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어의 유형학적 변화와 그 기제에 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1-32A-A0009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백은희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신아사(이화여자대학교)
강병규(서울시립대학교)
류동춘(서강대학교)
박정구(성균관대학교)
신용권(인천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중국어는 원시중국어로부터 현대중국어에 이르기까지 큰 변화를 겪어왔다. 이러한 변화는 유형학적인 변화로 설명될 수 있을 만큼 근본적인 변화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의 통시적 변화를 언어 유형의 변화로 보고, 변화의 양상과 그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Sapir는 통시적 고찰을 통하여 언어가 부지불식간에 하나의 유형에서 다른 유형으로 변화하는 추세가 여러 언어에서 관찰된다고 하였다. Greenberg의 연구에서 나타나는 현대 유형학 연구의 특징 중의 하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가 변화하는 방식에 주목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굴절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던 고대 영어는 중세를 거치면서 점차 고립어적인 요소가 많은 언어로 유형학적 변화를 겪었다. 그 밖에도 Melanesian Pidgin어는 고립어에서 교착어로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 이와 같이 언어의 통시적 변화는 유형학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기존의 학계는 고립어의 전형으로 알려진 중국어가 다른 유형의 언어로부터 발전해왔을 가능성이나 중국어의 비고립어적인 특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 중국어는 최초의 기록물인 갑골문에 기록된 商代 언어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명사의 격 체계의 상실, 문장성분의 어순 변화, 어휘의 다음절화 등 언어 유형학적인 변화로 볼 수 있는 제반 현상들이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통사, 음운, 형태, 문자에 대한 연구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때 언어유형적인 변화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각 시기에 나타난 특정한 언어현상이 상호 무관한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언어의 유형적 변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읽어야 함을 밝히고자 한다. 어떤 시기의 언어 형태는 그 이전 단계부터 발생한 변이의 결과이다. 따라서 현대중국어의 유형학적인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중국어가 통시적으로 어떤 유형학적인 변화를 겪어왔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유형학 관련 연구는 인도유럽어계 언어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언어의 보편성을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어의 유형적 특징과 그 변화를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세계의 언어가 갖는 유형적 보편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1. 중국어학계에 대한 기여
    ○ 국내외를 막론하고 중국어학계에는 아직까지 유형학적으로 중국어를 분석한 연구 성과가 드물다. 특히 중국어의 통시적 변화를 유형학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형학적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많은 후속연구를 파생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기존의 중국어학 연구는 특정 언어현상에 대한 미시담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어를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연구 성과를 학계에 제공함으로써 중국어 연구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언어유형론은 어떤 특정 시점에 언어가 취한 형태는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변이의 결과로 본다. 따라서 현대중국어의 유형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통시적 관점에서 중국어의 유형 변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2. 언어유형론 학계에 대한 기여
    최근의 유형론 연구의 특징 중의 하나는 언어의 통시적 유형변화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어의 통시적 유형변화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 성과가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어의 유형변화에 대한 언어유형론 학계의 갈증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세계의 제 언어의 유형변화 또한 보편성을 가지는가라고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언어의 유형변화가 종합어에서 분석어로 단선적인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혹은 종합어에서 분석어로, 다시 종합어로의 순환적인 변화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중국어의 사례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적인 기대효과
    본 연구가 수행되면 다음과 같은 강의와 교재를 개발하여 교육과 연계 활용할 방침이다.

    3.1. 강의 개발
    ○ 강의 내용: 대학원 과정에 ‘중국어 유형론 연구’라는 과목을 개설하여 통시적으로 중국어가 어떤 유형 변화를 겪어 왔는지를 분석한 후 공시적으로 세계 언어와 현대중국어의 유형적 차이를 분석한다.
    ○ 운영 방식: 각 연구자의 소속 대학교 대학원 과정에 상기의 과목을 동일하게 개설하여 연구자들의 공동강의 및 대학원생들의 공동 수강으로 운영한다.
    ○ 기대 효과: 첫째, 기존의 대학원 과목이 모두 미시담론에 그쳤다면 본 강의를 통하여 중국어에 대한 거시담론의 장을 마련하고 대학원생들이 새로운 시각으로 중국어를 분석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운다. 둘째, 공동 수강을 통하여 대학원생들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공동 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본 연구과제의 성과를 즉시 교육현장에 반영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3.2. 교재 개발
    ○ 교재 내용: 본 연구가 완료되고 나면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징>이라는 전문 학술서적을 발간할 예정이며 대략적인 목차는 다음과 같다: Ⅰ. 서론: 언어유형론이란? Ⅱ. 통시적 유형론: 중국어의 유형 변화 Ⅲ. 지리적 유형론: 중국어 방언의 유형 Ⅳ. 공시적 유형론: 현대중국어의 유형 Ⅴ. 결론: 중국어의 유형론적 특징
    ○ 활용 방안: 현재 국내 대학교의 대학원 과정에는 중국어 유형론 관련 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다. 본 서적은 중국어 유형론 연구 및 관련 과목 개설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교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어로 번역, 출간하여 해외에서도 중국어 유형론에 관한 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중국어의 변화를 유형학적 변화로 보고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그 기제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3년간의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각 연도별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차년: 기초 작업 및 중국어의 형태유형론적 변화 연구
    1.1. 기초작업: 분석 대상 텍스트 및 어휘 선정의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목록을 작성한다.
    (1) 각 시기별로 당시 언어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텍스트를 선정하여 목록을 확정한 후 이를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를 통해 시범적으로 분석을 시행하여 문제점을 점검하고 파일을 정리한다.
    (2) 각 과제별로 분석 대상 어휘를 100개 정도로 선정하기 위해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어휘목록을 작성하여 시범적으로 분석을 시행해서 선정된 어휘목록의 타당성을 점검한다.
    1.2. 제1과제: 고대중국어에는 음운적 혹은 형태적 수단에 의하여 다양한 어법 범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제반 현상들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점차 통사적 수단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종합어에서 분석어로의 유형 변화로 볼 수 있다고 보고 분석을 진행한다.
    1.3. 제2과제: 전통적으로 언어를 굴절어, 교착어, 고립어로 나누는 형태론적 삼분법은 아래의 두 가지 매개항(parameter)에 의한 분류이다.
    ① 형태소 대 단어의 비율(morpheme-per-word ratio)
    ② 형태소의 융합도(degree of fusion between morphemes)
    이와 같은 형태 유형론의 두 가지 매개항에 의하여 각 시기별로 중국어의 조어법을 분석하여 수치화한다면 형태론적인 유형 변화를 명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2차년: 중국어의 어순유형론적 변화 연구
    2.1. 제1과제: 현대 중국어의 양화 명사구와 관련된 중요한 특징은 양사의 사용과 ‘수사+양사+명사’의 어순이다. 그러나 상고시기 중국어의 양화 명사구는 양사를 사용하지 않고 수사와 명사의 어순이 고정되지 않는 등 현대 중국어와는 현저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과제는 중국어의 양화 명사구가 통시적으로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쳐 현대의 양화명사구의 어순으로 정착되었으며 양사가 출현하게 된 기제는 무엇인지 살피고 이러한 어순변화와 양사의 출현이 유형학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2.2. 제2과제: 본 과제에서는 OV-VO 어순 유형의 변화와 다중 내부 논항을 갖는 동사구 내의 논항의 어순 변화를 분석하게 될 것이다.
    2.2.1. 본 연구는 우선 갑골문 이래 약 3000여 년 간 각 시기를 대표하는 문헌에서 OV와 VO 어순을 비교하여 무표적 어순을 설정하고 동사와 빈어 간의 어순이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관찰하고 무표적 어순의 통계적 수치를 분석하여 어순변화의 추이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한다.
    2.2.2. 본 연구는 갑골문부터 고대중국어, 근대중국어를 거쳐 현대중국어에 이르기까지 동사와 간접빈어(IO), 직접빈어(DO) 간의 다양한 어순관계를 고찰하고, 각 어순유형이 어떻게 분화, 통합, 발전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2.3. 제3과제: 이 과제는 1차년도의 연구 성과와 2차년도의 연구 성과를 종합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개별 언어현상은 상호 무관한 것이 아니라 언어 체계의 틀 안에서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국어의 유형 변화도 어순 변화와 형태 변화가 서로 맞물려 진행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어순 변화와 형태 변화 간의 관련성과 변화 기제를 탐색하는 것이 본 과제의 목표이다.

    3. 3차년도: 현대중국방언과 언어접촉을 통해 본 중국어 유형 변화 연구
    3차년도는 본 연구를 마무리 짓는 단계로 1, 2차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다른 언어와의 접촉을 통한 중국어의 유형 변화와 현대 중국 방언의 유형적 다양성을 살펴본다. 3차년도의 연구 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3.1. 제1과제: 중국어 유형 변화에 대한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본다면 현대 방언의 유형적 특징도 역사적 유형변화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1, 2차년에 살펴본 형태, 통사적 지표를 바탕으로 각 방언에 대한 형태유형학적, 어순유형학적 특징을 고찰한다.
    3.2. 제2과제: 언어의 유형학적 변화는 타 언어와의 접촉이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본 과제는 통시적으로 다른 언어와의 접촉에 따른 중국어의 유형 변화를 고찰한다.
    3.3. 제3과제: 1, 2차년도에는 중국어가 통시적으로 어떠한 유형적 변화를 겪었는지를 고찰했고, 3차년도에는 현대 방언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어가 공시적으로 어떤 유형적 다양성을 갖고 있는지를 고찰함과 동시에 언어접촉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외적 요인이 중국어의 유형적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과제는 이상의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어의 언어유형학적 특징이 무엇인지에 관한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려 한다.
  • 한글키워드
  • OV어순,고립어,굴절어,방언,분석어,문헌학,교착어,종합어,조어법,조어법,음운론,언어접촉,언어유형학,어휘론,어순유형학,양화 명사구,漢兒言語,형태유형학,통사론,코퍼스 언어학,VO어순
  • 영문키워드
  • Haner Language,Morphological Typology,Agglutinative Language,philology,Word Order Typology,Word Formation,VO Word Order,Synthetic Language,Syntax,Phonology,OV word Order,Dialect,Corpus Linguistics,Analytic Language,Linguistic Typology,Inflectional Language,Isolated Language,Language Contact,Lexi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중국어의 통시적 변화를 언어 유형의 변화로 보고, 그 변화의 양상 및 기제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3년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 년도는 중국어의 형태유형론적 변화를 고찰하였다.
    고대중국어에는 음운적 혹은 형태적 수단에 의하여 다양한 어법 범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제반 현상들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통시적으로 점차 통사적 수단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즉, 음운교체와 같은 음운적 수단 혹은 접사 첨가와 같은 형태적 수단에 의해서 어법 범주를 나타내는 현상은 전형적인 종합어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차차 사라지면서 어순 등의 통사적 수단으로 대체되는 현상은 종합어에서 분석어로의 유형 변화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통시적 변화가 중국어의 형태유형학적 변화를 의미함을 주장하였다.
    2차년은 중국어 어순 유형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통시적으로 중국어 어순의 가장 큰 변화는 양화명사구 내의 수사와 명사의 어순변화이고 다른 하나는 동사와 내부논항 간의 어순변화이다.
    즉, 양사가 없이 ‘수사+명사’, ‘명사+수사’ 두 가지 어순의 명사구가 ‘수사+양사+명사’의 어순으로 고정된 기제를 밝혔다.
    또한 OV언어에서 VO언어로 변화하는 현상 및 선진시기 이중타동구문에서 동사 뒤의 두 논항의 어순을 결정하는 기제 및 ‘SVO給O’ 구문의 통시적 발전과정을 규명하였다.
    3차년도는 다른 언어와의 접촉을 통한 중국어 유형 변화와 현대 중국방언의 유형적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각 방언은 다양한 유형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역사적 유형변화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대 중국어 방언의 유형적 다양성을 통해서 통시적 유형변화와 공시적 유형의 다양성 간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언어의 유형학적 변화는 타 언어와의 접촉이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북방의 언어인 알타이 언어가 중국어의 유형 변화에 미친 여러 사례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외부의 요인이 어떤 방식으로 중국어의 유형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 영문
  • We have studied the aspects and the mechanism of Chinese diachronic change from the linguistic typological prospective for three years.
    In the first year, we investigated morphological typological change of Chinese.
    Our analysis of Archaic Chinese shows lots of cases that it had distinguished grammatical categories by phonological or morphological methods which were replaced later by syntactic methods diachronically.
    Archaic Chinese has the properties that synthetic languages have typically, regarding that grammatical categories are distinguished by phonological methods like phonological replacement or shift, and morphological methods like affixation.
    These phenomena gradually disappeared, and were replaced by syntactic methods. This means that Chinese underwent the typological change historically from a synthetic language to an analytic language.
    We assert that these diachronic changes are "morphological" typological changes in Chinese.
    In the second year,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word order from typological prospective.
    The most dramatic diachronic changes of Chinese word order occurred in quantified noun phrases with numerals and nouns and in verb phrases with verbs and arguments.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explaining how the order of ‘number+classifier+noun’ came from ‘number+noun’ or ‘noun+number’ without classifier.
    We also investigated the word order change from OV to VO in oracle bone inscriptions and the mechanism determining the word order of post-verbal arguments in pre-Qin ditransitive constructions and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SVOgeiO’ construction.
    In the third year, we investigated typological change caused by language contact and typological diversity of modern Chinese dialects.
    Chinese dialects shows diverse typological features, which can be seen as the results of diachronic typological change.
    We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diachronic typological change and synchronic typological diversity by analyzing typological diversity of modern Chinese dialects.
    Language contact is another significant factor of typological change.
    We investigated how external factors like contact with Altaic languages had affected the typological change of Chine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1차년: 기초 작업 및 중국어의 형태유형론적 변화 연구
    1차 년도는 우선 3개년도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한 후 형태유형론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시적으로 고대중국어에서 현대중국어로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형태론적 유형 변화로 볼 수 있는 제반 현상들이 있다. 1차 년도에는 이러한 제반 현상을 통하여 중국어의 유형 변화의 모델을 제시하고 이러한 형태 변화가 어순 변화와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고 변화의 기제는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 제1과제: 분석 대상 어휘 선정의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어휘목록을 작성한다.
    • 제2과제: 음운, 형태적 수단에 의하여 어법범주를 나타내던 현상이 사라지고 통사적 수단으로
    대체되는 과정을 통해서 유형 변화를 탐색한다.
    • 제3과제: 造語法의 발전과정을 통해서 유형 변화를 탐색한다.
    - 2차년: 중국어의 어순유형론적 변화 연구

    • 제1과제: 명사구 내의 수사+양사와 명사의 수식관계로의 어순 변화 과정을 탐색한다
    • 제2과제: 동사와 내부논항 간의 의미, 통사관계의 발전을 통한 어순 변화 과정을 탐색한다
    • 제3과제: 어순변화와 형태변화의 상관관계를 탐색한다.
    - 2차년은 중국어 어순 유형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통시적 관점에서 갑골문 이래의 자료에서 중국어의 유형적 변화를 관찰,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어의 유형을 거시적 입장에서 조망하여 전체적인 어순유형적 변화 모델을 제시하려 한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사항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 제1과제: 명사구 내의 수사+양사와 명사의 수식관계로의 어순 변화 과정을 탐색한다
    • 제2과제: 동사와 내부논항 간의 의미, 통사관계의 발전을 통한 어순 변화 과정을 탐색한다
    • 제3과제: 어순변화와 형태변화의 상관관계를 탐색한다.
    - 3차년: 현대중국방언과 언어접촉을 통해 본 중국어 유형 변화 연구
    3차 년도는 본 연구를 마무리 짓는 단계로 1, 2차 년도에서 논의된 사항의 기초위에서 현대중국방언과 다른 언어와의 접촉 양상을 통해 중국어 유형 변화의 양상을 살펴본다. 3차년도의 연구 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제1과제: 1·2차 년도에서논의된 주요 언어현상들이 현대중국방언에서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를통하여 중국어유형변화의방향성을고찰한다.
    • 제2과제: 다른언어와의 접촉에 따라중국어가 어떠한유형변화 과정을 거쳤는지살펴본다.
    • 제3과제: 통시와 공시,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중국어의 유형론적
    보편성을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① 연구기간 동안 본 연구과제의 책임자 및 공동연구원들은 국내 학회 및 중국, 미국 등 해외 학회에 본 연구과제의 결과물로서의 논문을 적극적으로 발표하고 알림으로써 중국어 유형론을 연구하는 대표적인 학자군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어의 통시적 유형변화에 관한 연구를 집대성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성과를 저술로 출판할 예정이다.

    ② 본 연구과제 수행을 위한 목적으로 시작된 스터디의 외연을 확대하여 연구 기간 종료 후에도 스터디는 20여 명의 중국언어학, 국어학 전공 학자들의 학문교류의 장으로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 색인어
  • 언어유형 변화, 분석어, 종합어, 어순, 부정사, 통시적 발전, 문법화, 양사, 논항, 이중타동구문, 방언, 언어접촉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