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있어서 수업 준비 혹은 계획 과정을 개념화한 대표적인 영역으로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 혹은 교수체제설계(Instructional Systems Design)가 있다. 교수 설계는 수업을 분석하고, 설계하고, 개발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화된 과 ...
교육에 있어서 수업 준비 혹은 계획 과정을 개념화한 대표적인 영역으로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 혹은 교수체제설계(Instructional Systems Design)가 있다. 교수 설계는 수업을 분석하고, 설계하고, 개발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화된 과정으로 정의된다(Gustafson & Branch, 2002). 이러한 교수 설계 과정에 관한 다양한 모형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가장 많이 인용되는 모형으로 Dick과 Carey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이 있다(Dick, Carey & Carey, 2005). 그러나 Dick과 Carey 모형은 이론적, 실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이 모형은 선형성을 전제로 하고 있어 최종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학습자나 내용 전문가 등의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Jones & Richey, 2000; 임철일, 연은경, 2006). 한편, 실제적인 측면에서 이 모형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국내의 경우 Dick과 Carey 모형을 비롯하여 각종 교수 설계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처방적 활동에 대하여 교사들이 그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실천은 미흡하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요컨대, 이론적 측면에서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정립되어 내려온 Dick과 Carey 모형의 각 활동들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에 의해서는 그다지 실천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수 설계 모형들이 국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실천되고 있지 않는 현상에 주목한다. 전문가로서 교사의 실천 행위의 정점에 교수 설계가 있다.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천할 것인가를 체계적으로 안내하여 주는 교수 설계 모형은 이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 확립에 매우 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상식적인 수준에서 교수 설계 활동이 이루어지거나, 현재 학교 현장의 상황과 조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는 이론적 모형들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수 설계 모형의 최근 이론적 발전 방향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초등학교 현장의 상황과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반영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하려고 한다.
본 연구가 주목하는 교수 설계 모형의 최근 이론적 발전 방향은 크게 세 가지 이다. 첫째,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조망하면서 초기에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 그것을 학습자 및 각종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는 순환적 과정을 강조하는 체제적(systemic) 교수 설계 모형(Rowland, 1992; Jones & Richey, 2000; 임철일, 연은경, 2006)과 둘째,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을 강조하는 각종 학습 및 교육 이론의 과학적 연구 결과를 반영하려고 한다. 셋째, 상황과 조건에 맞는 특정화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하려고 한다(Gustafson & Branch, 2002).
다음으로 초등학교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는 상황과 조건을 고려하게 된다. 이 상황과 조건은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할 때 전제하는 것으로서 개발되는 모형의 실제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첫째, 교수 설계의 초기 조건으로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로 대표되는 교육 내용이 존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단원(Unit)의 설계가 교수 설계 활동의 주요 결과가 된다. 교사의 교수 설계 활동은 단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된다(변영계, 김영환, 손미, 2007). 셋째, 교수 설계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자원 및 자료의 존재이다. 초등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는 각종 디지털 자원과 자료들이 제공되어 있고 이 자원과 자료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에 긍정적 및 부정적 차원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한미경, 2009; 김종석, 2009; 허홍숙, 2008). 따라서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한 것인가를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정보통신 기반의 교실 및 학교 환경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실은 지역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정보통신기반의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이런 환경은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조건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교수 설계 모형과 관련된 이론적 발전과 초등학교 교육 현장의 실제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최적의 교수 설계 모형이 어떤 형태를 취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