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소통과 융합: 한국어 문식성의 발달 및 장애 (Korean literacy development and impair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299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증열
연구수행기관 경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영숙(Florida State University)
이광오(영남대학교)
박순길(남부대학교)
박혜원(울산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며 우수한 문자로 인정되고 있다(Defrancis, 1989; Coulmas, 2003). 특히 한글은 알파벳 문자(예, 영어)의 특성과 표어문자(예, 중국어)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인과 한국아동의 한글 정보처리 및 문식성(literacy: 읽기/쓰기)에 관한 연구는 최근에 활발하게 되고 있는 언어간 비교연구 혹은 문화간 비교연구에서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예, Zigler & Goswami, 2005). 그러나 한국어 문식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국내외의 연구자가 비교적 적고 국내에서 적절한 관심을 받지 못하는 현실은 한국어/한글 연구에 대한 높은 국제적 관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란 말처럼, 본 연구사업에서는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한글을 읽고 쓰는 학습과정 대한 학술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한글/한국어 연구를 세계적인 수준의 사회과학 분야로 집중적으로 키우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10년 동안 종단 연구를 시작하여 한글의 문식성 발달에 관여하는 정신과정을 밝혀보고, 문식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지각적 및 언어적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다른 문자(예, 영어 와 중국어)의 영향변인과 어떻게 같은 지 혹은 다른 지를 언어심리학적 관점에서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한글 읽기 습득 모형과 보편적인 읽기 모형(예, Coltheart, Brent, Paul, & Micheal, 1993; Zhou & Marslen-Wilson, 1994; Zigler & Goswamy)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환경이 열악한 소외된 지역(농어촌)의 아동들, 특정한 인지적 능력에서 결손을 보이는 읽기/쓰기/학습 장애 아동들, 또한 이중언어 및 이중문자 사용자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종단연구를 실시하여, 이들의 한국어 문식성 발달과정과 영향 변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이들의 읽기, 쓰기, 및 학습 부진 혹은 장애를 조기에 탐지하고, 예방하고, 중재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북한의 탈북자 및 연변의 조선족을 대상으로 남북한의 언어 및 문자의 사용을 비교하는 언어심리학적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특히 남북한 맞춤법이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 남북한 언어 및 문자의 통일에 초석이 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한글은 알파벳-음절 문자(alphabetic-syllabary)로 언어간 비교연구 영역에서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한국 아동들의 한글 읽기/쓰기 과정과 읽기 장애의 결손유형이 다른 언어(특히 영어와 중국어)와는 어떤 점에서 같은 지 혹은 다른 지에 대하여 밝혀줄 것이며,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구결과는 이중언어 혹은 이중문식성(biliteracy) 연구에서 중요한 언어간 전이(transfer)에 대한 학문적으로 중요한 자료를 제시할 것이다. 따라서 여러 언어와 문자의 읽기에서 나타나는 공통성(universality) 혹은 특수성(speciality)에 관해 중요한 학문적 기초를 제시하여 보편적이고 새로운 읽기 과학의 모형(New Universal Science of Reading)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중/대형 사업에서는 해외 한인 아동, 탈북자 및 북한 아동의 언어 및 문식성 발달과 영향요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국내외 한민족 아동의 문식성 발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여 국내외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과제들을 표준화하여 후속 연구의 수준을 높이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용적이어서 사회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첫째, 읽기/쓰기 및 학습 부진과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장애 아동과 부모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줄여줄 뿐 아니라 국력의 소모를 줄여주게 될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독서 증진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중/대형 사업에서 재외동포에 대한 한글 읽기/쓰기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며, 이는 재외 동포에 대한 관리 및 교육 정책 입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변 출신 이주자 및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글/한국어 문식성의 연구는 남북한 주민의 문식성을 평가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남북한의 언어 이질성을 극복하는 방안을 찾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장래에 남북한 통일이 이루어졌을 때 남북한의 신속한 언어적 통일을 위해서도 기여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한글을 통한 우리 민족의 “소통”과 “융합”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사업의 1단계는 크게 다섯 가지 연구를 포함한다.

    1. 한국 중산층의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10년 동안 종단적으로 한글, 영어, 한자의 읽기/쓰기, 인지-언어적, 지각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들의 발달과정을 밝혀보고, 읽기/쓰기에 관여하는 영향변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한다.

    2. 교육환경이 열악한 소외된 지역(농어촌)의 유치원 아동을 대상으로 3년 이상 종단연구를 실시하여, 한글 및 영어 읽기/쓰기와 인지적 능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일반 아동들과 비교하여, 열악한 환경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문식성 부진 및 장애를 예방하고 및 중재하는 프로그램을 마련하고자 한다.

    3. 이중언어, 이중 문식성을 습득하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문식성 연구를 3년 이상 종단적으로 실시하여, 이들의 발달 과정과 수준을 이해하고 일반아동과 비교한다.

    4. 읽기, 쓰기 등 학습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3년 동안 종단 연구하여, 장애 아동들의 인지적, 정의적 및 학업적 특성을 밝히고 특성들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5. 북한의 탈북자 및 연변의 조선족을 대상으로 남북한 맞춤법이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보고, 향후 남북한의 맞춤법을 개선해나가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한글,읽기,남북한 맞춤법,학습장애,쓰기 장애,읽기 장애,다문화가정,이중문식성,이중언어,농어촌 아동,형태소인식,북한인의 문식성,음운인식,문식성 장애,문식성 발달,쓰기
  • 영문키워드
  • writiting,literacy development,morphological awareness,children in impoverished environmentm bilingual,phonological awareness,literacy impairment,biliteracy,reading disability,reading,Hangul,literacy in North Korean people,orthographical rules in South and North Korea,orthographical rules in South and North Korea,learning disability,writing disability,multi culture famil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처럼 한글의 연구가 가장 세계적인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본 소형 연구단에서는 한글 읽기에 관한 국제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여 논문을 발표하고 전문가를 양성하여 학문적으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한글읽기과학 연구소 (http://www.krihrs.com)를 운영하였고, 여러 대상(읽기부진, 다문화가정 등)을 연구하여 한국어 및 한글 학습을 실제적으로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팀에서는 크게 다섯 개의 주제(연구 1-5)로 연구하였다. 첫째, 한국어의 문식성 발달에 관여하는 정신과정을 밝혀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 언어적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다른 언어 및 문자의 학습 및 처리과정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였다(연구 1: 언어심리학적 10년 종단 연구). 둘째, 교육환경이 열악한 소외된 지역(농어촌)의 아동들(연구 2: 소외된 지역(농어촌) 아동의 5년 종단연구), 이중언어 및 이중문자 사용자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연구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구), 또한 특정한 인지-언어적 능력에서 결손을 보이는 문식성 및 학습 장애 아동들(연구 4: 문식성 장애의 연구)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문식성 발달 과정과 영향변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한국어 문식성 발달과 장애의 현실을 파악하고, 실제적으로 이들의 한국어와 한글 학습 그리고 전반적인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셋째, 한국인의 문식성과 관련하여 남한의 성인 및 연변의 조선족(북한 주민을 직접 조사할 수 없었으므로)를 대상으로 맞춤법을 조사하였다(연구 5: 남북한 성인의 숙달된 문식력의 구조와 과정). 연구 결과는, 남북한 주민의 문식 능력을 비교하고, 향후 남북한의 맞춤법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서는 남북한의 언어 이질성을 극복하는 방안을 찾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위 연구의 결과들은 12편의 국내 학술지 논문에 발표되었으며, 4편의 국제 학술지 (SSCI급) 논문으로 발표되었으며, 3권의 저서로 발표되었다.
  • 영문
  • “The most traditional ones would be the most international.” Our research team studies about Korean Hangul, which is the most traditional and the most international one in Korea. Specifically, Korean Hangul literacy development and impairment were examined among diverse participants with diverse backgrounds. Our research team also builts a website (http://www.krihrs.com) for online institution of Hangul reading science to help people in need such as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an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ive different research topics (Research Topics 1-5) were investigated. First, we explored literacy development in Korean Hangul among Korean children, found out important cognitive factors that affect Hangul literacy development, and compared Hangul acquisition processes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scripts such as English and Chinese (Research Topic 1: Psycholinguistic study longitudinally for 10 years). Second, we explored literacy impairment in children from inferior backgrounds such as poor rural community (Research Topic 2: Five-year longitudinal study of rural childr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Research Topic 3: Literacy skills among children and adul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in children with reading and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Topic 4: Reading and learning impairment). Literacy impairments of these participants were compared with reading of average readers. We will try to develop intervention studies and programs for improve reading skills for the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Third, South and North Korea are different in the use of some Hangul spelling and orthographic rules. Our research team tried to test and compare the use of several different Hangul orthographic rules in adults in South and North Korea (Research Topic 5: Skilled literacy among adults in South and North Korea). Korean-Chinese college students in Yanbian China were tested for the use of North Korean orthography. Our studies on the comparisons of different orthographic rules in two Koreas would suggest better rules, which would ultimately help to prepare a draft for unified spelling in both Koreas and for linguistic unification in Korea. The above studies were published in 12 articles in Korean journals, 4 articles in English SSCI journals, 1 book chapter, and 2 boo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라는 말처럼 한글의 연구가 가장 세계적인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본 소형 연구단에서는 한글 읽기에 관한 국제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여 논문을 발표하고 전문가를 양성하여 학문적으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한글읽기과학 연구소 (http://www.krihrs.com)를 운영하였고, 여러 대상(읽기부진, 다문화가정 등)을 연구하여 한국어 및 한글 학습을 실제적으로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팀에서는 크게 다섯 개의 주제(연구 1-5)로 연구하였다. 첫째, 한국어의 문식성 발달에 관여하는 정신과정을 밝혀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 언어적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다른 언어 및 문자의 학습 및 처리과정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였다(연구 1: 언어심리학적 10년 종단 연구). 2010년에 도시와 농촌의 아동 120명씩을 선정하여 3년째 종단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국내 학진 등재지와 저서내의 논문 각 1편씩 출간되었고 국제학술회의에 5편 발표되었으며 3편이 SSCI급 학술지에 투고하고자 준비하고 있다. 둘째, 교육환경이 열악한 소외된 지역(농어촌)의 아동들(연구 2: 소외된 지역(농어촌) 아동의 5년 종단연구), 이중언어 및 이중문자 사용자인 다문화가정의 아동들(연구 3: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구), 또한 특정한 인지-언어적 능력에서 결손을 보이는 문식성 및 학습 장애 아동들(연구 4: 문식성 장애의 연구)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문식성 발달 과정과 영향변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한국어 문식성 발달과 장애의 현실을 파악하고, 실제적으로 이들의 한국어와 한글 학습 그리고 전반적인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소외된 지역인 농촌 아동의 연구 1편, 저소득층과 다문화가정의 연구 3편, 저서 2편, 문식성 및 학습 부진에 관한 SSCI급 학술지 논문이 3편, 국내 학술지(등재지) 논문 5편이 출간되었다. 셋째, 한국인의 문식성과 관련하여 남한의 성인 및 연변의 조선족(북한 주민을 직접 조사할 수 없었으므로)를 대상으로 맞춤법 사용을 조사하였다(연구 5: 남북한 성인의 숙달된 문식력의 구조와 과정). 연구 결과는, 남북한 주민의 문식 능력을 비교하고, 향후 남북한의 맞춤법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서는 남북한의 언어 이질성을 극복하는 방안을 찾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논문이 3편 출판되었고 2편은 현재 심사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본 연구팀에서 수행하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발달에 관한 연구는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지원 정책 및 교육과학부의 다문화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정책에 활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에는 어머니의 어휘력이 큰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발달에 인지능력의 증진 뿐 아니라 어머니의 한국어 사용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다문화 가정 아동은 비교적 한글에 대한 노출이 낮다는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을 위해서 유치원 시기부터 독서교육을 통한 특별한 관리 및 교육을 강화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정책적인 자문을 하자면, 다문화 여성과 아동에 관해서 이민자 정책으로 접근하여 정착과 적응을 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 다문화 국가에 대한 이해 교육, 4-5세 유아의 한글에 대한 노출이 일반 아동에 비해 아주 낮으므로 독서 교육 등 특별한 관리 및 교육, 바우처 사업 도입(각 가정을 방문하여 자녀양육과 교육을 지도하고 상담하는 서비스), 다문화여성을 위한 학력 신장 방안, 경력 개발 프로그램 지원 등이 있다. 궁극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와 문식성 발달의 현상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은 이들을 위한 교육정책 입안에 도움이 될 것이다. 2. 읽기 장애 아동에 관한 본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문식성 장애의 조기 진단과 중재를 제안한다. 이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교육과정 연계 기초학력 확보 및 학습결손 치유, 예방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기초 및 기본 학습 부진아동의 학력 신장에 관한 정책적 지원을 도울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이 선진사회가 됨으로서 개인의 인지적 결손 및 장애를 조기에 탐지하고 예방하고 중재하는 프로그램을 국가적으로 실시해야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 등의 선진 국가에서는 아동이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시점에 이들이 학업에 기본적인 인지능력(예, 음운인식 명명속도 등)이 있는지를 개별적으로 검사한다고 한다. 읽기와 학습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결손 유형을 조기에 진단하고 중재하는 것은 개인(아동과 부모)의 고통을 덜어줄 뿐 아니라 막대한 국력의 소모를 줄여준다. 3. 본 연구에서는 연변 지역과 남한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글/한국어 사용 및 문식성을 비교하여, 남북한 표기법의 인지심리학적 분석을 하며 궁극적으로 남북한 맞춤법의 합리적 통일방안의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남북한 주민의 문식성을 평가하고 향후 남북한의 맞춤법을 개선해나가는 데에 기여할 것이며, 장래에 남북한 통일이 이루어졌을 때 남북한의 신속한 언어적 통일을 위해서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남북한 어휘의 통일 및 교육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4.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한글읽기 발달에서 한글을 가장 잘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며 한글 학습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 무엇인지를 다룬다. 결과를 간단히 언급하면, 한글 읽기에서는 받침 없는 민글자를 먼저 학습하고 난 뒤에 받침을 학습하면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한자어가 많은 한국어 독해에는 형태소(의미의 기본 단위) 인식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런 결과는 한국에 있는 아동 및 성인에게 적용될 뿐 아니라 외국에서 한글과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에게도 적용이 된다. 한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효율적인 교수-학습법을 위한 교재 및 교수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준다고 볼 수 있다. 즉, 본 연구결과는 한국학 중앙연구원에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 및 해외 한국학 연구에 이론적 기초 및 연구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5. 다른 국가에 비해서 한국인의 국어 문장 이해력은 비교적 낮다는 결과가 있다. 특히 공공기관의 행정 용어, 법률용어 및 전문용어는 매우 난해하며 한자어가 많고, 일반적으로 국민들이 사용하는 일상적 용어와는 매우 달라서 이해가 어렵다. 본 연구팀에서는 한국 성인의 국어 독서 능력과 독서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추후의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서식, 문서에서 국어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국민의 문식 능력을 정확히 파악하여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 표현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는 전문 용어의 표준화 및 대국민 소통지원을 위한 정책과 직결된다고 볼 수 있다. 즉 공공기관 언어 품질향상 지원 정책 및 법제처의 법률용어 정리 및 간소화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6. 한국인의 국어 이해력 및 독해력이 낮은 것은 위급 상황에서 극히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소방방재청의 재난 심리 지원 및 매뉴얼 보급 정책에 본 연구팀의 문식성 연구가 기여할 것이다. 국민의 문식 능력을 바탕으로 위기 상황에서도 이해 가능하고 실행 가능한 언어 지시문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한글, 읽기 과학, 문식성(리터러시), 읽기 발달, 읽기 장애, 읽기 과정,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인지 언어적 변인, 음운 인식, 형태소 인식, 성인의 읽기, 독서, 남북한 맞춤법, 남북한 언어 사용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