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하소설의 호방형 남성주동인물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2-A00086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장시광
연구수행기관 경상국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豪放型) 남성주동인물의 특질을 추출하여 그 서사적 기능을 밝히고, 그 유형이 고전소설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호방형 남성인물에 주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주동인물 가운데 호방형 인물의 서사적 위상을 제고할 필요가 있고 이는 결국 서술자의식과 깊이 연관된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대하소설의 남성주동인물은 통상 유교 예법을 충실히 지키는 인물과 유교 예법에 구애받지 않고 인간적 감정에 따라 행동하는 인물로 나뉜다. 전자는 ‘군자형’ 인물이라 하고, 후자의 경우는 ‘호방형’, 혹은 ‘영웅형’ 인물이라 부를 수 있다. 그런데 사실 대하소설에서는 표면적으로 유교의 예법을 중시하고 있다. 그래서 서술자의식을 중시하다 보면 이 두 유형의 인물 가운데 군자형 인물에 초점이 모아질 수밖에 없다. 기존 연구 가운데 기실 이 관점에서 논의된 것이 적지 않은 것도 이러한 사정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호방형 인물은 군자형 인물에 못지않은 중요도를 지니고 있다. 호방형 인물이 유교 예법을 중시하는 서술자의식에 반하는 인물로 보일 수 있으나, 예법을 벗어났다 복귀하는 그러한 입체적 성격은 군자형 인물이 지니는 평면적 성격을 보완하는 기능을 하면서 서술자의식을 더욱 강화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호방형 인물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는 작품의 서술자의식을 추출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호방형 인물이 지니는 원심적 성격은 작품을 다채롭게 하는 데 기여를 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여기에서 원심적 성격이라는 것은 유교 이념에서 벗어나려는 것을 의미한다. 호방형 인물은 끊임없이 유교 이념으로부터 벗어나 인간적 감정에 충실한 행위를 하려 한다. 아버지의 허락을 받지 않고 정혼을 한다거나, 아내를 공경하지 않고 아내를 폭행하거나 강간하기도 하며, 창녀를 가까이 하지 말라는 부모의 명령에 순종하지 않는다. 또 작품에 따라서 호방형 인물의 수와 유형도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호방형 인물은 모두 유교의 예법을 벗어나려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면모가 서사에 미치는 효과는 작지 않다. 이들 때문에 서사는 매우 역동적으로 전개된다. 이들은 우선 갈등을 촉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부터 호방형 인물과 그 아버지 사이의 부자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고, 아내와의 부부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아내 사이의 동렬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들은 또 작품을 흥미롭게 만든다. 이들 인물의 기발한 행동은 작품에 생기를 불어넣고 이는 흥미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것이다. 이처럼 호방형 인물이 생성하는 서사적 효과는 매우 다양하다.
    셋째, 이처럼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서사에 미치는 영향이 큼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이러한 인물 유형을 본격적으로 논의한 적이 별로 없다는 연구사적 상황 때문이다. 최근에 특정 작품에 대한 관련 논의가 있기는 하였으나 대하소설 전반에 관한 논의가 아니고, 남성인물을 분류하는 데 치중한 면이 있다. 남성인물에 관한 연구는 주제의식, 특히 가문의식에 입각해 논의된 것이 많고, 이처럼 특정한 유형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대하소설의 인물 연구 가운데 기존에 여성반동인물과 여성주동인물에 관한 연구가 몇 차례 이루어진 적이 있고 주변인물에 관한 연구가 행해진 적이 있으나, 호방형 남성인물에 관한 연구는 찾기 힘든 형편이다. 연구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유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넷째, 그렇다면 이러한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은 어디에서 유래하게 되었고 다른 소설 유형의 비슷한 인물형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해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앞선 소설 중 중국의 재자가인소설이나, 한국의 <구운몽>과 같은 소설, 영웅소설, 전기소설 등의 남주인공이 그 연원이 되거나 혹은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소설사적 위상을 정립하는 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한다.
  • 기대효과
  • 첫째,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에 대한 이해가 폭넓어지게 됨으로써 대하소설의 각 인물 유형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는 결국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여성반동인물이 반동행위를 하게 되는 계기 가운데 큰 이유 중의 하나로 동렬에 대한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편애를 들 수 있다. 남성주동인물이 두 아내 가운데 여성주동인물에게만 애정을 주면 여성반동인물로 설정된 인물은 애정을 독점하기 위해 여성주동인물에게 반동행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여성주동인물은 다양한 수난을 겪게 된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행위는 작품에서 갈등을 촉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그에 따라서 각 인물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행위를 이해하는 것은 여성주동인물 등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는 나아가 작품을 이해하는 실마리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대하소설을 좀 더 다양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하소설은 얼핏 군자형, 숙녀형 인물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된다. 서술자 또한 그러한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 결과 연구자 역시 그러한 기조를 따라 군자형, 숙녀형 인물에 초점을 맞추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하소설에는 이들 인물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물형이 존재한다. 이들 인물형은 군자형, 숙녀형 인물 중심의 서사와 그로부터 도출된 유교 이데올로기의 강조로부터 벗어나 서사를 매우 흥미롭게 전개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그러하다. 따라서 이 인물형에 대한 연구는 대하소설이 가문의식을 강조한다거나 대하소설의 서사가 평면적이라는 편견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소설사를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은 대하소설에 갑자기 등장하는 유형이 아니다. 풍류를 즐기는 모습은 <구운몽>의 양소유나 재자가인소설의 남주인공을 연상하게 한다. 한 아내만을 사랑하는 모습은 전기소설의 전통을 이은 것이기도 한다. 그런데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고전소설에는 자주 등장하나 현대소설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점 역시 중시되어야 할 점이다. 이처럼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을 중심에 두고 볼 때 소설사를 좀 더 흥미 있게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소설사와 사회사의 관계를 논하는 데 어느 정도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고전소설에는 자주 등장하지만 현대소설에 이르러서는 상대적으로 별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은, 좀 더 연구를 해 봐야 알겠지만 사회적으로 가부장제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가부장의 위세가 대단했던 사회에서 창출된 소설의 경우 남성주동인물은 여성에 대해 압도적으로 우위에 서서 자신의 기개를 마음껏 드높인다. 반면에 여성의 권리가 신장된 현대에 이르러 남성들은 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들의 권한을 내세우지 못한다. 이러한 사회사적 변동이 소설에 영향을 미친 정황이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에게서 보이는데, 심화된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해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었다는 의의가 있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 가운데 일부는 여성인물을 억압적으로 대하는데 여성인물은 이에 대해 감수하거나 반항한다. 이러한 상호 대응을 통해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억압이 지닌 의미와 그에 대응하는 여성의 태도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과 다른 소설에 등장하는 남성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대하소설의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을 축으로 하여 다른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유사한 남성인물을 비교한다면 각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형의 차이가 보다 확연히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에게 대하소설을 포함한 고전소설의 남성인물에 대한 이해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에서는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양상을 상세하게 살펴 그 특질을 추출하고 그것이 서사에서 행하는 역할을 살핀 후에 문학사적 위상을 차례로 고찰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호방’이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 정의를 한다. ‘영웅’과 ‘풍류’, ‘호일(豪逸)’ 등 유사한 용어와 비교해 그 개념을 확실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른 소설 유형 자체나 작품들에 대한 연구에서 이들 용어가 쓰이는 양상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을 정리하고 그들의 행위 양상을 면밀하게 살피는 작업을 한다. 서술자가 인물을 호방하다거나 호일(豪逸)하다고 직접 언급하는 경우가 꽤 있는데 이는 분명하게 호방형 인물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술자가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그 행위 양상을 볼 때 서술자가 호방하다고 언급한 인물과 별 차이가 없는 경우 호방형 인물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이렇게 대하소설의 호방형 인물을 목록화한 후 호방형 인물의 행위 양상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서술자가 호방하다고 한 언급과 인물 행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면 호방형 인물의 특질이 추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그러한 가운데 호방형 인물의 여러 유형이 자연스럽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호방형 인물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기운이 세고 활달하다는 점을 들 수가 있는데 그러한 점을 공유하면서도 다양한 유형의 인물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소씨삼대록>의 소운성이나 <유효공선행록>의 유우성처럼 색욕이 있으면서도 한 아내를 사랑하는 유형이 있을 수 있고, <소씨삼대록>의 소운명처럼 한 아내에 대해서만 강한 집착을 하는 유형이 있을 수 있다. 또 <유씨삼대록>의 유세형처럼 미색을 좋아하면서 편벽된 기질이 있어 여성주동인물을 수난에 빠뜨리는 유형도 있다. 그리고 <명주보월빙>의 정천흥처럼 미색을 좋아해 아버지의 허락 없이 정혼을 하는 모습을 보이면서도 집안을 잘 다스리는 유형도 있다. <쌍천기봉>의 이몽창처럼 난폭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면서도 다정다감한 유형도 있다. 이들 유형의 인물은 모두 아내와의 관계에서 호방함이 드러난다는 공통점을 또한 발견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이처럼 다양한 인물형이 존재한다는 점을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하소설 전반으로 확대하여 이를 좀 더 섬세하고 정치하게 분류하기로 한다.
    행위의 양상을 살피는 작업에는 다른 인물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작업도 포함된다. 이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다른 남성주동인물, 여성주동인물, 여성반동인물, 주변인물과 갈등을 빚고 화해하는 모습을 살피는 가운데 이 인물 유형이 지니는 성격이 자연스럽게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호방형 인물의 양상을 살핀 후에는 그것이 지니는 서사적 기능과 그것이 서술자의식에 기여하는 정도를 밝히고자 한다. 유교 예법에서 벗어난 인물이 창출하는 서사적 효과를 서술한다. 흥미의 제고나 이데올로기의 강조, 갈등의 복합 등을 가설로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화하여 그 서사적 기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것이 서술자의식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섬세하게 고찰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하소설의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유래를 탐색하고 다른 소설 유형에 등장하는 유사한 인물형과 비교하는 작업을 한다. 대하소설에 앞서서 또는 비슷한 시기에 창작된 중국과 한국의 소설을 검토하여 그 연원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비슷한 유형의 인물군을 검토하여 그 같고 다른 점을 살펴 대하소설의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지니는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그 소설사적 위상을 정립하는 작업을 한다.
  • 한글키워드
  • <완월회맹연>,<현몽쌍룡기> 연작,<옥원재합기연> 연작,고전소설,남성주동인물,여성주동인물,<명주보월빙> 연작,<소현성록> 연작,폭력,미색,이데올로기,<쌍천기봉> 연작,서술자의식,군자형,호방형,<유효공선행록> 연작,<천수석> 연작,여성반동인물,대하소설,<성현공숙렬기> 연작,<현씨양웅쌍린기> 연작,유교
  • 영문키워드
  • classical novel,good-mannered,Hyunmongssangryonggi Series,Ssangchungibong Series,Wanwallhweomangyeon,Chunsusuk Series,Yuhyogong Sunhaengrok Series,Myeongjubowallbing Series,Sohyeonsungrok Series,Confucianism,narrator's consciousness,long novel,Okwanjaehapgiyeon Series,Hyeonssiyangwungssangryngi Series,bad-mannered,Sunghyeongongsukryelgi Series,male-protagonist,female-antagonist,female-protagonis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대하소설의 호방형 남성주동인물 연구
    이 연구는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특질을 추출하여 그 서사적 기능을 밝히고, 그 유형이 고전소설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하소설의 호방형 인물을 목록화한 후 호방형 인물의 행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법에 구애받지 않음, 호색, 무공, 다른 이에게 쉽게 속음, 아내에 대한 애정이 깊음 등의 자질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아내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자신의 욕정을 채우기 위해 아내를 성적 욕망을 채우는 도구로 보는 유형과 욕정이 있기는 하지만 아내를 최대한 배려하고 믿는 유형이 있다. 기준을 어떻게 정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Research
    The aims of this study are i) to identify the epic functionalities through extracting the general characters of heroes in saga novels and ii) to set up historical values of the prototypes in the area of classic novel literatures. After listing up the hero types of saga novels, The behavior types of the heros are analyzed. The most common types are; rudeness, sensualist, military exploit, dupe, or deep love to wif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특질을 추출하여 그 서사적 기능을 밝히고, 그 유형이 고전소설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하소설의 호방형 인물을 목록화한 후 호방형 인물의 행위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법에 구애받지 않음, 호색, 무공, 다른 이에게 쉽게 속음, 아내에 대한 애정이 깊음 등의 자질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아내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자신의 욕정을 채우기 위해 아내를 성적 욕망을 채우는 도구로 보는 유형과 욕정이 있기는 하지만 아내를 최대한 배려하고 믿는 유형이 있다. 기준을 어떻게 정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대하소설의 호방형 남성주동인물 연구
    이 연구로 예상되는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에 대한 이해가 폭넓어지게 됨으로써 대하소설의 각 인물 유형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는 결국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여성반동인물이 반동행위를 하게 되는 계기 가운데 큰 이유 중의 하나로 동렬에 대한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편애를 들 수 있다. 남성주동인물이 두 아내 가운데 여성주동인물에게만 애정을 주면 여성반동인물로 설정된 인물은 애정을 독점하기 위해 여성주동인물에게 반동행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여성주동인물은 다양한 수난을 겪게 된다. 이 과정에서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은 그 아버지, 여성주동인물로 등장하는 아내, 또는 여성반동인물로 등장하는 아내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 이처럼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행위는 작품에서 갈등을 촉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그에 따라서 각 인물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이다. 따라서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의 행위를 이해하는 것은 여성주동인물 등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이는 나아가 작품을 이해하는 실마리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대하소설을 좀 더 다양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하소설은 얼핏 군자형, 숙녀형 인물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된다. 서술자 또한 그러한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 결과 연구자 역시 그러한 기조를 따라 군자형, 숙녀형 인물에 초점을 맞추기도 하였다. 그러나 대하소설에는 이들 인물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물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주변인물 가운데 재치 있는 시비, 초월적 조력자, 반동인물을 돕는 음험한 조력자 등 무수히 많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 역시 다양한 인물형 중의 하나이다. 이들 인물형은 군자형, 숙녀형 인물 중심의 서사와 그로부터 도출된 유교 이데올로기의 강조로부터 벗어나 서사를 매우 흥미롭게 전개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그러하다. 따라서 이 인물형에 대한 연구는 대하소설이 가문의식을 강조한다거나 대하소설의 서사가 평면적이라는 편견을 불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소설사를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은 대하소설에 갑자기 등장하는 유형이 아니다. 굳센 기운을 지니고 의리를 중시하는 면은 중국의 의협(義俠)을 연상하게 하고, 풍류를 즐기는 모습은 <구운몽>의 양소유나 재자가인소설의 남주인공을 연상하게 한다. 한 아내만을 사랑하는 모습은 전기소설의 전통을 이은 것이기도 한다. 그런데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고전소설에는 자주 등장하나 현대소설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점 역시 중시되어야 할 점이다. 이처럼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을 중심에 두고 볼 때 소설사를 좀 더 흥미 있게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소설사와 사회사의 관계를 논하는 데 어느 정도의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이 고전소설에는 자주 등장하지만 현대소설에 이르러서는 상대적으로 별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은, 좀 더 연구를 해 봐야 알겠지만 사회적으로 가부장제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가부장의 위세가 대단했던 사회에서 창출된 소설의 경우 남성주동인물은 여성에 대해 압도적으로 우위에 서서 자신의 기개를 마음껏 드높인다. 반면에 여성의 권리가 신장된 현대에 이르러 남성들은 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들의 권한을 내세우지 못한다. 물론 절대적으로는 아직도 남성 우위의 사회이기는 하지만 조선 후기의 사회와 비교해 보면 남성의 권위가 상당히 축소된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사회사적 변동이 소설에 영향을 미친 정황이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에게서 보이는데, 심화된 연구는 이러한 관계를 해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볼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두었다는 의의가 있다. 호방형 남성주동인물 가운데 일부는 여성인물을 억압적으로 대하는데 여성인물은 이에 대해 감수하거나 반항한다. 이러한 상호 대응을 통해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억압이 지닌 의미와 그에 대응하는 여성의 태도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대하소설에 등장하는 호방형 남성주동인물과 다른 소설에 등장하는 남성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그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대하소설의 호방형 남성주동인물을 축으로 하여 다른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유사한 남성인물을 비교한다면 각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형의 차이가 보다 확연히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에게 대하소설을 포함한 고전소설의 남성인물에 대한 이해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호방형, 남성주동인물, 고전소설, 한국소설, 대하소설, 명주보월빙, 윤하정삼문취록, 소현성록, 소씨삼대록, 유효공선행록, 유씨삼대록, 성현공숙렬기, 임씨삼대록, 현몽쌍룡기, 조씨삼대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