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경제사회주체들의 생태적 공생과 진화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105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한재민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공동연구원 현황 김혜영(숙명여자대학교)
이재남(고려대학교)
이홍(광운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최근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의 문제들은 개인 또는 다양한 사회주체 구성원들이 서로 연관되어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그 피해의 정도가 상당히 크며, 이러한 문제는 이를 발생시킨 개별 개인이나 일부 조직개체의 수준에서 끝나지 않고, 정부나 국가차원에서의 막대한 사회적 비용 및 시간과 재생, 복구 등의 노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음
    ● 이러한 사회현상을 통해서 개별 개체는 혼자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개체들과의 역할분담을 통해 상호 유기적으로 통합된 시스템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경제사회 환경이 복잡해질수록 개체간의 경계가 무너지는 경우가 많고, 모든 구성요소들이 보다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상호작용하는 요소간의 연결이 강조되고 있는데 반해,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는 이론적인 틀은 부재한 실정임
    ● 합리성이나 통제가능성 등의 물리적 도구만으로 사회개체를 바라보고 사회현상을 단편적으로 해석하려고 했던 기존의 논리를 넘어서, 더 많은 사회구성원(개인 및 조직)에게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과학적 접근방법이 필요함. 즉, ‘개체 중심적’, ‘독립적’, ‘최적의 효율성’, ‘결과에 대한 강조’에서 벗어나 넓고, 높은 차원에서 접근하여 해석해보는 총체적 노력이 필요해짐
    ● 본 연구는 생태적 시각을 사회과학에 적용시켜 보기 위한 전반적인 기반이론작업을 수행할 것이며, 이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연구이슈를 한국경제사회 주체들에 실제 적용시켜 경제사회생태계를 모형화하고자 함
    ● 아직까지 생태적 접근과 관련된 중요한 이슈들에 대해서 명확한 정의, 범위획정, 생태계 구성원의 역할 및 역량, 개체들 간의 관계유형, 전체 건전성 및 측정의 실증적 지표, 생태계 전반의 최적화요소 등의 생태적 관점의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이론 및 연구방법론이 부재하므로, 이론적 기반의 구축을 통해 새로운 융합학문의 기초를 세울 필요가 있음
    ● 경제사회생태계에 적합한 이론적 틀을 개발하여, 개별주체 관점, 개체군 관점, 생태계전체 관점에서의 주요이슈와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 생태계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응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학문 분야 간, 대학 간, 기업 또는 공공기관 연구소와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기반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추후 다양한 생태학적, 사회과학적 접근 이외에도 다양한 학제 간 융합·협력 연구의 가능성을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연구 과정에서의 산출물은 산업체 및 대학교육과정에 세미나, 특강 및 기초커리큘럼 등으로 반영되어, 사회 및 조직인력 양성 및 사회적, 정책적 지원시스템의 기반으로 구축될 수 있음

    ● 경제사회생태계의 이론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분야 학제간연구가 필수적이며, 사회과학적 특성상 현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분야임. 연구초기단계에 구축된 핵심연구진은 경영분석, 정보기술 및 전략, 인사 및 조직, 일반사회 등에 전문성을 갖춘 연구진으로, 초기 단계부터 경제사회의 실무전문가들을 연구협력의 주요 축으로 구성하여 경제사회현상 전반에 대한 현실적 이해를 통한 경제사회현황의 파악에 충실할 예정임
    ● 소형단계의 연구수행을 위해, 경제사회 관련 국내정책연구기관이나 경제사회의 대표구성주체인 기업 또는 공공기관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의 공공성 및 현실성 강화에 주력할 예정임
    ● 단계별로 해외유수 대학의 연구팀이나 연구소 등의 국제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연구의 확대를 도모할 예정으로, 해당 분야에서 지식 및 연구를 축적한 유수기관과의 협력추진을 위해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있음
    ● 연구의 확대추진에 의해 이론의 기초체계가 확립되면, 중대형연구단계에서는 해당지식을 일반지식인 또는 일반실무자 등에게 공유하여 일반인들 스스로 관련지식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주어, 관련지식의 폭을 넓히고, 널리 확산시킬 수 있는 지식공유플랫폼을 구축 및 운영할 예정임
    ● 연구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연구대상이 되는 경제사회조직(기업 또는 정책기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의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정책반영을 위한 지식공유를 추진할 계획임
    ● 단계별로 유관분야 학술연구진과 실무전문가들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학제적인 부분의 완결성을 높이는 동시에 실무적 유용성을 추구하며, 연구를 확대시킬 계획임
    ● 연구결과물은 학술지개제 및 국내·외 학술회의 발표를 통해 공유될 예정임
    ● 연구결과가 학문적 신뢰성과 외적타당성, 일반화 등의 가능성을 갖추게 되면, 각 분야 전문가, 일반지식인 및 일반실무자들에게도 지식가치를 공유함으로써, 연구결과의 확산 및 보완을 도모할 계획임
  • 기대효과
  • ●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사회현상을 재해석하게 될 경우 추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학술적, 실무적 가치 등을 발견하고 검증하고자 하며, 이론에만 머무를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실 사회에 대한 관찰과 전문가, 실무자 등의 의견을 반영한 실제적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현상적 접근을 시도하며, 연구결과의 환류를 통해 또 다시 정책 및 사회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도구를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연구임
    ● 생태적 공생과 진화의 연구의제 하에서의 기초이론수립을 위한 단계별 연구결과는 한국경제사회의 주요구성원들 스스로가 생태계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며,구성원들 스스로가 생태계의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음.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경제사회생태계의 개별주체들이 스스로 생태적 생존역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함
    ● 개별주체의 독립적 생존역량뿐만 아니라, 개체군 및 생태계 관점에서의 공적책무를 다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전반적 한국경제사회의 경쟁력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됨
    ● 생태계 지식네트워크의 확산을 통하여, 실제 조직들에게 전략적 아이디어를 확산 및 공유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공적책무를 수행하는 관련공공기관에 사회, 경제사회에 대한 정책적 지침 및 지원 사업의 추진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1) 경제사회분석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및 통합적 분석기반 마련
    ● 기존의 사회학적, 경제학적, 경영학적인 시각을 넘어서, 생태적 해석방법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장점을 통해 기존 사회학적 시각을 보다 유연하게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미래사회적 연구시각에 대한 완결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임
    ● 생태적 접근방법의 장점을 이용한 사회개체 및 개체 간 관계, 개체집단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발현문제에 대한 근본적 원인규명 등의 거시적이며 통합적인 사회분석 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사회학적, 경제학적 효과성과 경쟁에 집중한 기존 이론에서부터 생태학적 시각이 필요한 이유와 사회개체 공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위한 기초연구가 될 것임
    ● 연구결과를 국내저널 및 해외학술지에 게재함으로써 생태적 측면에서의 사회학의 재이해의 근거이론 및 접근방법의 기초를 제시할 수 있으며, 국내학회 및 국제학회에서의 발표를 통해, 생태적 접근방법의 사회학적 가치에 대해 널리 공유할 수 있을 것임. 연구의 결과가 학문적 가치를 배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새로운 학문 분야 및 새로운 이론체계의 정립을 시도 할 수 있음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
    1) 경제사회생태계의 경쟁력을 위한 표준화된 분석방법 및 지식의 공유
    ● 생태계 분석을 통한 산업별 표준화된 분석과 데이터베이스개발을 통한 학술, 산업, 정책지원 등 다목적 정보제공 및 타 분야로의 지식확산을 고려 가능하며, 다양한 지식과 정보의 생태계 상하간의 공유와 전파를 통한 공진화 가능
    ● 연구에서 구체적인 데이터를 얻은 개체군에 개발 이론 및 방법론 등을 적용하여 시범적인 개선활동과 사업이 가능하며, 범사회적인 측면에서의 특정 경제사회주체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보다는 균형에 의한 생태계공유의 인식형성이 가능하며, 경제사회를 구성하는 개체들 스스로가 생태적 공존의 이념 하에서의 지속가능한 실천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보급할 수 있음

    2) 한국경제사회생태계의 전반적 건전성향상을 위한 정책가이드 마련
    ●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 공공기관 및 산업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의 건전한 생태계 형성을 위한 긍정적 효과 제공할 수 있으며, 생태계를 지원하기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및 정보시스템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음
    ● 경제사회생태계에 속한 사회적 참여자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생태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거나, 생태계형성의 기반이 되는 개체가 갖는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찾아, 실질적인 정책추진에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음

    [연구결과의 교육연계 활용방안]
    1) 대학원 교과목개설 및 전문가과정의 도입을 통한 차세대 사회과학자 육성
    ● 연구결과 바탕의 생태계적 접근방법에 대한 새로운 학습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으며,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연구결과 및 방법론을 바탕으로 대학원교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전문지식의 습득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2) 경제사회생태계 연구센터 발족 및 국내외 선진인력 육성
    ● 핵심연구원 및 협력연구진 등을 중심으로 연구센터를 출연시켜, 연구 자료의 축적, 연구결과의 체계 확립, 연구논리의 저변확대, 연구수행의 지속성, 연구지식의 보존성 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
  • 연구요약
  • ● ‘경제사회주체들의 생태적 공생과 진화‘를 이론적으로 설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경제사회생태계의 건전성을 포함하는 국가경쟁력요소의 재정의를 시도하고, 경제사회생태계의 구성원 개체, 개체군, 생태계 전체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생태학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상생, 공존의 원리를 사회현상에 적용시켜 해석해보고자 연구논리의 흐름을 계획하였음
    ● 본 연구는 다분야 사전연구를 통해 사회과학에서의 생태적 해석이 중요한 근거를 찾고 생태적 접근을 시도한 기존연구들의 한계를 검토하여, 본 이론구축의 타당성을 세우고자 함
    ● 경제사회에 적용 및 이용을 위한 실질적 학문토대를 세우기 위해, 경제사회의 생태적 현상을 생태계 구성 개체와 개체군, 전체생태계에 적용시켜 모형을 완성할 필요가 있음. 즉, 경제사회현상을 해석에 흔히 사용되는 경제학, 경영학, 사회학에서의 효율성 및 효과성에 대한 여러 지표 등을 검토하여, 생태적 강조점인 공생 및 조화, 공진화 등의 개념들과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경쟁력의 관점인 ‘건전성‘을 정의함으로써 체계화 될 수 있을 것임
    ● 이러한 연구의제의 발전과정을 통해 완성된 경제사회생태계의 모형은 궁극적으로 경제사회개체가 스스로의 생존전략을 세워 자생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논리의 확대를 통해 국가경쟁력에 주요한 요소를 추가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됨

    ● 초기 3년간의 소형연구단계에서는 ‘경제사회주체들의 생태적 공생 및 진화’라는 의제를 연구화 시킬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기존 사회현상의 해석적 시각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보완할 생태적 이슈를 발굴할 계획이며, 생태적 접근방법을 단위사회조직생태계에 적용시켜, 핵심이슈들을 사회적 현상에서 해석할 예정임
    ● 구체화된 핵심이슈에 대한 검증을 통해 연구모형을 완성하고, 생태적 공생과 진화에 대한 연구의 기초 발전모델을 수립할 계획임

    1) 1차년도 연구계획 : “개체 중심의 생태적 시각”
    ● 유용한 생태적 시각을 경제사회의 개별주체에 적용시켜, 개별주체의 성공, 성장, 진화, 적응, 변이 등의 현상을 설명하고자 함. 기존의 경제사회개체들의 생존방식, 성공, 성장에 대한 해석의 과정을 생태적 진화측면에서 접근하여 보다 지속적인 생존방법 제안 가능
    ● 성공한 기업의 실제 생존수명도 평균 20년이 넘지 않는다는 것을 보면, 지속적 생존이 가능했던 조직의 여러 유전적 특성 및 조건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생태적 시각에서의 지속적 생존의 근거 및 의미를 파악하여 개체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함
    ● 유관분야 다차원 문헌연구를 통해 경제사회생태계의 이론적 기반을 확보하는 동시에 전문가 및 실무자입장에서의 사회적 이슈를 발굴하고, 경제사회생태계의 기초 구성원인 개별개체의 중요성 및 핵심이슈를 발굴하는 것이 가능함

    2) 2차년도 연구계획 : “개체군 중심의 생태적 시각”
    ● 경제산업군으로 분류되던 유사 경제사회주체들의 협력, 경쟁, 시너지창출 등의 경제사회현상을 생태적 접근방법을 통해 그 기본 원리를 규명하고자 함. 개체 간의 관계구축의 이유를 찾을 수 있으며, 관계를 유형화 할 수 있고, 관계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개체군 안에서의 능력 있는 개체를 구분하는 방법, 개체와의 관계의 시작 및 유지방법 등을 주요 경제사회개체군을 대상으로 한 탐색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밝혀낼 수 있음
    ● 개체간의 경쟁 및 협력을 이끄는 기본원리가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찾아 낼 수 있으며, 개체군의 수준에서 개체집단의 지속적 성장 및 경쟁력의 동반향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함. 유사기능의 경제사회개체 간의 협력과 공생의 원리를 제공하여, 스스로 협력점을 찾아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

    3) 3차년도 연구계획 : “생태계 중심의 생태적 시각의 통합”
    ● 개별 개체중심, 개체군 중심의 다양한 생태적 이슈 등을 생태계 중심으로 통합하여, 생태계적 시각의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생태계적 관점을 이용하여 경제사회주체 간의 다양한 관계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경우의 가치를 검증할 수 있음
    ● 1, 2년차의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핵심이슈를 실제 한국경제사회 기반의 주체들에게 설문하여, 개별개체의 능력, 개체군의 활성화 및 기여도 등이 전체 경제사회생태계의 번영 및 성과와 관련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음
    ● 전체 생태계의 범위를 규정하는 방법과 생태계를 모형화 하는 규칙을 창안 할 수 있으며,기존의 네트워크 분석방법과의 차별점을 통해 다차원의 공생 및 진화를 유도하기 위한 다중구조의 가이드라인의 초안을 마련할 수 있음
  • 한글키워드
  • 생태계 전략,경제사회생태계,생태적 공생 및 진화,생태계 건전성,개체,개체군
  • 영문키워드
  • Ecosystem Strategy,Organization,Ecological Standpoint,Social Science,Korean Economic and Social Ecosyste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발생하는 개인 또는 다양한 사회주체 구성원들이 서로 연관되어 영향을 주고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현상들은 복잡도에 따라 서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의 결과는 이를 발생시킨 개인이나 일부 조직개체의 수준에서 끝나지 않고, 국가의 범위를 넘어 글로벌 차원에서의 막대한 사회적 비용 및 시간과 재생, 복구 등의 노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현상을 통해서 개별 개체가 혼자가 아닌 다양한 사회개체들과의 역할분담을 통한 유기적으로 통합된 시스템의 형태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경제사회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개체간의 경계가 무너지거나 융·복합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결합 및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는데 반해, 이러한 다양한 사회개체간의 상생, 협력, 조정, 경쟁 등의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인 틀이 부재하였다. 따라서 합리성이나 통제가능성 등의 물리적 도구로 사회 개체만을 바라보며 사회현상을 단편적으로 해석하려고 했던 전통적인 사회학적 논리를 확장하고, 더 많은 사회구성원(개인 및 조직)에게 높은 수준의 지속 가능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학(ecology)을 기반으로 기존 사회학의 대표적인 학문분야인 경제학, 사회학, 행정학, 경영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사회현상을 재해석하게 될 경우 추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학술적, 실무적 가치 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다양한 문헌 및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이론을 검토하여, 사회과학 재해석을 위한 융·복합적 접근을 시도하며, 검증을 위해 실제 사회현상에 생태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개별 개체를 중심으로 사회현상 안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요구되는 바람직한 기능이 무엇인지를 각기 다른 분야에서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체를 유사한 특징을 지닌 생태적 개체군으로 분류하여 생태계 단위의 분석을 시도하여, 단위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개별 개체간의 관계와 구조에 대한 개괄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단위생태계 별로 어떤 특성화된 구조를 지니는 지를 찾고, 이를 유형화 하여, 전체 경제사회생태계에서의 바람직한 역할 및 방향성을 타당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하여 정책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연구결과는 정책 및 사회실무에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될 수 있으며, 다양한 경제사회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화된 도구 및 개념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학문적 및 실무적 연구로 수행될 수 있다.
  • 영문
  • The phenomenon of interactions among society entities tends to be more critically leveraged by its complexity. Moreover the result of this problem expands its boundary interacts with the macro level in domestic also international as well. Now the problems of individual entities are not staying as it is but it interacts with external environments with complexity of interactions. Obviously, it requires immense social, time, recovery and multilevel efforts to resolve.
    Through analyzing the phenomenon, this research reached idea that each social entity is laid on environment integrated in organic basis system employing various actors based on combinations of different roles. The demands of understanding regarding complex economic phenomenon have been increased. However, it is still lack to provide log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to comprehend the situation for finding solutions to resolv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due to the complex social activities. In social science, the symbiosis, accomplishment, arbitrage and competition among the complexity of network has not premised to determine the problems.
    Thus, the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these types of phenomenon escaping and expanding from traditional view which is limited on controllability and rationalization. The research insists that the need of new approaches based on ecosystem theory suggesting better vision to achieve continuous sustainability and usability for ecosystem entities.
    Consequently, the research induced new scientific evidences in respected economic, social scienc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cience. The evidential methods that the research employed tried to establish and find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do this, we conducted several in-depth reviews on various topics of human society providing convergence aspects in which regards ecosystem perspective, economics and business.
    The major implications and final deliveries of this research are: 1) Findings of entities’ relationships based on empirical evidences from case studies ? It indicates how the phenomenon is categorized by each specific ecosystem’s interests, 2) Providing a framework for structural formation of each ecosystem entity, and 3) Administrative implications that how the practitioner compromises potential problems in the complex environment leveraging the concepts we proposed through dedicated methods.
    The logical streams that we proposed are able to act as a tool to simpler the complex environment using of the concept of ecosystem in various economic society sectors. We hope that this research applies to the real practice and academia taking roles for comprehension of the complex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발생하는 개인 또는 다양한 사회주체 구성원들이 서로 연관되어 영향을 주고받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현상들은 복잡도에 따라 서로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의 결과는 이를 발생시킨 개인이나 일부 조직개체의 수준에서 끝나지 않고, 국가의 범위를 넘어 글로벌 차원에서의 막대한 사회적 비용 및 시간과 재생, 복구 등의 노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현상을 통해서 개별 개체가 혼자가 아닌 다양한 사회개체들과의 역할분담을 통한 유기적으로 통합된 시스템의 형태 안에 존재한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경제사회 환경이 복잡해지면서 개체간의 경계가 무너지거나 융·복합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유기적 결합 및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는데 반해, 이러한 다양한 사회개체간의 상생, 협력, 조정, 경쟁 등의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인 틀이 부재하였다. 따라서 합리성이나 통제가능성 등의 물리적 도구로 사회 개체만을 바라보며 사회현상을 단편적으로 해석하려고 했던 전통적인 사회학적 논리를 확장하고, 더 많은 사회구성원(개인 및 조직)에게 높은 수준의 지속 가능성과 유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학(ecology)을 기반으로 기존 사회학의 대표적인 학문분야인 경제학, 사회학, 행정학, 경영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사회현상을 재해석하게 될 경우 추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학술적, 실무적 가치 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다양한 문헌 및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이론을 검토하여, 사회과학 재해석을 위한 융·복합적 접근을 시도하며, 검증을 위해 실제 사회현상에 생태학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개별 개체를 중심으로 사회현상 안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요구되는 바람직한 기능이 무엇인지를 각기 다른 분야에서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체를 유사한 특징을 지닌 생태적 개체군으로 분류하여 생태계 단위의 분석을 시도하여, 단위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개별 개체간의 관계와 구조에 대한 개괄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단위생태계 별로 어떤 특성화된 구조를 지니는 지를 찾고, 이를 유형화 하여, 전체 경제사회생태계에서의 바람직한 역할 및 방향성을 타당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하여 정책적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한 연구결과는 정책 및 사회실무에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될 수 있으며, 다양한 경제사회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반화된 도구 및 개념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학문적 및 실무적 연구로 수행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새로운 시각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사회현상을 재해석하게 될 경우 추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학술적, 실무적 가치 등을 발견하고 검증하고자 하며, 이론에만 머무를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현실 사회에 대한 관찰과 전문가, 실무자 등의 의견을 반영한 실제적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현상적 접근을 시도하며, 연구결과의 환류를 통해 또 다시 정책 및 사회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도구를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연구임
    생태적 공생과 진화의 연구의제 하에서의 기초이론수립을 위한 단계별 연구결과는 한국경제사회의 주요구성원들 스스로가 생태계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며,구성원들 스스로가 생태계의 건전성을 진단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음.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국경제사회생태계의 개별주체들이 스스로 생태적 생존역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도록 함
    개별주체의 독립적 생존역량뿐만 아니라, 개체군 및 생태계 관점에서의 공적책무를 다할 수 있는 기회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전반적 한국경제사회의 경쟁력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됨
    생태계 지식네트워크의 확산을 통하여, 실제 조직들에게 전략적 아이디어를 확산 및 공유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공적책무를 수행하는 관련공공기관에 사회, 경제사회에 대한 정책적 지침 및 지원 사업의 추진방향을 제시할 수 있음
  • 색인어
  • 개체, 개체군, 경제사회생태계, 생태계 건전성, 생태계 전략, 생태계 공생 및 진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