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L2 읽기전략의 재고: 과업 유형과 전략 측정도구에 따른 전략사용 변이 고찰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A00499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조정순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980년대 이후로 제2언어 교수-학습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어온 주제 가운데 하나가 ‘전략’이고 90년대 중반 이후로는 전반적 학습의 효율성 및 성취도에 있어서 읽기능력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읽기 전략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독해의 성공 혹은 실패에서 전략의 역할의 중요성을 입증하여 왔다.
    L1, 특히 모국어로서의 영어(ENL) 맥락에서 방대한 양의 연구가 이루어진 것과 비교하면 L2 상황에서의 읽기전략 연구는 상대적으로 축적된 연구 성과가 다소 부족한 편이지만 읽기전략 관련 선행 연구들의 상당수가 주로 학습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습 전반에 걸쳐 읽기전략의 절대적 중요성을 짐작할 수 있다. 더욱이 모국어가 아닌 제2언어로 읽고 이해하여 그 이해의 결과를 학습과업에 적용해야 하는 L2 학습자들의 경우 효과적인 읽기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이렇게 L2 독해에서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국외에서는 비교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한국의 EFL 상황에서의 읽기 전략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아서 최근 20여 년간 국내에서 발행된 영어교육 관련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읽기 전략을 직접적으로 탐구한 논문은 독해시험 수험전략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여 10편 안팎에 불과하다. 그러나 성공적이고 효율적인 언어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자율적 학업 운영능력이 현재 제2언어학습 분야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과, 전략, 지식 등 자신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여 활발하게 텍스트의 의미를 구축해가는 능동적인 존재로서의 독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독해이론의 정석을 고려할 때, 한국의 영어교육을 포함한 제2언어 교수-학습 분야에서 읽기 전략에 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ESL/EFL을 포함한 L2 읽기 전략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으나 L2 학습자와 L2 읽기 과정의 정확하고 포괄적인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L2 교수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기 위해 보완되어야 할 문제들을 본격적으로 탐구하여 L2 읽기 이론의 지평 확대와 현장 영어교육에서 읽기 지도 방법론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증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세부적 목표를 설정하였다: (1) 읽기 과업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고, 차이가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차이의 본질과 원인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2) 읽기 전략을 이끌어내는 도구(혹은 방식)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고 차이가 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차이의 본질과 원인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

    본 연구는 제2언어 읽기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아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분야에 대한 실증적 탐색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L2 읽기과정과 독자들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외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습전략의 중요성은 1980년대 이후로 공감대를 형성해 왔고, 그 중에서도 읽기 전략은 학습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매개라는 것에도 대체로 동의가 이루어져왔다. 또한 지금까지 확립된 모국어 및 제2언어 읽기 이론에서는 읽기의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과업 특성의 영향,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 등에 있어서 연구방법의 중요성 역시 누누이 강조되어 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에서 여러 가지 다른 과업을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과업 유형에 따른 전략 사용의 변이 여부와 그 본질을 탐구한 본 연구는 읽기 이론에 공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들로부터 전략사용을 이끌어내는 도구/방법을 다원화할 때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전략 사용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선행 연구자들의 제언을 설계에 반영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좁게는 (L2) 읽기 전략, 넓게는 읽기이론 전반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 영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그간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를 탐구함으로써 한국 영어교육에서 읽기 전략 관련 연구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보다 확장된 연구 영역을 개척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2) 영어교육 현장과의 연계를 통한 사회적 기여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효율적인 교수활동의 핵심요건이며, 영어학습의 다양한 측면 중에서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거의 모든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필수적 역량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학습자들이 영어로 쓰인 글을 읽고 이와 연계된 다양한 과업을 수행할 때 어떻게 텍스트에 접근하여 이해를 극대화하고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는지에 대한 경험적 통찰은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영어 교과서의 집필과 각종 교재의 저작과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교사용 지도서의 집필에서, 특정 유형의 읽기 과업을 제시할 때 교사가 학생들에게 명시적 설명과 선행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영역 등에 대하여 구체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이 영어독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의 유형과 그 활용 패턴, 과업의 유형에 따라 효과적인 전략과 그렇지 않은 전략, 학습자의 이전 경험이나 정의적 요인에 따른 전략 선택 유형 예측 등의 측면에서 교사의 교수활동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읽기-쓰기 통합 과업에서의 전략 사용을 함께 탐구하기 때문에 중등학생들이 대학 진학 후 실질적으로 많이 접하게 될 과업 유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좀 더 높은 단계의 영어 학습을 준비하는 데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영어능력 공인인증 시험이나 대학에서의 배치고사 등 고위험 시험을 기획하고 출제하는 사람들 역시, 읽기를 포함하는 수행기반 평가에서 수험자들이 어떤 과정과 전략을 통해 최종 결과물에 도달하는 지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겸비한 평가도구를 설계함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 문제

    (1) 읽기 과업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전략을 이끌어내는 도구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연구 대상

    한국 대학에서 교양영어 강의를 수강하는 1학년 학생 30명

    3) 연구 도구

    (1) 읽기 자료 (text)
    -학생들이 현실에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될 설명문체의 글을 읽기 자료로 사용
    -동일한 출처로부터 선별한 난이도와 글의 구성방식, 길이가 최대한 유사한 3개의 text
    -난이도 Grade 11-12 (cf. Fry's 1977) 정도의 수준
    -전문가 집단이 아닌 일반 독자를 상대로 쓴 사회문화적 소재의 시사적인 글
    -각 text에 think-aloud를 위한 “cue"를 표기

    (2) 읽기 과업
    (가) 읽고 문제에 답하기 (선택형 문항들: 주제, 세부 사항, 함축적 의미 추론 등의 문제)
    (나) 읽고 요약하기
    (다) 읽고 대응글(review essay 혹은 reaction paper) 쓰기

    (3) Survey for Demographic Information
    (4) 전략 Check List
    (5) Post-task 인터뷰

    4) 자료수집

    (1) Session 1
    - 연구자가 참여 학생 전원이 모인 자리에서 연구 개요를 간략히 설명
    - 참여 학생들이 인적 정보 수집을 위한 survey form과 전략 check list를 작성
    - 연습용 텍스트를 활용한 think-aloud 훈련 및 feedback 제공
    - 개인별 meeting schedule 확인

    (2) Session 2
    - 과업 1 (읽고 물음에 답하기) 수행하며 think-aloud
    - 수행 후 check-list 작성 및 인터뷰

    (3) Session 3
    - 과업 2 (읽고 요약하기) 수행하며 think-aloud
    - 수행 후 check-list 작성 및 인터뷰

    (4) Session 4
    - 과업 3 (읽고 대응글 쓰기) 수행하며 think-aloud
    - 수행 후 check-list 작성 및 인터뷰

    (5) 기타
    -학생들이 스스로 원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국어로 읽기 과업 수행.
    -think-aloud 과정은 고성능 오디오 기기로 녹취
    -think-aloud data collection 방식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
    (a) 과업 수행에 대한 시간제한을 두지 않는다.; (b) 피험자들이 침묵하면 말하도록 독려한다.; (c) 자기의 생각을 해석하려고 하지 말고 그냥 떠오르는 대로 즉각적으로 말할 것을 독려한다.

    5) 자료 분석

    (1) Think-aloud Protocol 전사 및 coding
    (2) Post-task Interview 전사 및 coding
    (3) 전략 Check-list 분석
    (4) Survey 분석
    (5) 읽기 과업 수행 분석
    (6) 종합적 분석
    (가) 과업유형별로 전략사용의 빈도, 유형 등의 특징 비교 분석
    (나) 과업 수행 전 작성한 check-list, 수행 중 얻어진 think-aloud protocol, 수행 후 작성한
    check-list 및 인터뷰에서 기술된 전략들을 상호비교
    (다) 사용한 전략과 실제 과업 수행의 관계 분석
    (라) Survey에 나타난 학습자 특성과 전략 사용 간에 일정한 관계 pattern이 있는지 분석
  • 한글키워드
  • 읽기과업,제2언어 읽기,읽기전략,전략추출,자기보고,학습전략,제2언어학습
  • 영문키워드
  • strategy elicitation,think-aloud,self-report,learning strategy,reading strategy,L2 learning,L2 reading,reading task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970년대 이후로 제2언어학습에서 중요한 학습자변인으로서 관심을 받기 시작한 전략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로 매우 활발해졌고 보다 구체적으로 읽기 전략에 대한 연구도 함께 시작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연구의 방법과 범위에 있어서 아직 보완되어야 할 것들이 적지 않다. 가령 읽기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도구들이 한정적이었고 전략도출에 사용된 읽기 과업의 유형 역시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읽기의 목적과 과업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전략이 달라진다는 읽기의 핵심적 특성을 충분히 담아내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들에서 충분히 시도되지 않았던 몇 가지 영역에 중점을 두어 제2언어 읽기 전략에 관한 이해를 확장하고 실질적으로 한국의 영어학습자 및 교육자들에게 경험적 연구에 기반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읽기전략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다변화하고 전략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읽기 과업의 유형을 다양화하였으며 전략 추출의 시점도 수행 전, 수행 중, 수행 후로 다각화함으로써 보다 적확하고 포괄적으로 제2언어 독자들의 전략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바는 읽기 과업의 유형과 전략 추출에 사용되는 도구에 따라 독자들이 사용하는 읽기전략이 영향을 받는지,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개의 다른 읽기 과업을 수행하게 하고 과업 수행 전과 과업 수행 중, 그리고 과업을 수행한 후 각각 읽기 전략의 사용(혹은 자신의 읽기 전략 사용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략 사용 측정을 위해 전략 목록과 think-aloud,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수집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전략 사용 실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모든 verbal protocol은 녹음 및 전사되었으며 개개의 전략으로 code화하였고 과업유형과 전략 도출 시점에 따른 전략 사용 pattern 상의 차이를 검토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각 개인에 따라, 각각의 텍스트 자체의 특성에 따라 추가적으로 실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제2언어 독자들의 읽기 전략 전반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Despite the general consensus on the role of reading strategy in L2 learning, not more than 10 studies that directly addressed reading strategies have been published in the major academic journals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for the last two decades. Given this, more vigorous studies of reading strategy in the context of Korean EFL seem to be required mainly for two reasons: Most recent reading theories view the reader as an active being who constructs textual meaning exerting/employing every source and resources available, from various type of prior knowledge to strategies at various levels; These days the learner's ability to manage his/her own learning, i.e., learner autonomy, is considered as a major component that works for successful learning. Another motivation for the current study comes from the realization that there are still areas to be further explored for more comprehensive and precise understanding of L2 readers and of exactly how strategy use contributes to L2 reading. As Brantmeier(2002) appropriately pointed out, previous studies in L2 reading strategies diverged in participants, types of research task, and reading materials, making it difficult to draw generalizations about the role of strategy use in L2 reading.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some of the topics not adequately addressed in the previous studies of L2 reading strategy, such as the possible variation in the collected data as a function of type of task or elicitation device.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motivated by the need for more finely tuned research in L2 reading strategy, the present study po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s there difference in strategy use depending on the type of reading task If so, what is the nature of the difference ; Is there difference in strategy use depending on the type of device eliciting strategy If so, what is the nature of the difference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posed, 28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Seoul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research. They filled out a reading strategy inventory specially designed for this study, completed two reading tasks in two separate sessions, and were interviewed. For Task 1, they read a given text, doing think-aloud, and marked on a reading strategy check-list, followed by an interview; For Task 2, writing a summary of the text was added to the procedures in Task 1. Their verbal protocols were all recorded using a high-quality voice recorder, transcribed verbatim, and then coded as strategies. The focus of data analysis was on examining whether th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strategy use as a function of task type, or depending on the time of reporting their strategy use.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L2 reading processes and also to more effective L2 reading instru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970년대 이후로 제2언어학습에서 중요한 학습자변인으로서 관심을 받기 시작한 전략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로 매우 활발해졌고 보다 구체적으로 읽기 전략에 대한 연구도 함께 시작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연구의 방법과 범위에 있어서 아직 보완되어야 할 것들이 적지 않다. 가령 읽기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도구들이 한정적이었고 전략도출에 사용된 읽기 과업의 유형 역시 매우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읽기의 목적과 과업의 유형에 따라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전략이 달라진다는 읽기의 핵심적 특성을 충분히 담아내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이전의 연구들에서 충분히 시도되지 않았던 몇 가지 영역에 중점을 두어 제2언어 읽기 전략에 관한 이해를 확장하고 실질적으로 한국의 영어학습자 및 교육자들에게 경험적 연구에 기반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읽기전략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다변화하고 전략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읽기 과업의 유형을 다양화하였으며 전략 추출의 시점도 수행 전 및 후로 다각화함으로써 보다 적확하고 포괄적으로 제2언어 독자들의 전략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

    본 연구는 제2언어 읽기 전략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다루지 않았거나 유사한 문제를 다루었다 하더라도 충분한 연구결과가 축적되지 않아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분야에 대한 실증적 탐색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제2언어 읽기과정과 제2언어 독자들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외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습자의 의식적 노력이나 교사의 적극적 개입에 의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유력한 영역으로서 학습전략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은 이미 1980년대 이후로 공감대를 형성해 왔고, 학습전략 가운데서도 읽기 전략은 학습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핵심적인 매개체라는 것도 대체로 동의가 이루어지는 사실이라 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확립된 모국어 및 제2언어 읽기이론에서는 읽기의 과정 및 결과에 미치는 과업 특성의 영향을 인정해왔고, 연구결과의 해석과 결론, 일반화 가능성 등에 있어서 연구에 사용된 도구(자료 수집 도구 및 수집 방식)를 포함하는 방법론의 중요성 역시 누누이 강조되어 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읽기 전략에 관한 연구에서 한 가지 과업을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과업을 이용하여 과업 유형에 따른 전략 사용의 변이 여부와 그 본질을 탐구한 본 연구는 관련 분야의 이론적 발전에 공헌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들로부터 그들이 사용한 전략을 이끌어내는 방법을 다원화할 때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전략 사용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선행 연구자들의 제언을 연구 설계에 반영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미비했던 부분을 보완하고 기존 연구 성과들과의 비교를 통해 좁게는 (L2) 읽기 전략, 넓게는 읽기 이론 전반의 외연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영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그간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주제를 탐구하기 때문에 1990년대 후반 이후로 간헐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읽기 전략 연구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보다 확장된 연구 영역을 개척하려는 시도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2) 영어교육과의 연계 활용을 통한 현실 사회적 기여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효율적인 교수활동의 핵심적 요건이라 할 것이다. 또한 영어로 쓰인 글을 읽고 정확히 이해하는 능력은 거의 모든 영어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필수적 역량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학습자들이 영어로 쓰인 글을 읽으며 이와 연계된 다양한 과업을 수행할 때 과연 어떻게 텍스트에 접근하여 자신의 이해를 극대화하고 자신이 직면한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면서 과업을 완수해 나가는지에 대한 경험적 이해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산이 될 것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영어 교과서의 집필과 각종 교재의 저작과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교사용 지도서의 집필에서 특정 유형의 읽기 과업을 교수-학습활동으로 제시할 때, 교사가 학생들에게 명시적 설명과 적절한 선행 훈련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영역 등에 대하여 구체적 정보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현장 영어 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본 연구의 결과는 학습자들이 영어독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략의 유형과 그 활용 패턴, 과업의 유형에 따라 효과적인 전략과 그렇지 않은 전략, 학습자의 이전 경험이나 정의적 요인에 따른 전략 선택 유형 예측 등의 측면에서 교사의 교수활동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영어로 쓰인 글을 읽고 요약하기나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기술하는 등의 읽기-쓰기 통합 과업에서의 전략 사용을 함께 탐구하기 때문에 중등학생들이 대학 진학 후 실질적으로 많이 접하게 될 과업 유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 좀 더 높은 단계의 영어 학습을 준비하는 데 간접적으로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영어능력 공인인증 시험이나 대학에서의 배치고사 등 고위험 시험을 기획하고 출제하는 사람들 역시, 읽기를 포함하는 수행기반 평가에서 수험자들이 어떤 과정과 전략을 통해 최종 결과물에 도달하는지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겸비한 평가도구를 설계함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제2언어학습, 제2언어 읽기, 읽기전략, 전략 목록, think-aloud, 인터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