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대영어 i-umlau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A00436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문안나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고대영어(나아가 현대영어)를 특징짓는 음변화 가운데 하나인 i-umlaut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고대영어 i-umlaut와 관련하여 학자들 사이의 이견을 보이는 다양한 논의 사항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보다 설득력있는 입장을 제안한다. 둘째, 고대영어 i-umlaut가 왜 일어났는지를 음성∙음운론적 관점에서 그 이유를 분석한다. 셋째, 고대영어의 i-umlaut를 다른 언어에서 발생한 i-umlaut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유형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이들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최적성이론의 틀을 사용한다. 또한 초기 최적성이론이라 할 수 있는 소위 Classic OT(Prince & Smolensky 1993, McCarthy & Prince 1995)와 최근 제안되고 Harmonic OT(McCarthy 2009)에서 각각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고대영어 i-umlaut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보다 적합한 이론의 틀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고대영어 i-umlaut 분석을 통하여, 현대영어의 올바른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고대영어의 i-umlaut의 궁극적 원인을 밝힘으로서 고대영어의 음변화가 현대에 존재하는 언어들이 가지는 보편적 특징을 공유하였는지 여부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고대영어 i-umlaut에 작용하는 제약과 그 위계를 제시함으로서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질 나머지 고대영어 음변화에 작용하는 제약과 그 위계 사이의 관계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고대영어 i-umlaut의 분석 결과는 이전의 분석의 틀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전통적 기술, 1970∼1980년대의 규칙에 기반한 분석, Dependency Phonology에 의한 분석―과의 비교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각 분석 틀의 장・단점을 발전・보완시키는데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현대영어의 표면에 나타나는 불규칙성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나아가 영어의 표면형에서 불규칙하게 보이는 여러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영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고대영어 i-umlaut은 비강세음절의 i/j의 영향으로, 선행하는 강세음절에 있는 모음이 후설모음일 때 전설모음화되고, 어근의 모음이 단모음이며 전설모음일 때는 상승화되는 현상이다. 이중모음의 경우 i-umlaut의 영향으로 West-Saxon 방언에서만 전설원순고모음으로 변화하고 나머지 방언에서는 이중모음 그대로 유지되었다. 이제까지의 내용을 간략하게 모형화하면 다음과 같다.

    (1) a. 단순모음
    i <・・・ ü(:) <------------ u(:)
    ↑e(:) <・・・œ(:) <------------ o(:)
    ↑æ(:) <------------------------- a(:)
    (전설모음의 상승화는 단모음의 경우에만 발생)

    b. 이중모음
    e:a, ea, e:o, eo ------> ü(:) (West-Saxon 방언에서만 발생)

    본 연구에서는 (1)에 주어진 자료를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1)에 주어진 음변화 현상의 적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i-umlaut와 상호 작용하는 고대영어 음변화 및 발생 순서, i-umlaut의 예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고대영어 i-umlaut의 음변화의 범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고대영어 i-umlaut는 (1)에서 관찰되듯이 (후설모음의) 전설모음화(fronting)와 비원순모음화(unrounding), 그리고 전설모음의 상승화(raising)로 구성되어있다. 이 세 가지 현상을 하나의 i-umlaut로 볼 것인지, 아니면 어느 부분까지를 i-umlaut로 볼 것인지는 학자마다 다른 입장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느 입장이 보다 타당성 있으며, 고대영어 i-umlaut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밝혀보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1)의 음변화가 왜 일어났는지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음성적 제약과 음운적 제약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이를 최적성이론의 틀 안에서 분석해 본다. 또한 최적성이론의 두 개의 다른 모델―Classic OT(Prince & Smolensky 1993, McCarthy 1995)와 Harmonic OT(McCarthy 2009)―에서 i-umlaut 현상을 분석하고 i-umlaut 현상의 분석에 보다 적합한 모델은 어떤 것인지 밝히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고대영어,i-움라우트,최적성이론,제약
  • 영문키워드
  • i-umlaut,Optimality Theory,constraints,Old English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선사)고대영어시기에 발생했다고 추정되는 i-umlaut를 두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고대영어 i-umlaut는 발생시킨 요인은 무엇이며, 둘째, 이 현상이 최적성 이론의 틀에서 어떻게 분석될 수 있는지 보여 주고자 한다. 어간에 존재하는 모음의 자질이 어미에 존재하는 모음으로 전사되는 대부분의 모음조화와 달리 고대영어 i-umlaut는 비강세음절에 존재하는 접미사 i/j의 자질이 강세음절 어간 모음을 변화시켜 전설모음화 하거나 상승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고대영어 i-umlaut는 인지적으로 어려운 접미사 i/j가 인지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신의 자질을 쉽게 인지될 수 있도록 강세음절의 어간 모음에 구현시킨 현상이라 제안한다. 또한 이 주장을 Walker(2004, 2005)가 제안한 인허 분석을 이용하여 최적성 이론의 틀에서 공식화를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허제약, IDENT-IO(F), 유표제약의 상호 작용 및 국부제약결합은 고대영어 i-umlaut의 패턴을 올바로 포착해 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 방법은 고대영어 i-umlaut에 내재된 음성적, 인지적 원인을 설명해 줌으로서 기존의 규칙에 의한 분석이나, 비인허적 접근방식에 의한 분석 보다 우월하다고 할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s i-umlaut which occurred in the period of pre Old English (OE) in two aspects: what motivates i-umlaut in OE and how the phenomenon can b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OT). Unlike root-controlled vowel harmony, i-umlaut in OE is triggered by the suffixal i or j in the unstressed syllable whereby a stressed root vowel becomes fronted or raised.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i-umlaut in OE is driven by the weak trigger i or j to improve its poor perception: I-umlaut improves the poor perceptibility of the weak trigger by extending its feature―either [-back] or [-low]―onto the vowel in the stressed syllable. This study provides an OT-theoretic analysis utilizing the licensing account to vowel harmony proposed by Walker (2004, 2005). The licensing constraints, IDENT-IO(F) and the locally conjoined constraints are proposed and their interaction correctly captures the pattern of i-umlaut in OE. Also, it is shown that the licensing account proposed in this study is superior to the previous analyses as well as the nonlicensing approaches in that it can provide a perceptual motivation couched in i-umlaut in O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study investigates i-umlaut which occurred in the period of pre Old English (OE) in two aspects: what motivates i-umlaut in OE and how the phenomenon can b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OT). Unlike root-controlled vowel harmony, i-umlaut in OE is triggered by the suffixal i or j in the unstressed syllable whereby a stressed root vowel becomes fronted or raised.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i-umlaut in OE is driven by the weak trigger i or j to improve its poor perception: I-umlaut improves the poor perceptibility of the weak trigger by extending its feature―either [-back] or [-low]―onto the vowel in the stressed syllable. This study provides an OT-theoretic analysis utilizing the licensing account to vowel harmony proposed by Walker (2004, 2005). The licensing constraints, IDENT-IO(F) and the locally conjoined constraints are proposed and their interaction correctly captures the pattern of i-umlaut in OE. Also, it is shown that the licensing account proposed in this study is superior to the previous analyses as well as the nonlicensing approaches in that it can provide a perceptual motivation couched in i-umlaut in OE.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고대영어 i-umlaut의 target 모음은 모두 강세음절의 어간에 위치한다. 반면 trigger는 high front (semi-)vowel로서 비강세음절에 위치한 접미사이다. 강세음절에 위치하거나, 접미사가 아닌 high front glide나 high front vowel은 어간 모음을 umlaut 시키지 않는다 (Campbell 1959, cf. Hogg 1992).
    즉 umlaut의 target은 운율적으로 형태론적으로 잘 인지되는 반면에, trigger는 음성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특징을 보여준다(Fry 1979, Crystal and House 1988, Selkirk 1984, Pulleyblank 1998). 고대영어 i-umlaut의 trigger는 비강세음절에 위치한 접미사로서 운율적으로도 형태론적으로도 인지하기에 불리하다.
    고대영어 i-umlaut의 target vowels과 trigger의 음성적, 형태론적 특징은 어간의 모음의 음가에 동화를 보이는 root-controlled vowel harmony와는 대조적으로 고대영어 i-umlaut는 비강세 음절의 접사에 위치한 모음의 자질이 어간에서 구현되는 패턴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고대영어 i-umlaut는 인지하기 어려운 trigger의 자질을 어간 모음에 구현시킴으로서 인지적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노력이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주장을 공식화하기 위하여 Walker(2004, 2005)가 제안한 Licensing approach를 기반으로 licensing constraints, IDENT-IO(F), markedness constraints과 locally conjoined constraints 및 그들 사이의 제약의 위계를 제안한다.
    전통적 규칙에 기반한 분석과 Dependency Theory에 의한 분석에서는 무엇 때문에 고대영어 i-umlaut가 발생하였는지를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설명력이 떨어지는 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첫째, 고대영어 i-umlaut가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licensing constraints와 markedness constraints 및 faithfulness constraints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쉽게 공식화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제안된 하나의 제약의 위계에 의해 고대영어 i-umlaut의 fronting과 raising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다. 즉 back vowels의 fronting와 front vowels의 raising은 각각의 서로 다른 현상이 아니라 trigger의 자질에 대한 서로 다른 대응 결과로 통합을 가능하게 해 준다.
    수행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대영어 i-umlaut는 고대영어에만 현상이 아니며, 유사한 현상이 언어 보편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즉 고대영어 i-umlaut는 weak trigger에 의해 야기되는 모음조화의 유형에 새로이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사실은 언어 보편적인 제약을 통하여 쉽게 공식화 될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연구결과 활용계획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고대영어의 i-umlaut의 궁극적 원인을 밝힘으로서 고대영어의 음변화가 현대에 존재하는 언어들이 가지는 보편적 특징을 공유하였는지 여부를 밝혀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고대영어 i-umlaut에 작용하는 제약과 그 위계를 제시함으로서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질 나머지 고대영어 음변화에 작용하는 제약과 그 위계 사이의 관계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얻어진 고대영어 i-umlaut의 분석 결과는 이전의 분석의 틀에서 이루어진 연구들과의 비교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각 분석 틀의 장・단점을 발전・보완시키는데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i-umlaut, Old English, weak trigger, licensing constraints, Optimality-theoretic analysis i-움라우트, 고대영어, 인지적 약제동, 인허제약, 최적성이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