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목표
穆王에서 夷王에 이르는 서주중기의 청동기는 청동기 발전 역사상 전환기로 불릴 만큼 서주초기와는 확연히 다른 특징을 띠고 있다. 서주초기의 청동기는 명문을 제외하고는 文飾 및 형태면에서 기본적으로 商代말기의 풍격을 계승한 점이 많지만, 穆王때 이르러서는 ...
1. 연구 목표
穆王에서 夷王에 이르는 서주중기의 청동기는 청동기 발전 역사상 전환기로 불릴 만큼 서주초기와는 확연히 다른 특징을 띠고 있다. 서주초기의 청동기는 명문을 제외하고는 文飾 및 형태면에서 기본적으로 商代말기의 풍격을 계승한 점이 많지만, 穆王때 이르러서는 각 방면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서주중기의 청동기는 서주초기의 특징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새로운 형식들이 출현하게 되는데, 穆王과 恭王 시기에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다가 懿王 이후로는 전통적 스타일이 차츰 자취를 감추게 된다.
서주중기의 청동기 명문 또한 이러한 변화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기록물로서, 穆王・恭王 시기가 新舊 교체의 시기였다면 懿王・孝王・夷王 때에는 새로운 형식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서주중기 명문의 특징은 대략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첫째, 대량의 새로운 금문 어휘 출현; 둘째, 금문 편폭의 장편화; 셋째, 금문 형식의 규범화이다.
끊임없이 발전하는 문명과 당시 사람들의 진화하는 사고는 참신하고 새로운 어휘의 생산을 유도해내었고, 이는 전체적 어휘량의 증가로 이어졌다.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서주중기에 처음 출현한 금문 어휘로는 '肇享', '永福', '吉唐', '多宗', '無疆福', '懿德', '屯魯', '壽老', '彌生', '三壽', '永令', '廣啓' 등이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서주중기와 타 시기의 언어를 구분해주는 귀중한 자료라 생각된다. 또한, 새롭고 풍부한 금문 어휘에 대한 탐구는 청동기 명문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주중기에 유행했던 금문 어휘에 대한 조사 작업은 그동안 제작 시기가 불분명했거나 이견이 있었던 청동기의 시대 판정에 근거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기대효과
첫째,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전체적 면모를 분석할 수 있다.기존의 금문 연구는 개별 어휘에 대한 전체적인 고찰이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금문 어휘에 대한 더 심도 있는 이해 모색을 위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각 어휘의 금문 文例에 나타난 의미를 집대성하고, 이들의 문형을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각종 의미 항목들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각 금문 어휘의 어법적 특징, 즉 단어의 구성 방식・어법 기능・다른 어휘와의 결합 형식 등을 살펴봄으로써 명문 해독은 물론 上古중국어 어휘 연구 분야에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기존 금문 어휘 연구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다. 상술한 연구 과정을 통해 기존에 연구가 되어 있는 금문 어휘에 대해서는 새로운 의미나 어법 기능을 보충할 것이며, 금문 어휘 사전에 누락되었거나 과거 연구되지 않았던 새로운 금문 어휘의 경우는 발굴 후 분석을 진행한다. 또한, 집대성된 금문 어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명문 고석에 있어 기존의 해석에 대해 그 타당성을 검토해보고 필요에 따라 수정을 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래 문헌 및 기타 문자 자료와의 비교 연구 과정에서 금문 어휘와 관련해 오류가 있다면 이 점에 대해서도 보충 및 첨삭을 진행할 것이다.
셋째, 금문 어휘를 이용한 斷代 연구이다. 청동기의 시대 판정에 있어서 어휘는 標準 청동기처럼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으나, 보조 수단으로서 큰 의의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시기 개별 금문 어휘에 대한 분석 및 검토・시대별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斷代가 불분명했거나 異說이 있었던 서주중기 청동기들을 대상으로 필요에 따라 재고찰을 진행할 것이다. 이는 청동기 斷代 연구에 충분히 신빙성 있는 증거 자료를 더해주는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3. 연구요약
본 연구는 서주중기(穆王~夷王)에 해당하는 청동기 명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해당 시기 금문 어휘의 변화 및 발전 맥락을 탐구하고자 한다. 선행과제인 서주초기 금문 어휘 특징을 활용한 斷代 연구에 이어 서주중기의 금문 어휘를 고찰하는 작업은 금문 어휘의 전체적 모습을 조망하는 연구로, 이는 체계적이고 연속성 있는 금문 어휘사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금문 어휘들에 대해서는 청동기 명문에 나타나는 모든 의미 항목과 상관 文例는 물론 각 文例에서의 어법 기능 및 활용 부분까지 면밀히 분석하여 하나의 어휘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을 시도할 것이다.
또한, 시대적 특색을 띤 어휘를 이용하여 청동기의 시대를 측정하는 語彙斷代法을 적극 활용하여 청동기 斷代 연구에 더 풍부한 연구 근거를 마련해주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