운 금문 어휘 출현; 둘째, 금문 편폭의 장편화; 셋째, 금문 형식의 규범화이다.
    끊임없이 발전하는 문명과 당시 사람들의 진화하는 사고는 참신하고 새로운 어휘의 생산을 유도해내었고, 이는 전체적 어휘량의 증가로 이어졌다.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서주중기에 처음 출현한 금문 어휘로는 '肇享', '永福', '吉唐', '多宗', '無疆福', '懿德', '屯魯', '壽老', '彌生', '三壽', '永令', '廣啓' 등이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서주중기와 타 시기의 언어를 구분해주는 귀중한 자료라 생각된다. 또한, 새롭고 풍부한 금문 어휘에 대한 탐구는 청동기 명문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주중기에 유행했던 금문 어휘에 대한 조사 작업은 그동안 제작 시기가 불분명했거나 이견이 있었던 청동기의 시대 판정에 근거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기대효과
    첫째,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를 분석할 수 있다.기존의 금문 연구는 개별 어휘에 대한 전체적인 고찰이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금문 어휘에 대한 더 심도 있는 이해 모색을 위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각 어휘의 금문 文例에 나타난 의미를 집대성하고, 이들의 문형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각종 의미 항목들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각 금문 어휘의 어법적 특징, 즉 단어의 구성 방식・어법 기능・다른 어휘와의 결합 형식 등을 살펴봄으로써 명문 해독은 물론 上古중국어 어휘 연구 분야에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다. 상술한 연구 과정을 통해 기존에 연구가 되어 있는 금문 어휘에 대해서는 새로운 의미나 어법 기능을 보충할 것이며, 금문 어휘 사전에 누락되었거나 과거 연구되지 않았던 새로운 금문 어휘의 경우는 발굴 후 분석을 진행한다. 또한, 집대성된 금문 어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명문 고석에 있어 기존의 해석에 대해 그 타당성을 검토해보고 필요에 따라 수정을 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래 문헌 및 기타 문자 자료와의 비교 연구 과정에서 금문 어휘와 관련해 오류가 있다면 이 점에 대해서도 보충 및 첨삭을 진행할 것이다.
    셋째,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이다. 청동기의 시대 판정에 있어서 어휘는 標準 청동기처럼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으나, 보조 수단으로서 큰 의의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기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분석 및 검토・시대별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斷代가 불분명했거나 異說이 있었던 서주중기 청동기들을 대상으로 필요에 따라 재고찰을 진행할 것이다. 이는 청동기 斷代 연구에 충분히 신빙성 있는 증거 자료를 더해주는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3. 연구요약
    본 연구는 서주중기(穆王~夷王)에 해당하는 청동기 명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해당 시기 금문 어휘의 변화 및 발전 맥락을 탐구하고자 한다. 선행과제인 서주초기 금문 어휘 특징을 활용한 斷代 연구에 이어 서주중기의 금문 어휘를 고찰하는 작업은 금문 어휘의 전체적 모습을 조망하는 연구로, 이는 체계적이고 연속성 있는 금문 어휘사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금문 어휘들에 대해서는 청동기 명문에 나타나는 모든 의미 항목과 상관 文例는 물론 각 文例에서의 어법 기능 및 활용 부분까지 면밀히 분석하여 하나의 어휘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을 시도할 것이다.
    또한, 시대적 특색을 띤 어휘를 이용하여 청동기의 시대를 측정하는 語彙斷代法을 적극 활용하여 청동기 斷代 연구에 더 풍부한 연구 근거를 마련해주고자 한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covers the bronze inscriptions made in the period of Western Zhou Dynasty and the middle period of the dynasty (King Mu~King Yi), investigat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vocabulary found in the inscriptions.
    Following up on my preceding study on dating which made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in the bronze inscriptions of the early Western Zhou Dynasty, this attempt to examine the vocabulary of the middle period the dynasty takes a view of the whole picture of the inscription vocabulary. It tries to find its significance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a systematic and coherent inquiry into the history of inscriptions.
    Concerning the subject for this inquiry (the vocabulary in the bronze inscriptions), a multilateral attempt is made to make a close analysis of the grammatical functions and inflections, not to mention all the meanings and related examples in the bronze inscriptions.
    Further, by taking advantage of the vocabulary-dating method to ascertain the period of the bronze ware by utilizing vocabulary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this study is aimed at providing richer resources for the next research into dat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Ⅰ. 연구목적 및 방법
    1.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
    (1) 서주중기 금문 연구의 필요성
    (2) 금문 어휘 연구의 공백 보충
    (3) 금문 어휘의 발전 변화에 대한 역사적 고찰의 필요성
    (4) 시대적 특징을 띤 금문 어휘를 근거로 한 청동기 斷代 연구의 필요성
    2. 당초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1) 연구방법
    가. 연구재료 및 범위의 선정
    나. 명문 분석과 어휘의 선정
    다. 어휘의 시대별 배열
    라. 전래문헌 및 기타 문자 자료와의 비교
    (2) 연구내용
    가.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 분석
    나.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
    다. 서주중기 금문 어휘 발전 변화 검토
    라.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

    Ⅱ.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 제1차년도
    (1) 연구재료 선별 및 입력 작업
    (2) 금문 어휘 목록 추출 작업
    (3)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 분석 &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
    (4)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와 관련된 성과
    (5) 고대 중국의 문화사적 접근
    2. 제2차년도
    (1) 연구재료 선별 및 입력 작업의 연속
    (2) 금문 어휘 목록 추출 작업
    (3)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 분석 &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
    (4)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와 관련된 성과

    Ⅲ. 연구결과 활용계획
    1. 연구결과 활용계획
    (1) 연구 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가. 중국 언어문자학의 기초자료 구축
    나. 금문 어휘 연구의 모델 제시
    다. 문헌학・사전학 분야와의 연계 연구
    라. 고대 역사문화 연구에 원시 자료 제공
    (2)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2. 연구성과

    Ⅳ. 참고문헌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Ⅰ.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1. 제1차년도
    (1) 연구재료 선별 및 입력 작업
    《殷周金文集成》과《近出殷周金文集錄》에 수록된 금문 중 서주중기에 해당하는 것과 서주중기의 것이라 확정지을 수는 없지만, 이 시기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명문을 선별, 입력하여 데이터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2) 금문 어휘 목록 추출 작업
    명문 자료를 수집 입력함과 동시에 이를 다시 빈도표로 수치화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3)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 분석 &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
    여기에서는 금문의 ‘若’과 ‘若德’의 예로 이 방면에 대한 연구를 설명하였다.
    (4)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와 관련된 성과
    胡器와 伯唐父鼎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5) 고대 중국의 문화사적 접근
    서주초기 후반에 출현하여 서주중기에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기 시작한 개인주의 생명관을 탐색해보았다.
    2. 제2차년도
    (1) 연구재료 선별 및 입력 작업의 연속
    당초 제1차년도에는 穆王과 恭王 시기의 명문 자료 선별 및 입력 작업을 수행하고, 제2차년도에는 懿王, 孝王, 夷王 시기의 명문 자료를 처리하고자 계획하였다. 그러나 穆王과 恭王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懿王, 孝王 시기의 표준 기물의 수량이 극소수이고, 이 시기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청동기가 많지 않은 관계로 자세한 시대 구분 작업은 잠시 미루어두고 우선은 서주중기의 것으로 판단되는 기물의 명문 선별 및 입력 작업을 진행하였다.
    (2) 금문 어휘 목록 추출 작업
    현재까지도 선별된 명문을 분석하여 금문 어휘 목록을 추출하고, 이를 다시 빈도표로 수치화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중이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서주중기 금문 어휘의 특징을 단어 구성 방식, 어법 기능 등의 면에서 다각도로 고찰해나갈 것이다.
    (3)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 분석 &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
    ‘是若’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4)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와 관련된 성과
    ‘不[不不]’, ‘休’, ‘壽考’, ‘壽老’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Ⅱ. 연구결과 활용계획
    1. 연구결과 활용계획
    (1) 연구 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가. 중국 언어문자학의 기초자료 구축
    본 연구 결과는 금문 연구의 기본인 금문 어휘를 살펴봄으로써 중국 문자학 및 중국어 어휘학 분야의 활용 가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금문 어휘의 정리・수정 및 보완은 단순한 문자학 연구 분야가 아니라 중국어사의 연구 분야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분야에 대한 전체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의 수집 및 정리는 중국어 어휘학 분야의 후속연구를 위한 토대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 금문 어휘 연구의 모델 제시
    금문 어휘를 수집・정리하는 하나의 모델이 되어 후속연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진행 중인 서주초기의 금문 어휘 연구의 후속 연구로서, 이후 서주말기 및 춘추전국시대의 금문 어휘 연구도 선행 연구를 모델로 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다. 문헌학・사전학 분야와의 연계 연구
    본 연구 성과는 전래문헌상의 오류를 수정・보완할 수 있음은 물론 《한어대사전》과 같은 일반 어휘 사전에 누락되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한 어휘 목록 및 의미 항목에 유효하고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라. 고대 역사문화 연구에 원시 자료 제공
    청동기 명문은 서주 시기의 정치・경제・법률・외교・혼인・사상・의례 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1차 텍스트이다. 공시적・통시적 연구 방법을 통해 금문 어휘의 발전 변화의 맥락을 짚어보는 작업은 당시 사회의 변천 상황 및 사람들의 의식 변화를 엿볼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2)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가. 청동기 명문은 중국 문자와 문학의 초기 모습을 함께 보존하고 있는 가장 좋은 텍스트이다. 본 연구의 성과를 중어중문학과 학부생들에게는 중국 문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들을 구비할 수 있는 교육 과정의 자료로 이용될 수 있고, 대학원 과정에서는 고대 중국어 문헌 해독을 위한 기초 단계로서 고대 중국어 어휘를 익히는 학습 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또, 중국어 어휘사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국어 어휘의 원형 탐구‘란 제목으로 과목을 개설하여 좀 더 차원 높은 논의를 전개시킬 수 있다.

    나. 본 연구의 연구 성과를 확대 및 일반화시킨 교과 과정을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의 교양 교육이나 사회 교육 과정에 ‘중국 문자와 중국 문화 이야기’ 등의 제목으로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과목을 개설하여 중국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고, 고급지식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서주(西周), 금문(金文), 청동기(靑銅器), 명문(銘文), 고문자(古文字), 단대(斷代)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