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최적화된 교수 체제 설계 모형의 개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B00473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임철일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교육에 있어서 수업 준비 혹은 계획 과정을 개념화한 대표적인 영역으로 교수 설계(Instructional Design) 혹은 교수체제설계(Instructional Systems Design)가 있다. 교수 설계는 수업을 분석하고, 설계하고, 개발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화된 과정으로 정의된다(Gustafson & Branch, 2002). 이러한 교수 설계 과정에 관한 다양한 모형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가장 많이 인용되는 모형으로 Dick과 Carey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이 있다(Dick, Carey & Carey, 2005). 그러나 Dick과 Carey 모형은 이론적, 실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이 모형은 선형성을 전제로 하고 있어 최종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학습자나 내용 전문가 등의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Jones & Richey, 2000; 임철일, 연은경, 2006). 한편, 실제적인 측면에서 이 모형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국내의 경우 Dick과 Carey 모형을 비롯하여 각종 교수 설계 모형에서 제시하고 있는 처방적 활동에 대하여 교사들이 그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실천은 미흡하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요컨대, 이론적 측면에서 비교적 오랜 기간 동안 정립되어 내려온 Dick과 Carey 모형의 각 활동들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에 의해서는 그다지 실천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수 설계 모형들이 국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실천되고 있지 않는 현상에 주목한다. 전문가로서 교사의 실천 행위의 정점에 교수 설계가 있다.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천할 것인가를 체계적으로 안내하여 주는 교수 설계 모형은 이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 확립에 매우 불가결한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상식적인 수준에서 교수 설계 활동이 이루어지거나, 현재 학교 현장의 상황과 조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는 이론적 모형들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수 설계 모형의 최근 이론적 발전 방향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초등학교 현장의 상황과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반영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하려고 한다.
    본 연구가 주목하는 교수 설계 모형의 최근 이론적 발전 방향은 크게 세 가지 이다. 첫째,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조망하면서 초기에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 그것을 학습자 및 각종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는 순환적 과정을 강조하는 체제적(systemic) 교수 설계 모형(Rowland, 1992; Jones & Richey, 2000; 임철일, 연은경, 2006)과 둘째,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을 강조하는 각종 학습 및 교육 이론의 과학적 연구 결과를 반영하려고 한다. 셋째, 상황과 조건에 맞는 특정화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하려고 한다(Gustafson & Branch, 2002).
    다음으로 초등학교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는 상황과 조건을 고려하게 된다. 이 상황과 조건은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할 때 전제하는 것으로서 개발되는 모형의 실제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첫째, 교수 설계의 초기 조건으로서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로 대표되는 교육 내용이 존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단원(Unit)의 설계가 교수 설계 활동의 주요 결과가 된다. 교사의 교수 설계 활동은 단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된다(변영계, 김영환, 손미, 2007). 셋째, 교수 설계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자원 및 자료의 존재이다. 초등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는 각종 디지털 자원과 자료들이 제공되어 있고 이 자원과 자료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에 긍정적 및 부정적 차원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한미경, 2009; 김종석, 2009; 허홍숙, 2008). 따라서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한 것인가를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정보통신 기반의 교실 및 학교 환경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실은 지역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정보통신기반의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이런 환경은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조건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교수 설계 모형과 관련된 이론적 발전과 초등학교 교육 현장의 실제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최적의 교수 설계 모형이 어떤 형태를 취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설계 활동을 안내하여 주는 특정화된 ISD 모형을 개발하려고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교수 설계 모형은 이론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영역의 발전과 후속 연구를 촉진하게 될 것이다.
    첫째, ISD 연구 분야의 발전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ISD는 교육공학 분야의 핵심적 지식 체계로서 지난 1970년대 후반 이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Dick과 Carey의 초기 모형(1978)에 이어서 지난 2009년에 개정 제 7 판에 나온 것뿐 만 아니라, 많은 학자들이 나름대로의 교수 설계 모형을 제안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ISD 모형들이 제안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ISD 모형을 찾는 것은 아직까지 쉽지 않다. 예컨대, Gustafson과 Branch(2002)에 의하면 학교 현장을 고려한 교실 지향(classroom-oriented) 모형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국내 학교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이론적 모형을 찾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국내의 초등학교 현실을 고려한 교수 설계 모형이 제안됨으로써 현실의 교수 설계 활동을 이론적으로 안내하여 주는 모형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초등학교의 현실적 요구와 차이가 있는 중등학교의 현실을 고려한 교수 설계 모형의 개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설계 기반 연구 방법론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보여주면서 방법론적 정교화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국내 교육공학계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실험적 연구방법론의 대안으로 설계 기반 연구 방법론이 활발하게 소개되고 있다. 설계 기반 연구는 기본적으로 통제된 실험실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의 결과가 현실에서 제대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예컨대, 매체 활용 방법으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형태의 학습 지원 및 교수 전략이나 모형들이 학교 현장에서 적용되지 않은 이유를 모색하려고 한다. 핵심적인 연구 방법론 상의 해결 방향은 연구자의 초기 아이디어를 현장에 반복적으로 적용하면서 최적의 상태에 이를 수 있도록 관련 당사자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설계 기반 연구 방법론이 교수 설계 모형의 개발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와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어떻게 서로 협력적으로 연구 개발 활동을 수행하는 가를 보여 줄 뿐만 아니라, 어떤 자료들이 어떻게 수집되고, 분석되며, 수정된 모형의 개발로 연결될 수 있는가를 보여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교육 현실을 개선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먼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 설계 활동이 전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틀과 구체적 전략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될 교수 설계 모형은 최근까지의 교수 및 학습 관련 과학적 원리를 반영하는 것은 물론이고, 교육 현장의 실제적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의 상태를 보여주게 된다. 따라서 국내에서 개발되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몇 안 되는 이론적 모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모형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이 대학 수준에서 교수 설계 활동을 학습하게 될 때 활용하게 될 수 있다. 타당화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적으로 개발되는 본 모형이 국내 교육공학 관련 저서 등에서 소개되면서 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교수 설계 활동을 예비교사들이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Dick과 Carey 모형으로 대표되는 교수 설계 모형들이 국내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실천되고 있지 않는 현상에 주목한다. 전문가로서 교사의 실천 행위의 정점에 교수 설계가 있다.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천할 것인가를 체계적으로 안내하여 주는 교수 설계 모형은 이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 확립에 매우 불가결한 요소이나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상식적인 수준에서 교수 설계 활동이 이루어지거나, 학교 현장의 상황과 조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는 이론적 모형들이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수 설계 모형의 최근 이론적 발전 방향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초등학교 현장의 상황과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반영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하려고 한다.
    본 연구가 주목하는 교수 설계 모형의 최근 이론적 발전 방향은 크게 세 가지 이다. 첫째, 전통적인 교수 설계 모형으로서 체계적 접근(Dick, Carey, & Carey, 2005)에 대한 대안을 고려한다. 순차적이며, 단계적이며, 선형성을 전제로 하는 교수 설계 과정보다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조망하면서 초기에 프로토타입을 제시하고 그것을 학습자 및 각종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하는 순환적 과정을 강조하는 체제적(systemic) 교수 설계 모형이 제안되고 있다(Rowland, 1992; Jones & Richey, 2000; 임철일, 연은경, 2006). 둘째,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을 강조하는 각종 학습 및 교육 이론의 과학적 연구 결과를 반영하려고 한다. 예컨대,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지원하여 주는 각종 스케폴딩(scaffolding) 전략의 활용(김성미, 2004)이나,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하려는 포트폴리오(portfolio) 및 루브릭(rubric)(노원경, 2008a)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 셋째, 상황과 조건에 맞는 특정화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하려고 한다(Gustafson & Branch, 2002). Dick, Carey, Carey 모형이 제안된 이후 지금까지 모형의 활용 조건에 따라 많은 모형들이 개발되어 왔다. 즉 초기에 일반적인 교수 설계 모형의 개발 단계에서 벗어나서 모형이 활용되는 특정한 조건과 상황에 따른 교수 설계 모형이 제안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는 상황과 조건을 고려하게 된다. 이 상황과 조건은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교수 설계 모형을 개발할 때 전제하는 것으로서 개발되는 모형의 실제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된다. 첫째, 교수 설계의 초기 조건으로서 기본 내용이 존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로 대표되는 교육 내용이 사전에 분명하게 있는 상태에서 교수 설계가 시작되는 것이다. 이는 기존 교수 설계 모형 중 구체적 교수 목표의 진술보다는 교사들이 내용을 먼저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는 Gerlach와 Ely(1980)의 입장의 연장선에 있다. 둘째, 단원(Unit)의 설계가 교수 설계 활동의 주요 결과가 된다. 단원은 유사한 성격의 내용과 목표를 담고 있는 것으로서 대체로 한 달 정도의 기간 내에서 다루어지며, 교사의 교수 설계 활동은 이러한 단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된다(변영계, 김영환, 손미, 2007). 셋째, 교수 설계 과정에 참고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자원 및 자료의 존재이다. 초등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는 기존의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이외에 각종 디지털 자원과 자료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 자원과 자료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에 긍정적 및 부정적 차원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한미경, 2009; 김종석, 2009; 허홍숙,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형태의 자원과 자료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정보통신 기반의 교실 및 학교 환경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실은 도시와 농촌 혹은 지역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정보통신기반의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한국정보화진흥원). 교사가 컴퓨터의 자료를 대형 모니터 혹은 빔 프로젝터를 통하여 보여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전자 칠판, IPTV 등의 도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환경의 변화는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조건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교수 설계 모형은 이러한 정보통신 기반의 교실 및 학교의 물리적 조건을 고려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상의 교수 설계 모형과 관련된 이론적 발전과 초등학교 교육 현장의 실제적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최적의 교수 설계 모형이 어떤 형태를 취할 수 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
  • 한글키워드
  • 설계 기반 연구,체제적 교수 설계,교수 설계 모형,초등학교 교수-학습 과정안
  • 영문키워드
  • instructional design model,systemic instruction design,lesson plan for elementary school,design-based research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교수설계는 수업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화된 활동이다. 체계적인 교수설계를 안내하기 위한 교수설게 모형들이 개발되었으나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교수설계 이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과 모형이 학교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점 등을 이유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기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수설계를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교수체제설계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모형은 최근의 교수설계 모형 이론과 초등학교 현장의 교수설계 활동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최근의 교육 이론과 초등교육의 특징과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교수설계 모형에 반영할 요소들을 추출하고 1차 교수체제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래피드 프로토타입 방법 적용, 반복적인 형성 평가 실시, 구성주의 원리의 적용 원칙 적용, 학습목표 분석으로 설계 시작, 단원 설계 기반의 모형, 숙련된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 고려, 디지털 형태의 풍부한 자원의 활용, 평가 계획의 강조를 특징으로 한다. 1차 모형은 교육공학자 3인과 초등학교 교사 3인으로부터 모형의 타당성과 현장 적합성을 검토 받아 2차 모형으로 수정되었다. 2차 모형은 초임 초등학교 교사 3인과 5년 경력 이상의 초등교사 3인이 교수설계하는 과정에 적용되었다.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의견은 3차 모형의 개발에 반영되었다. 3차 모형은 초임 초등교사 2인이 평상시 교수설계하는 과정에 적용되었다. 수업 관찰과 교사, 학생 인터뷰를 통해 모형의 개선점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하여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에 대한 전문가와 현직 교사들의 검토 결과, 모형의 요소는 2차 모형 개발 후 최종 모형까지 동일하였다. 다만 교수설계를 돕기 위해 제안한 워크시트에 대해 다양화, 간략화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가 있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체제적 교수 설계를 위해서는 워크시트의 개발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모형의 개발은 교수설계이론의 발전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설계 활동이 전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모형의 검토 과정에 참여한 교사의 수가 많지 않다는 점과 모형의 효과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계속적인 모형의 현장 적용과 개선, 효과 검증의 과정이 요구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al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design-based research. Instructional Design is defined as a systematic process of analyzing, designing,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instruction. Although a variety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s have been suggested, they are not well practiced in elementary schools due to their own theoretical problems and their impracticality of application.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optimal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cent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the literature about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The first model was developed by considering recent educational theories and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n extracting the components for th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3 educational technologists and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estigated the validation and suitability of the first model and their feedback was documented. The first model was modified and developed the second model based on resulting feedback. The second model was tested for use by 3 novice and 3 exper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suggested. The third model was applied to novice 2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ir opinions were used to modify the model.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교수설계는 수업의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화된 활동이다. 체계적인 교수설계를 안내하기 위한 교수설게 모형들이 개발되었으나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는 교수설계 이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과 모형이 학교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점 등을 이유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기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수설계를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교수체제설계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모형은 최근의 교수설계 모형 이론과 초등학교 현장의 교수설계 활동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최근의 교육 이론과 초등교육의 특징과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교수설계 모형에 반영할 요소들을 추출하고 1차 교수체제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은 래피드 프로토타입 방법 적용, 반복적인 형성 평가 실시, 구성주의 원리의 적용 원칙 적용, 학습목표 분석으로 설계 시작, 단원 설계 기반의 모형, 숙련된 교사의 교수 설계 과정 고려, 디지털 형태의 풍부한 자원의 활용, 평가 계획의 강조를 특징으로 한다. 1차 모형은 교육공학자 3인과 초등학교 교사 3인으로부터 모형의 타당성과 현장 적합성을 검토 받아 2차 모형으로 수정되었다. 2차 모형은 초임 초등학교 교사 3인과 5년 경력 이상의 초등교사 3인이 교수설계하는 과정에 적용되었다.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의견은 3차 모형의 개발에 반영되었다. 3차 모형은 초임 초등교사 2인이 평상시 교수설계하는 과정에 적용되었다. 수업 관찰과 교사, 학생 인터뷰를 통해 모형의 개선점을 확인하고 이를 반영하여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에 대한 전문가와 현직 교사들의 검토 결과, 모형의 요소는 2차 모형 개발 후 최종 모형까지 동일하였다. 다만 교수설계를 돕기 위해 제안한 워크시트에 대해 다양화, 간략화에 대한 계속적인 요구가 있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체제적 교수 설계를 위해서는 워크시트의 개발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모형의 개발은 교수설계이론의 발전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설계 활동이 전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기여할 것이다.
    그러나 모형의 검토 과정에 참여한 교사의 수가 많지 않다는 점과 모형의 효과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계속적인 모형의 현장 적용과 개선, 효과 검증의 과정이 요구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교수설계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초등학교 현장의 상황을 반영하여 1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단원 설계와 차시 설계로 구분되며 각각의 설계 활동이 끝난 후 수업을 잘 하는 동료 교사에게 형성 평가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을 교수전략의 핵심으로 제시하였으며 학습목표 및 내용의 분석으로부터 설계를 시작하고 교수자원의 분석이 교수전략의 설계에 선행하는 것으로 현장이 상황을 반영하였다.
    1차 모형은 교육공학 전문가 3명과 초등학교 경력 교사 3명에게 검토 받았으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2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2차 모형은 1차 모형의 용어를 초등교사들이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수정하였으며 각각의 활동이 동시적이고 중첩적으로 일어나는 활동임을 명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단계를 병렬적으로 배치하였다. 현장 적용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설계의 워크시트가 필요함이 제기되어 활동을 도울 수 있도록 워크시트를 개발하였다.
    2차 모형은 다시 신규 초등교사 3명과 경력 교사 3명이 한 단원의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을 통해서 수정되었다. 모형의 단계와 용어는 2차 모형과 동일하며 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워크시트가 교사들이 사용하기에 간편하고 편리해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워크시트를 다양화, 간소화하였다.
    신규 교사 2명이 학교 현장에서 실제로 수업을 준비하는데 활용된 3차 모형은 현장에서의 사용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반영하여 개선되었다. 교사의 활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워크시트의 틀을 변형하였으며 모형의 단계별 활동 내용을 모형에 함께 표현하는 것으로 모형 개발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됨으로써 실제적인 측면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설계 활동을 전문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도록 도움과 안내를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예비 교사들의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준비하는 활동을 안내하여 주게 될 것이다. 또한, 이론적 측면에서는 교수 설계 모형과 관련된 국내 모형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학교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형태의 교수 설계 모형이 많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있다하더라도 미국을 중심으로 개발된 교수 설계 모형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교수 설계 모형은 향후 국내의 각 급 학교 수준의 실제적 조건을 반영한 특정한 교수 설계 모형의 개발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교수 체제 설계, 교수설계, 설계기반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