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武丁 왕과 婦好 왕비와 관련된 卜辭기록을 통한 상대문화 고찰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7-A0046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10 개월 (2011년 07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신영자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武丁 왕과 婦好 왕비에 관한 갑골문의 기록 중 婦好와 관련된 卜辭기록을 중심으로 상왕조의 역사 및 문화를 고찰하여 중국의 東北工程같은 전략적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중국의 위상은 이미 G2시대의 주인공으로 급부상했고, 세계는 중국을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문화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문화에 대한 연구는 양국의 관계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다. 뿐만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뿌리, 즉 동양문화의 근원을 규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고대인들의 정신문화의 도구였던 갑골문자는 고대 문화를 이해하는 첩경이다. 특히 갑골문시대의 문화고찰은 우리문화의 근원도 알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자료라고 본다. 또한 갑골문이 동이족이 사용했던 문자라는 학자들의 주장이 허구가 아니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밝히고, 현재 중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동북공정의 전략에 대한 우리의 대처방안을 찾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상왕조의 존재를 확인시켜 준 중심인물인 武丁 왕과 婦好 왕비에 대한 인물고찰 및 활동을 통해 당시의 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향후 한중 양국의 관계 증진 및 학제 간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렇다면 왜 武丁왕과 婦好왕비가 중요한 테마가 되어야 하는가? 董作賓은 갑골문의 시기를 구분하는 斷代연구 결과 갑골문의 시기를 총 5기로 나누었는데, 武丁의 시기는 제 1기에 해당된다. 1982년에 제작된 『甲骨文合集』은 그동안 발굴된 16만여 편의 갑골편 중 내용상 중요하고 비교적 선명한 4만여 점을 선별하여 총 13권으로 엮었다. 이 중 전7권이 모두 武丁시기의 것이다. 이처럼 武丁왕은 갑골문시대에 핵심적인 인물이다. 婦好왕비는 武丁왕의 첫 번째 왕비로서 그녀의 묘가 도굴당하지 않고 원형그대로 발굴됨으로서 전설과 신화로만 인식되었던 상왕조의 존재를 증명하는 결정적인 증거자료를 제공해 준 장본인이다. 만일 은허시기에 武丁왕이 없었다면 갑골문의 찬란한 문화유산도 없었을 것이다. 만일 婦好묘가 온전하게 보존된 상태로 발굴되지 않았다면 갑골문의 기록은 또 하나의 기록에만 머물러 있었을 것이다. 상왕조를 신화에서 역사시대로 만든 두 주인공을 우선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 기대효과
  • 1. 상대에 존재했던 실존인물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역사자료 및 고고학 등 유관 학문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중국의 고대사는 동양문화권, 즉 한자문화권의 고대사이기도 하다. 특히 상왕조는 동이족이 세운 나라로 우리의 고대사와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갑골문시기 핵심인물인 武丁과 부호에 관련된 복사기록을 규명함으로서 우리의 고대문화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알 수 있고, 고고학 등 유관학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동이족이 세운 상왕조 문화와 역사를 통해 중국의 동북공정 및 요하문명론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체방안을 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상왕조는 동이족이 세운 나라이며, 갑골문자는 동이족의 문자라는 사실은 중국 학계에서는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중국은 1980년대 이후 고대의 유적지와 유물이 발굴됨으로서 한족중심의 황하문명을 더 이상 고수할 수 없게 되었다. 동북공정은 시작에 불과하다. 1996년에 夏商周斷代工程을 시작으로 해서 東北工程 등 각종 斷代工程에 이어 현재 遼河文明論을 거론하면서 대대적인 새로운 중화사상을 세우고 있다. 이 연구가 완성되면 중국의 전략적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우리의 근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3. 한자의 원형인 갑골문자의 새로운 인식전환- 한자의 인지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
    갑골문은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자의 최초의 모습이다. 예를 들면 專자의 갑골문 자형은()이다. 현재 이 글자는 ‘오로지, 전념하다, 전문가’라는 의미가 있다. 실을 빼내는 물레 모양과 사람의 손(又)이 합쳐진 글자이다. 실을 빼내려면 부지런히 손을 움직여야 함으로 ‘움직이다’의 뜻이 생겼고, 기계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정신을 집중해야 하므로 ‘전념하다’의 뜻을 가지게 된 것이다. 또 이런 일은 숙련을 필요로 하므로 ‘전문가, 전공하다’란 뜻으로 확대됐다.
    인간의 뇌는 시각을 통해 기억력이 더욱 보강된다고 한다. 갑골문자형은 눈으로 보면 그 뜻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우리의 한자교육 방법 중 인지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武丁 왕과 婦好 왕비와 관련된 卜辭기록을 통한 商代 文化를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주된 연구는 다음 3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1. 유관 자료를 통한 武丁 왕과 婦好왕비에 대한 사전 조사 및 데이터를 작성한다.
    본 연구는 갑골문시기 핵심인물이었던 武丁 왕과 婦好 왕비에 대한 활동 및 田籍기록을 통한 상대 문화고찰이다. 그래서『甲骨文合集』, 『小屯南地甲骨』, 『花園莊東地甲骨』등의 갑골 도판을 저본으로 하여 武丁과 婦好에 관련된 卜辭기록을 조사-검토-발췌하고,『史記 ․ 殷本紀』,『詩經』,『尙書』, 『竹書年記』등 상왕조와 유관된 전적에서 이들에 관한 기록을 찾아 데이터를 작성해야 하는 선행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동이족이 세운 상왕조에 대한 사전 조사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1차년도에는 이들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할 계획이다.

    2. 전적을 토대로 작성된 데이터를 가지고 갑골문 발견지인 殷墟를 현지 답사하여 오류를 수정한다. 특히 당시의 생활을 고스란히 남긴 부호묘가 발굴된 현장 답사는 필수적이다. 3만여편에 기록되어 있는 婦好관련 卜辭와 부호묘에서 발굴된 유물은 상왕조 문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또한 갑골문이 발견된 현장을 답사함으로서 더욱 생생한 자료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갑골문에 나타난 婦好관련 卜辭기록을 통해 본 商代 문화 고찰’ 소논문을 작성한다.

    3. 東夷족이 세운 상왕조는 우리문화의 뿌리와도 연관되어 있다. 현재 중국은 大中華主義의 건설을 위해 국가적 차원의 전략으로 동북공정 등 각종 斷代工程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 방안을 찾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무정과 부호가 동이족이라는 각종 연구결과를 조사, 검토하여 ‘무정시기 갑골문과 婦好묘에서 출토된 유물을 통한 상족의 토템사상 및 풍습과 생활사 고찰’에 관한 소논문을 작성한다.
  • 한글키워드
  • 상대,은허,동이족,요하문명,동북공정,단대공정,부호,무정,상왕조(상나라),상문화,상문명,복사,갑골문
  • 영문키워드
  • Dongyi,Yinxu,Shang culture,Oracle-Bone Inscriptions Buci Wu Ding,Norheast Project,Hongshan culture,Xia Shang Zhou Chronology Project,Fu Hao,Shang civilization,Shang era. Shang Dynas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武丁 왕과 婦好 왕비에 관한 갑골문의 기록 중 婦好와 관련된 卜辭 기록과 婦好墓에서 발굴된 유물을 중심으로 商王朝 후기 은허시기의 역사 및 문화를 고찰하여 중국의 東北工程같은 전략적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역사 고고학, 여성학 등 유관학문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중국의 위상은 이미 G2시대의 주인공으로 급부상했고, 세계는 중국을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문화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문화에 대한 연구는 양국의 관계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다. 뿐만 아니라 한자문화권의 뿌리, 즉 동양문화의 근원을 규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고대인들의 정신문화의 도구였던 갑골문자는 고대 문화를 이해하는 첩경이다. 갑골문자는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한자 원형을 담고 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자의 원형도 갑골문에서 찾아야한다.
    갑골문 시기 가장 많은 기록을 남긴 핵심 인물이 무정왕과 부호왕비이다. 이 두 주인공은 商王朝를 신화에서 역사시대로 만든 장본인들이다. 무정은 상왕조의 22대왕으로 59년동안 재위에 있으면서 탁월한 정치력을 발휘해 역사에서는 이 시기를 ‘武丁復興’이라 한다. 특히 그의 첫 번 째 부인 婦好를 대장군으로 삼아 주변의 60여개의 方國을 정벌해 영토를 넓혔다. 그 와중에 교통이 발달하면서 상업이 성행했고, 농업, 수공업 등 정치, 경제적으로 안정과 통합을 이룩해 가장 부강한 나라를 만들었다.
    婦好는 무정왕의 지극한 사랑을 받았다. 그녀는 정치, 군사방면에서 맹활약을 펼쳤던 인물이다. 그녀는 역사상 최초로 매복전을 펼쳤고, 당시 13,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전쟁에 나가 승리를 거두었다. 그녀는 봉지를 받아 직접 관리했고, 왕을 대신해 제사를 주관하기도 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을 했다. 특히 전혀 도굴당하지 않고 발굴된 부호묘는 갑골문의 기록을 증명하는 단서가 되었다. 부호묘에서 발굴된 유물들은 당시의 찬란한 문화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녀의 생활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어 당시 여성문화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의 寶庫이다.
    역사를 알면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중문화의 올바른 이해 속에 중국의 전략에 대응한 우리문화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정하는 데 있어서 갑골문과 상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아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역사학 등 유관학문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3300년 전의 고대여성에 대한 인식의 저변확대로 그동안의 여성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저절로 얻어지는 갑골문 자형은 한자교육에 있어서 인지학습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way to respond to strategic policies like Northeast project and also preliminary data about related studies. History and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the Shang Dynasty, the period of Yinxu were examined through divinatory inscription relating to Emperor WuDing and Empress FuHao in Oracle Bone Inscriptions and relics exhumed in the tomb of Empress FuHao
    China’s national prestige has increased and they became the member of G2. China has drawn global attention. In this situation, the study about ancient culture regarded as the root of Chinese culture is fundamental to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Moreover, the root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and Eastern culture can be identified. The analyzing of Oracle Bone Inscriptions is a shortcut to understand ancient culture as Oracle Bone Inscriptions was a tool in ancient people’s moral culture. It involves the origin of the existing earliest Chinese character. The derivation of Chinese character that we use today should be found in Oracle Bone Inscriptions.
    The Emperor WuDing and Empress FuHao were central people written in Oracle Bone Inscriptions. They were the ones who carried the Shang Dynasty from a myth to history. The Emperor WuDing was the 22nd great Emperor of Shang Dynasty. His political power was tremendous during his 59-year rule. This period is called ‘the Renaissance of Emperor WuDing(武丁復興)’. The Empress FuHao, the first wife of the Emperor Wu Ding, was appointed to the Great General and expanded their territory by conquering surrounding 60 states In the meantime, transportation system was developed and merchandising thrived. The county became rich and powerful with economic and political stability. Social integ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crafts contributed to its wealth.
    The Empress FuHao was loved by the Emperor WuDing. She was also actively engaged in politics and military. She employed ambush operations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and won the war with 13,000 soldiers. She worked in various fields. On behalf of the Emperor, she supervised religious service. The land given from the Emperor was under her control.
    Relics excavated in the tomb of Empress FuHao which was never robbed became evidence to prove that the text of Oracle Bone Inscriptions were true. They also show the glorious civilization at that time. Female culture can be examined by artifacts displaying her life.
    We are able to predict our future with understating of history.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history of the Shang Dynasty by studying Oracle Bone Inscriptions should be essential for us to establish strategies corresponding to Chinese policies, based o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cultur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result of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to related studies and historical studies. The perception about female will be expected to change by spreading recognition of ancient female who lived about 3300 years ago. Moreover, the shape of Oracle Bone Inscriptions, exam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learning material regarding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武丁 왕과 婦好 왕비에 관한 갑골문의 기록 중 婦好와 관련된 卜辭 기록과 婦好墓에서 발굴된 유물을 중심으로 商代 후기 은허시기의 역사 및 문화를 고찰하여 중국의 東北工程 같은 전략적 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유관학문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갑골문자는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한자 원형을 담고 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자의 원형도 갑골문에서 찾아야한다. 고대인들의 정신문화의 도구였던 갑골문자는 고대문화의 근원을 이해하는 첩경이다. 갑골문은 동이족이 사용한 문자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동이족은 우리문화의 뿌리와도 관련이 있다.
    商나라는 夏나라를 계승한 중국 역사상 두 번째 세습제 왕조시대로, 天乙(成湯)부터 帝辛인 紂까지 총 17世 30王으로 554(B.C.1600~B.C.1046)년간 지속된 왕조이다. 商族은 새를 토템으로 삼았고 종족의 근원을 玄鳥, 즉 ‘三足烏’와 연관 짓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고대사에서 흔히 등장하는 새이기도 하다. 갑골문에 玄祖의 기록이 있음을 확인했다.
    殷墟시기는 254(B.C.1300~B.C.1046)년간 지속된 商代後期이다. 이 시기가 바로 갑골문이 사용된 시기이다. 갑골문 시기에 가장 많은 기록을 남긴 핵심 인물이 무정왕과 부호왕비이다. 무정왕은 상나라 후기 은허시기에 59년동안 재위에 있으면서 탁월한 정치력을 발휘해 상나라를 가장 부강하게 만들었다. 부호는 무정왕의 첫 번째 왕비로 그녀의 묘가 도굴당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발굴됨으로서 전설과 신화로만 인식되었던 상왕조의 존재를 증명하는 결정적인 증거자료를 제공해 준 장본인이다. 상왕조를 신화에서 역사시대로 만든 두 주인공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역사를 알면 미래를 알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중문화의 올바른 이해 속에 중국의 전략에 대응한 우리문화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정하는 데 있어서 갑골문과 상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아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1. 갑골문 시기 가장 핵심적인 인물은 武丁왕과 婦好 왕비이다. 무정왕은 지혜롭고 현명하게 나라를 다스려 역사에서는 이 시기를 ‘武丁復興’이라 한다. 특히 그의 첫 번째 부인 婦好를 대장군으로 삼아 주변의 60여개의 方國을 정벌해 영토를 넓혔다. 그 와중에 교통이 발달하면서 상업이 성행했고, 농업, 수공업 등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안정과 통합을 이룩해 가장 부강한 나라를 만들었다. 婦好는 무정 왕과 더불어 정치, 군사방면에서 맹활약을 펼쳤던 인물이다. 그녀는 역사상 최초로 매복전을 펼쳤고, 왕을 대신해 제사를 주관하기도 했다. 막강한 권력과 지위를 가진 여성으로서 출산은 물론이고 왕성한 사회 활동을 한 역사상 최초의 실존여성이다. 특히 3천년 전의 원형을 그대로 간직한 채 부호묘에서 발굴된 각종 유물들은 그 당시 찬란한 문화를 알 수 있는 결정적 증거가 되었고, 그녀의 생활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어 古代 여성문화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엮어 연구자는『갑골문의 비밀』이란 도서를 출판했다.
    3.『甲骨文合集』등 유관전적에 婦好 관련 卜辭는 총 255례가 있고, 婦妌 관련 복사는 186례가 있어 이들을 모두 데이터화 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이미 한편의 소논문을 게재했다. 향후 商代 여성문화에 대한 고찰을 할 수 있는 자료가 완성되었다.
    <활용방안>
    1. 상대에 실존했던 인물에 대한 고찰을 통해 역사자료 및 고고학, 인류학, 여성학 등 유관학문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商代 여성문화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중국인들이 여성에 대해 가지고 있던 인식의 틀을 깨고 중국 고대 여성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3,300년 전의 여성에 대한 인식을 저변 확대시킬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3.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저절로 얻어지는 갑골문 자형은 한자의 인지학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뇌는 시각을 통해 기억력이 더욱 보강된다고 한다. 갑골문 자형을 보면 그 뜻이 무엇인지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우리의 한자교육 방법 중 인지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상왕조, 상문화, 갑골문, 화동갑골문, 은허, 복사, 무정, 부호, 부호묘, 부정, 여성역할, 고대여성, 은허시기, 동북공정, 한자문화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