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방정부의 웰빙커뮤니티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259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기영화
연구수행기관 숭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Rhonda Phillips(Arizona State Univ.)
이승종(서울대학교)
김남숙(숭실대학교)
김혜정(선문대학교)
서재호(부경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만들어가야 할 지역사회의 미래 대안을 “한국형 웰빙커뮤니티”에 초점을 두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장기연구를 제안하면서 그 1단계 사업으로서 ① 우리나라의 지방정부가 장기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으로서 웰빙커뮤니티가 무엇인가, ②웰빙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지방정부의 웰빙커뮤니티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지표는 무엇인가, 그리고 ③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분야라고 할 수 있는 교육ㆍ문화, 주민복지ㆍ사회적돌봄, 사회안전ㆍ환경 영역에서의 웰빙커뮤니티는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지방정부 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준거로서 ‘한국형 웰빙커뮤니티’의 이론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한계를 보완하는 동시에, 아직까지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연구에서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종합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나아가서 본 연구는 관련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한계를 행정학, 교육학, 지역사회복지학, 인적자원개발학, 사회문화인류학,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의 다양한 국내외 연구자들이 학제적 관점에서 공동연구를 통하여 극복하는 한편, 기존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공공서비스의 할당, 배분, 형평성, 참여 등의 가치적 관점을 종합적으로 접근한다.
    한편 종합적인 관점에서 교육/문화, 복지/사회적 돌봄, 사회안전/복지라는 월빙커뮤니티의 구성요소 전반을 아우르는 포괄적 접근을 추진하여 지역공동체와 공공서비스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이 되는데 의미를 둔다.
  • 기대효과
  • ① 지방정부의 미래상에 대한 비전 제시
    한국사회의 지방정부는 과연 어떤 비전을 갖고 있는가? 지방정부들의 자치시대의 구현을 위한 노력이 제도적으로 구비되어 감에 따라 “웰빙커뮤니티”는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미래상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역사회가 단순한 자치의 단위가 아닌 국가차원의 복합적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행복을 구현하는 기초사회단위로 역할하기 위한 비전으로 추구해야할 “웰빙커뮤니티”이다.
    웰빙커뮤니티는 지방정부의 단위에서 구현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확보하고 있다. 공공서비스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개인적 삶의 주관적 행복과 객관적 행복을 지원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지방정부의 미래상으로 웰빙커뮤니티가 비전을 제시하는 것은 첫째, 사회내의 가용자원이 희소하고 그에 따른 불평등이 존재하는 한, 항상 문제시되는 성질의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차원의 관여가 웰빙커뮤니티 구축을 모델로 할 수 있다. 둘째, 지방자치는 주민의 거주지역에 대한 정체의식을 증폭시키게 될 것인 바, 분권화가 미흡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재정력은 취약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한정된 서비스 배분의 형평성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졌다. 웰빙커뮤니티는 공공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이런 요인들에 민감하기 때문에 미래 지방정부가 구현해야 할 비전인 것이다. 셋째, 선출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은 공공서비스에 대한 주민의 요구를 무시하기 어렵게 되었고 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지방정부들도 지방자치 이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역사회를 웰빙커뮤니티로 구축할 것이 요구될 것이다.

    ② 이론적 기대효과
    첫째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공공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웰빙커뮤니티의 관점에서 균형ㆍ조화시킬 수 있는 통합이론모형의 개발을 통하여 이론적 진전에 기여하는 한편, 기존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공공서비스의 할당측면, 공공서비스배분이 서비스의 목표인 주민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연구범위에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써 기존연구와는 달리 공공서비스의 배분형태, 영향요인, 배분형태에 따른 주민복지의 변화에 이르는 일련의 공공서비스과정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웰빙커뮤니티 관점에서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을 통하여 지방정부간 공공서비스의 산출물을 비교평가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다양한 전공분야와 배경을 가진 국내연구진과 웰빙커뮤니티에 대한 연구경험이 있는 스웨덴과 싱가폴 등의 외국연구진이 참여하여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론적 기여효과가 특히 클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단일사례연구에 국한함으로써 지방정부 내부의 하부구역간 비교분석에 그쳤던 기존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비교사례연구를 통하여 지방정부 내부의 하부구역간 비교분석뿐 아니라, 지방정부간(inter-municipal) 비교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결론의 일반화에 기여할 것이다. 물론 이같은 비교사례연구를 위해서는 보다 장기간의 연구기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셋째, 공공서비스와 지역공동체 연구의 활성화에 대한 기여이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배분에 대하여 보다 포괄적 시각에서 차별화된 접근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지금까지 미흡한 국내의 연구관심의 진작은 물론, 1990년대에 들어와 이론적 답보로 과거에 비하여 다소간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외국의 관련 연구를 재점화시키는 기폭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기여는 최근까지 시장주의의 확산에 따라 공공서비스의 민영화(privatization)에 경도되어온 공공서비스 연구의 균형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③ 정책개선에 대한 기대효과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공동체의 웰빙수준을 진단하고, 웰빙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영역별 특징과 바람직한 커뮤니티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배분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방정부와 지역공동체, 공공서비스의 배분결정을 하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정치인 및 관료들의 행동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지방정부의 핵심적 역할은 공공서비스의 공급을 통하여 주민복지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그러나 어떠한 상태가 주민복지의 향상인지에 대한 것이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어떠할 경우 주민복지가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이 제시되지 않는다면 지방정부이 공공서비스 공급은 지역사회를 변화ㆍ발전시킨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지방정부가 공공서비스 공급을 통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상을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 지방정부와 커뮤니티의 발전, 주민복지(또는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연구들은 지역의 커뮤니티(local community)가 도달해야 할 이념형 또는 목표를 제시하지 않은 채 단순하게 현재의 상태만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 결과 자치시대를 구현하려던 다양한 정책과 정부의 노력은 주민들에게 체감되지 못한 채, 지역간 격차, 계층간 갈등, 가족간 고립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각종 연구,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배분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역할과 사회보장프로그램의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하나의 흐름과 경향을 가지지 않은 채 서로 다른 방향의 단발성 연구로 끝나 후속연구를 유도하지 못하였고,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선도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정부와 지역공동체의 미래상을 ‘웰빙커뮤니티’로 제시하면서 우리나라의 지방정부가 장기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으로서 웰빙커뮤니티가 무엇인지를 국내외의 이론과 사례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웰빙커뮤니티는 살기 좋은 사회의 논의에서 등장한 개념으로서 삶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였다. Wilkinson(1991)은 개인과 가족, 지역사회 혹은 조직의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요구를 인식시키는 복합적인 개념으로 정의하고 경제적, 사회적 구조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측면, 예컨대 삶의 질 혹은 웰빙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을 강조했다. 웰빙커뮤니티는 지역사회의 평가를 위한 측정지표로 지방정부가 지역사회 주민들이 다양한 욕구 해결을 위한 공공서비스 전달체제 과정과 그 결과에 대한 만족까지를 포함하고 있다(Kusel & Fortmann, 1991).
    이러한 웰빙커뮤니티의 개념과 요소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웰빙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지방정부의 웰빙커뮤니티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지표는 무엇인지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이와 함께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분야라고 할 수 있는 교육ㆍ문화, 주민복지ㆍ사회적돌봄, 사회안전ㆍ환경 영역에서의 웰빙커뮤니티는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를 제시하여야 실제 중앙과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개선에 기여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는 특히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연구와 관련된 국내외의 이론적, 방법론적 한계를 학제적 관점에서 극복하는 한편, 기존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지방정부 공공서비스의 가치적인 측면으로서 할당, 배분, 참여, 형평을 연구범위에 포함함으로써 공공서비스 연구에 새로운 전환점이 되는데 의미를 둔다.
    구체적으로, ①본 연구는 정치학, 행정학, 교육학, 지역사회복지학, 인적자원개발학, 사회문화인류학 간 학제적 공동연구에 의하여 수행될 것이다. 이는 대개의 기존 연구가 일정 분야의 학자에 의하여 수행된 것과 차이를 보인다. 이 같은 학제적 접근방법은 공공서비스가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기 때문에 절실하다. ②학제간 접근과 관련하여, 양적접근에 치중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방법의 혼합적 접을 적용함으로써 공공서비스 공급을 통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로서 ‘웰빙커뮤니티’에 대하여 보다 총체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③기존에 제시된 이론모형 간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통합이론모형’을 제시한다. ④공공서비스 배분의 궁극적 목적이 주민복지의 증진임에도 불구하고 공공서비스배분이 주민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지 않은 기존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의 배분이 주민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최초로 연구범위에 포함한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교육, 문화위락, 도로, 청소, 아동청소년보호, 노인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영역을 분석에 포함한다. ⑤연구결과를 외국에 대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연구결과의 적용성을 확장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통계조사, 설문조사 등을 통하여 획득한 분석자료를 회귀분석(OLS, Pooled Regression), 교차분석 등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아울러 심층분석을 위한 공직자 심층면담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기반한 현장참여관찰(ethnography)을 시행한다.
  • 한글키워드
  • 웰빙커뮤니티,주민참여,형평성,할당,배분,주민복지,지방정부,방법론적 다각화,비교사례연구,다수사례연구,환경,사회안전,사회적 돌봄,문화,교육,공공서비스
  • 영문키워드
  • education,equity,allocation,distribution,citizen welfare,public service,community wellbeing,local government,citizen participation,triangulation,comparative case analysis,multiple case study,environment,social safety,social care,cultur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형 커뮤니티웰빙’ 이라는 궁극적인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본연구팀은 ‘한국형 커뮤니티웰빙 구축을 위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를 소형단계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한국형 커뮤니티웰빙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가 중요하기 때문에 양자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한 연구목표가 되었다. ‘한국형 커뮤니티웰빙 구축을 위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연구는 그것이 ①커뮤니티에 관한 창발적 연구라는 점, ②한국형 측정지표를 개발한다는 점 ③국가 간 협동을 통한 커뮤니티웰빙 연구의 종합화를 이끈다는 점 ④다양한 분야와의 결합을 통한 학제 간 융복합연구라는 점에서 우수성이 두드러진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아직까지 개념정립이 되어있지 않은 커뮤니티웰빙의 개념화를 처음으로 시도하여 삶의 질, 행복 등 유사개념과의 구분 외에 웰빙과 커뮤니티웰빙, 주관적 웰빙과 객관적 웰빙을 구분하고 이들 간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커뮤니티웰빙 개념정의를 기반으로 한국사회에 적합한 커뮤니티웰빙 종합지표체계를 개발하여 실제 조사를 시행하였다. 셋째, 커뮤니티웰빙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영역을 구분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넷째,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와 시민거버넌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소형단계 연구결과의 종합적 의의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community wellbeing은 복합적인 개념이다. 둘째, 한 분야의 정책이 커뮤니티웰빙 전반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셋째, 커뮤니티웰빙을 위한 처방은 메가아젠다(mega agenda)로서 단기적 관점에서의 획일적 처방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의 복합적 처방을 지향해야만 한다.
  • 영문
  • At present, most countries over the world generally think that policies designed for developing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are most important. Especially, those countri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develop various kinds of indicators to evaluate efficacy and developmental stage of each society.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is economic development in the modern capitalism. But well-being indicators that only focus on economic development proved something with limitation. The indicators that can show which directions the society would pursue or what is a proper direction for changes are needed. The many of previous indicators fail to reflect on income distribution, quality of life, comprehensive happiness level of a society. With that being said, comprehensive indicators have begun to be developed by som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World Bank, and UN. Also,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have been developed by various countries. The reason the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 is need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comprehensive guidelines by public service sector of local community are needed. Second,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blueprint for community development. Third, it can be used as a detailed vision plan for local communities. The concept of community includes social, economic, polit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as well as physical spaces. The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 should include multi-facet of local communities. Development and an analysis of the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 are useful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form comprehensive frame for implementing polices related with community well-being. The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 provides an opportunity to suggest comprehensive blueprint for local community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political materials. But some of community well-being indicators designed by foreign countries did not fit Korean cultural environments. What local communities need is different from country to country. Also,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systems of local governments. The summary of the preliminary study is that the criteria for measurement of the concept of well-being are four at large: the realm of socio-cultural, politic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oncerning civil areas, the concept of community well-being includes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in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and level of community well-being. Finally, with regard to governmental or public service areas, the concept of community well-being has been examin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커뮤니티웰빙에 대한 국내 최초의 선도적 연구이다. 소형단계 연구에서는 ‘한국형 커뮤니티웰빙 구축을 위한 지방정부 공공서비스’ 라는 제목으로 한국 실정에 맞는 community wellbeing과 그에 관련된 공공서비스 전달체계를 연구하였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까지 개념정립이 되어있지 않은 커뮤니티웰빙의 개념화를 처음으로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삶의 질, 행복 등 유사개념과의 구분 외에 웰빙과 커뮤니티웰빙, 주관적 웰빙과 객관적 웰빙을 구분하고 이들 간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둘째, 커뮤니티웰빙 개념정의를 기반으로 한국사회에 적합한 커뮤니티웰빙 종합지표체계를 개발하여 실제 조사를 시행하였다. 셋째, 커뮤니티웰빙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영역을 구분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였다. 넷째,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와 시민거버넌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는 거버넌스 체제를 통한 참여 자체가 커뮤니티웰빙에 유의미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소형단계 연구결과의 종합적 의의는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community wellbeing은 복합적인 개념이다. 둘째, 한 분야의 정책이 커뮤니티웰빙 전반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셋째, 커뮤니티웰빙을 위한 처방은 메가아젠다(mega agenda)로서 단기적 관점에서의 획일적 처방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의 복합적 처방을 지향해야만 한다. 지방정부의 커뮤니티웰빙 연구팀은 총 26편의 논문과 6편의 저역서를 발표하였으며(연구원별 실적 합산), 연구실적은 총 2390%(논문 1710%, 저역서 680%)로 환산된다. 34개월의 연구기간 동안 평균 6.76명의 연구원이 참여해 1인당 평균 3.54편(354%)의 연구실적을 올렸다. “한국형 커뮤니티웰빙” 이라는 궁극적인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첫걸음인 소형단계 연구과제로 본 연구팀의 “한국형 커뮤니티웰빙 구축을 위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연구는 그것이 ①커뮤니티에 관한 창발적 연구라는 점, ②한국형 측정지표를 개발한다는 점 ③국가 간 협동을 통한 커뮤니티웰빙 연구의 종합화를 이끈다는 점 ④다양한 분야와의 결합을 통한 학제 간 융복합연구라는 점에서 우수성이 두드러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활용계획 가. 커뮤니티웰빙 개념의 심층적 연구 및 일반화 커뮤니티웰빙 개념은 기존연구에서 사용하는 학자와 조직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어 그 개념정의에 대한 합의를 구하려는 국제적 노력이 없어 연구를 행하는데 어려움 뿐 만 아니라, 측정을 위한 지표를 구성하는 데에도 토대연구가 없었던 실정이다. 이로 인해 커뮤니티웰빙에 대한 규범적 정의가 부재하고 커뮤니티웰빙이 국제적 개념으로 일반화되기 위해 심층적인 규범적 접근방법을 통한 개념정의 및 모델링이 요구되고 있어 중형단계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웰빙의 이론적 개념화를 위한 심층적 연구와 개념의 일반화를 위한 연구를 하여 국제적으로 합의를 구하는 개념정의를 하고 국제연구를 통해 확산시키고자 한다. 나.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와 관계성 규명을 통한 표준지표체계의 개발 본 연구팀의 소형단계 연구결과 커뮤니티웰빙 구성요소와 세부요인에 대한 연구는 접근가능한 공공영역 축적데이터를 활용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규범적 차원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중형단계에서 본 연구팀은 커뮤니티웰빙의 구성요소와 그 각각의 하위요인에 대한 규범적 실체를 규명하고 이들 요인간의 관계성을 연구하고 상호관련성을 지표로 전환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기존 커뮤니티 차원의 실질적 시사점 제공하는 연구들은 도시학, 도시행정, 도시개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주로 건축과 맞물리고 굉장히 커뮤니티의 place-based approach로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커뮤니티라는 것은 어떤 지리적 공간만이 아닌 다양한 요인들의 관련성과 하위구성요인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유기체적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중형단계 연구는 커뮤니티웰빙을 총체적 접근하여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웰빙 지표를 개발하고자 국제기구와 외국의 유관지표들을 비교분석한다. 다. 커뮤니티웰빙 지역공동체 실천전략 모색 웰빙, 삶의 질, 행복 연구들은 분석수준이 지역사회, 국가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정책적 시사점을 넘어선 지역공동체의 실천전략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웰빙에 내재된 사회발전과 질적 측면에 대한 요인들을 거시정책의 차원에서 반영하지 못함이 지적된다. 이는 방대하고 실제로 어려운 작업이기도 하지만 국정 혹은 지방정부 과업설계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실현가능하도록 커뮤니티라는 단위로 접근이 간과되는데 원인이 있다. 본 중형과제는 커뮤니티웰빙의 선진지역공동체의 모델화를 통한 지역사회의 실천전략을 개인적-집단적-주관적-객관적 차원의 Beyond GDP 에 대한 통합적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라. 커뮤니티웰빙의 세계적 허브구축 및 빅데이터(big data) 제공 커뮤니티웰빙 연구는 이에 대한 국제적 구심점이 없는 현재까지의 연구실정에 비추어 국제적인 연구거점으로의 포지셔닝이 필요하고 본 연구팀의 커뮤니티웰빙 센터를 세계적인 허브로 자리매김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커뮤니티웰빙 센터는 관련 연구들의 수집 및 자료 축적, 그리고 중형단계의 연구를 통한 각 국가들의 데이터와 커뮤니티웰빙 측정 데이터의 수집 및 보관을 통해 외국의 연구자와 국내 연구자들의 심층적 연구와 비교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련의 과정은 커뮤니티웰빙이 미래사회의 가치와 비젼을 제시하는 아젠다로서 각 국에서 활용되며, 국제수준의 연구와 국제기구의 비교연구 등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되도록 한다.
  • 색인어
  • 커뮤니티웰빙, 지방정부, 커뮤니티웰빙 측정지표, 공공서비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