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빈곤퇴치를 위한 융복합 연구의 허브 구축: 빈곤퇴치를 위한 지속발전 거버넌스 모형의 탐색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목적은 빈곤퇴치를 위한 지역공동체 실태조사 및 현장기반형 기초모형의 도출 연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 거버넌스 구축, 자원순환 유기농업에 기반한 친환경 공동체 형성, 보건·의료시스템의 발전모형 등을 제시하며 지역공동체의 자생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방식에 입각한 빈곤퇴치를 위한 엄밀한 지표조사와 측정지표에 입각한 현장기반형 빈곤퇴치 모형을 도출하고자한다. 이를 위한 세부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맞춤형 지속발전 거버넌스 모형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대상지역의 자연환경, 문화 및 역사가 빈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연구 대상지역에 작동하고 있는 자원의 조달 및 분배 메커니즘, 생산활동의 종류와 시장구조 그리고 정책의 결정과 집행 주체, 의사결정구조 등 기존의 거버넌스의 구조에 대한 분석과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와 더불어 지역내, 지역간, 그리고 지역과 국가 및 국제사회와의 연대 네트워크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이해도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역별로 빈곤의 심각성을 평가하고 가용한 인적 자원의 양과 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구구조와 구성원들의 교육수준, 숙련도, 영양상태, 질병의 종류와 감염율, 공중보건 및 의료서비스 공급시스템, 보간교육 등에 대한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현황 파악은 연구 대상지역의 사례분석 및 문헌고찰 통해 수행하며 문헌 및 사례가 불비한 경우 직접 조사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정상적인 영양상태 및 보건의료 수준과의 차이를 추정한다. 또한 질병과 허약한 건강상태로 인한 노동기회를 상실하는 빈도를 지수화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셋째, 단기적으로 가장 시급하게 생명을 위협하는 기아와 질병을 해소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식량 공급 체계와 보건 의료 시스템 구축 전략을 제시하고 거기에 소요되는 비용을 추계하고 재원조달 방법을 강구한다. 나아가 건강한 지역사회(healthy community) 건설에 필요한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구조를 분석하며 진단하도록 한다(예: community profile 작성). 이를 통하여 세부공중보건․보건교육사업을 개발하고,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세부사업의 순위(priorities)를 설정한다. 또한 지역의 농업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지역 맞춤형 자원순환형 친환경 유기농업 모델을 구축한다. 열악한 농업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재원의 규모를 추계하고 조달 방식을 강구한다.
    넷째, 산업사회의 도시 빈곤계층의 경우 복지제도, 의료제도, 취업기회, 생계형 자영업에 대한 투자기회, 재교육의 기회, 정보에 대한 접근성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빈곤계층의 자립기반 형성에 걸림돌이 되는 요인들의 경중을 분석한다.
    다섯째, 보건·의료 분야의 연구는 전체 공중보건․보건교육사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사업의 정착을 유도한다. 이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건강한 지역사회 발전전략 및 효율적인 지역사회 공중보건서비스 네트워크 형성전략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체계를 연구한다. 사업의 모니터링 및 평가가 연도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드백을 즉시 적용하도록 한다. 사업 사례 홍보물을 작성하여 타 지역에 모델사업으로서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펀드 조성을 위한 대외 홍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가능한한 선택지역 수를 증가시켜 사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지역의 공중보건정책 실태를 조사하고, 모니터링 및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연도별 및 단계별 사업을 평가하도록 한다. 2단계 시범사업의 수행전, 관련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하여 사업 모형을 수정․보완하여 확정하고, 홍보방법을 개발하여 전체 해당지역에 홍보를 함으로써, 사업 분위기 조성 및 교육 효과를 증진한다. 대상지역의 이해관계자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가능한한 현지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개발된 빈곤지역에서의 공중보건 개선 및 보건교육 모델을 확산시키도록 한다.
  • 기대효과
  • 1. 학술적 기대효과
    - 빈곤퇴치를 위한 융합학문적 기반 확대 및 대학의 특성화 및 전문화 강화
    -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학술적 연대 및 네트워크 구축
    -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모형의 실천적 적용
    -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을 위한 지역친화적 발전모형 탐색 및 적용

    2. 교육적 기대효과
    - 사회경제개발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지원
    - 정보·지식 격차 해소를 위한 지식정보인프라 구축 지원
    - 글로벌 리더 육성 및 국제개발협력 교육프로그램 개발
    - 전문인력 및 차세대 사회과학자 육성

    3. 사회적 기대효과
    - 세계빈곤퇴치를 위한 국민적 이해 증진 사회적 공감대 형성
    - 국민의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통한 국제사회의 역할과 위상 강화
    - 국격 향상의 기회 제공
    - 국가의 외교적 위상 제고 및 자원외교 환경 개선
    - 한국적 국가발전 모델 정립과 참고모델 제공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빈곤문제의 해결능력을 높여 국가 및 지역발전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론 및 실천모형을 설계하여 지역, 국가, 국가간 모형을 개발하여 확대 보급한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인 연구방법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글로벌 빈곤퇴치를 위해 설계된 만큼 조사대상 지역을 전세계의 최소개발국가 중에서 선정한다. 제1단계에서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우간다와 탄자니아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 방글라데시와 네팔이 대상국가가 될 것이다.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1단계 연구를 진행하면서 비교분석의 단계로 진입할 때 그 인접 국가로 연구대상을 확산시켜 다양한 빈곤유형을 구분하여 발전모형을 제시한다.
    둘째, 이 연구를 위해 활용될 자료의 조사는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들의 지역공동체 지도자 및 관리자들과의 면접조사를 통하여 개발도상국가의 빈곤현실과 현재의 지역공동체의 빈곤퇴치를 위한 협력체계의 현실을 진단하고, 공동연구원들의 집단 간 회의(intergroup meeting)과 전체회의(large group meeting)을 통하여 각 세부과제에서 분석을 위해 필요로 하는 지표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하여 효율적인 지표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이연구는 다학제간 융복합연구로 사회과학·자연과학·의보건과학의 융합연구이므로 세 가지 학문분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하여 과제 간 긴밀한 협력체계가 다양한 회의와 컨퍼런스를 통하여 형성될 것이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문제에 대한 철학적 문헌의 분석, 사회적 역량과 지속가능성 성과를 연계한 연구들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시도한다.
    둘째, 기존 연구에서 도출된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조사도구의 신뢰성을 재확인하고 지속가능성 측정척도의 개발, 현재 진행 중인 빈곤해결방안들의 활용에 대한 실태조사 그리고 성과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이고 정확한 조사도구를 도출한다.
    셋째, 기존연구와 실태조사를 통한 새로운 조사도구의 활용과 측정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 사회적 발전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자아준거적 이론과 실천모형을 개발하여 국내외에 전파하는 활동을 수행한다.
    넷째, 빈곤문제를 퇴치하기 위한 공중보건사업에 대한 문헌의 고찰 및 분석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도록 한다.
    다섯째, 연구자가 지역사회에 참여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포함한 지역주민과의 의사소통 가운데 사업을 개발하고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실제적으로 지역의 필요에 따른 사업을 수행하여 사업의 효과를 제고하고 사업 및 연구 기술을 공유하도록 한다.
    여섯째, 각 단계별로 사업이 점진적으로 지역에 확산되고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사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도록 한다.
  • 한글키워드
  • 국제기구,최빈국,지속가능한 개발,빈곤퇴치,NDT,기아,보건교육,건강공동체,사회적책임,사회적 경영,녹색성장,유기농업,생명과학,질병관리체계,보건의료체계,보건의료,질병관리,지역공동체,지역개발,개발도상국,저개발국가,국가개발,학제간 융복합,실증분석,동남아시아,동아프리카,국제개발,국제협력,사회적 자본,사회적기업,발전모형,빈곤유형
  • 영문키워드
  • green growth,NDT,famine,organic farming,life science,Disease Control system,health care system,health medicine,disease management,local community,local development,developing nation,low development countries,nation development,interdisciplary study,Empirical Analysis,south-east asia,east africa,the poorest nation,sustainable development,poverty alleviation,social enterprise,poverty typology,international organization,international development,international cooper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 거버넌스의 형성연구를 위해서 현재 개발도상국가들의 교육 및 학습, 경제개발 등을 주도하는 정치, 경제, 행정 지도자들에 대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 개발도상국가의 효과적인 지역공동체 친화형 거버넌스체계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친환경 유기농업 대상지역에 최적 친환경 유기농업 생태마을 조성에 필요한 정보조사를 위해 다양한 요소 중 대상지역의 지역적 특성, 경작체계, 농업환경, 퇴비체계, 토양영양, 노동요구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공중보건・보건교육 사례분석 및 문헌고찰, 지역사회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지역사회(Healthy Community) 만들기(깨끗한 수질 환경 조성, 깨끗한 화장실 만들기), 보건교육(Health Education)(산모 및 영유아를 위한 건강교실, 영양개선을 위한 보건교육, 건강한 성을 위한 보건교육) 등 대상지역에 맞는 세부공중보건・보건교육사업을 통해 개발에 필요한 사례연구를 구축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을 아프리카(우간다, 에티오피아), 동남아시아(네팔, 필리핀)를 선정하여 대상지역에 대한 공중보건, 사회자본, 생산성 지표를 일차 연구진이 개발하고, 전문가 대상 델파이조사를 통해 확정하여 추진하였다.
  • 영문
  •  This study used a survey of leaders in politics, economics and administration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learning, economic development and an so on in developing countries, to construct an effective local community-friendly governance system. We also investigated and analysed local terrain, cultivation techniques, agricultural conditions, composting systems, soil conditions, labor demand and many other different factors, in order to construct optimized environment-friendly organic farming ecological villages in selected target areas. We further constructed a case study for development through detailed public health/health educ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target areas based on case analysis and a literature review of public health education concerning sanitation and results of local community evaluations. For example, making healthy communities (protecting clean water supplies, proper handling of toilets and sewage), health education (health classes for mothers and infants, health education for improving nutrition, sexual health education). We selected Africa (Uganda, Ethiopia) and East Asia (Nepal, the Philippines) for target areas. First, researchers developed public health, social capital and productivity indices of these target areas through a Delphi method survey of experts, and then proceeded to implement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빈곤퇴치를 위한 지역공동체 실태조사 및 현장기반형 기초모형 등을 도출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지역공동체 발전모형을 모색하고 거버넌스, 농업생산성, 건강관리 등을 빈곤퇴치의 핵심영역으로 인식하여 실질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빈곤의 악순환을 극복하기 위한 첫 단계는 빈곤 실태를 파악하고 가장 심각한 문제점을 찾아 반복되는 빈곤악순환을 차단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악순환 단절을 위한 처방을 설계하여 지속가능 발전의 선순환으로 변혁하고자 한다. 특히,글로벌 빈곤은 21세기에도 고질적인 지구적인 문제인 만큼 국가 차원에서 장기적인 학술연구 의제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은 빠른 시간에 저개발국가에서 선진국의 반열에 진입했기 때문에 한국경험을 공유하는 것도 저개발국가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한국경험을 공유하고 저개발국가의 빈곤해소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국제사회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술적 활용
    가. 빈곤퇴치를 위한 융합학문적 기반 확대 및 대학의 특성화 및 전문화 강화
    나.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학술적 연대 및 네트워크 구축
    다.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모형의 실천적 적용
    라.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을 위한 지역친화적 발전모형 탐색 및 적용
    2. 교육적 활용
    3. 사회적 기여
    가. 세계빈곤퇴치를 위한 국민적 이해 증진 사회적 공감대 형성
    나. 국민의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통한 국제사회의 역할과 위상 강화
    다. 국격 향상의 기회 제공
    라. 국가의 외교적 위상 제고 및 자원외교 환경 개선
    마. 한국적 국가발전 모델 정립과 참고모델 제공
    4. 연구결과의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5. 연구 성과의 국가 및 지역 R&D 기여
  • 색인어
  • 빈곤, 빈곤퇴치, 융복합연구, 지속발전 가능성, 지속발전 거버넌스, 거버넌스 모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