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문체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A00266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남경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조선시대(중세 한국어 시기)에 간행된 한글 의서 《구급방》 上, 下, 《구급간이방)》 卷一, 二, 三, 六, 七, 《諺解 救急方》 上, 下, <구황촬요> 이본류, <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 <벽온신방>, <마경초집언해>, <우마양저염역병>, <신전자초방>, <구급신방> 이본류 등을 대상으로 한글 의서 자료의 문체적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의서는 조선시대 간행된 여타의 한글 문헌 자료와는 달리 대개가 전문적인 의술 용어와 사동형어미를 많이 사용한 채 내용이 전개되고 있어 민간에서 직접 이 문헌을 보고 병을 구완했을 가능성보다는 전문지식이 있는 사람들(가령 한의사 부류)에 의해 읽혀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어휘나 서지적인 측면에서 시각을 달리하여, 보다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문헌의 문체 형성 요인을 살핀다면 밝히는 데 보다 더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문체 연구)의 최종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조선시대 한글 의서 자료의 DB 구축
    ② 조선시대 한글 의서 목록의 체계화
    ③ 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문체 형성 요인과 특징 고찰
    ④ 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통사구조 파악
    ⑤ 한글 의서 문체 정립
  • 기대효과
  • 한글 의서의 문체 연구는 국어학적 분석을 통해 공시적으로는 중세 한국어 연구에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통시적으로는 어휘사, 문법사 기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러한 언해 양상의 분석 결과는 국어학적으로 볼 때 ‘언해문’의 한 특성을 제시하고, 고유어와 한자의 관계를 규명하는 등 번역서의 국어학적 연구에 새로운 연구 영역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문체의 성격을 규명하는 일련의 작업은 문장의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며, 의서의 내용과 성격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다.
    이 연구 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전산처리 자료와 색인 자료는 중세 국어학 문헌의 전산·정보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특히, 연구 과정에서 얻어진 ‘구급방 의서 원문, 원문 병행 총 색인, 언해 비교 자료, 역순 색인, 한자음 자료, 형태서지 비교 자료 등이 망라되어 앞으로의 국어학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임에 틀림없다. 이와 함께 한의학 등 인접 학문의 연구에도 크게 공헌할 것임은 물론이다.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한의학 관련 연구자들에게도 이를 적용하여 종전의 한문텍스트의 문헌에서 중세국어의 문헌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물은 <중세한국어 관련 수업>은 물론, <문법론>, <어휘론>과 같은 국어학 전반에 걸친 학부 또는 대학원 교육현장에서 다각도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음은 물론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조선시대(중세 한국어 시기)에 간행된 한글 의서 《救急方(언해)(이하 구급방)》 上, 下, 《救急簡易方(언해)(이하 구급간이방)》 卷一, 二, 三, 六, 七, 《諺解 救急方》 上, 下, 구황촬요, 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 벽온신방, 마경초집언해, 우마양저염역병 등을 대상으로 한글 의서 자료의 문법적 특수성을 파악하여, 국어학적 성격을 명확히 판단한 뒤, 이를 바탕으로 한글의서 문헌의 문체적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① 조선시대 한글 의서 자료의 DB 구축, ② 조선시대 한글 의서 목록의 체계화, ③ 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문체 형성 요인과 특징을 고찰하게 되며 ④ 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통사구조를 파악하여, 최종적으로 ⑤ 한글 의서 문체 정립이들 문헌을 대상으로 문체 연구를 행하게 된다.
    연구 방법으로, 대상 자료의 모든 내용, 즉 언해뿐만 아니라 한자원문을 모두 입력하여 만들어진 각종 색인(어절 단위 색인, 한자와 언해를 대응시킨 병행 색인, 역순 색인, 세 문헌 비교 색인 등) 자료들은 문체 분석을 위한 비교 ․ 통계적 방법의 기초 자료로 이용한다. 이 때 언해와 한자를 병행한 색인을 바탕으로 구급방류 고유어들을 추출한 뒤, 의미 있는 용언부를 가려낸다.
    ① 문체 연구를 위한 용언부 추출 작업 후, ② 문헌별 체제 비교를 통한 용언부 분류 작업을 거쳐, 문체연구를 행하게 된다.
    한글의서 문헌 중 체제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문헌의 성격과 내용을 비교하여, 이들을 공통적인 내용체제를 기준으로 하여, 증세, 처방, 치유와 관련된 용언을 추출하고 문체를 밝히는 기초 자료로 삼아, 이와 같은 내용이 문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다.
    의서류 문헌은 화용적으로 의학에 권위가 있는 전문가가 또다른 전문가나 환자에게 명령 혹은 청유의 형태로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형태이다.
    《구급방》과 《구급간이방》이 한자로 씌어진 중국의 여러 문헌을 언해한 것이라면, 《언해구급방》는 여러 원전을 섭렵한 전문가의 새로운 저술로 보이며, 그러므로 《구급방》과 《구급간이방》에서처럼 일치하는 원문을 찾아보기 힘들다. 《구급방》과 《구급간이방》보다 훨씬 체계적인 양상을 띠며 전문가가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또다른 전문가를 대상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 같은 화용적 상황을 감안하여, 의술인의 심리와 전거 문헌에 의해 문체가 달라지는 요인에 대해서도 분석해 볼 것이다.
    또한 중앙관청간행, 지방관청간행, 개인간행과 같은 간행자별 문체의 차이에 대해 서도 분석해 본다.
    한글 의서의 문체 연구는 국어학적 분석을 통해 공시적으로는 중세 한국어 연구에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통시적으로는 표기 ․ 음운사, 어휘사, 문법사 기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 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전산처리 자료와 색인 자료는 중세 국어학 문헌의 전산·정보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특히, 연구 과정에서 얻어진 ‘구급방 의서 원문, 원문 병행 총 색인, 언해 비교 자료, 역순 색인, 한자음 자료, 형태서지 비교 자료 등이 망라되어 앞으로의 국어학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임에 틀림없다. 이와 함께 한의학 등 인접 학문의 연구에도 크게 공헌할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문체의 성격을 규명하는 일련의 작업은 문장의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며, 의서의 내용과 성격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다.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한의학 관련 연구자들에게도 이를 적용하여 종전의 한문텍스트의 문헌에서 중세국어의 문헌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학부 또는 대학원 교육현장에서 다각도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음은 물론이다.
  • 한글키워드
  • 벽온신방,문체,서지학,통사 구조,용언부,처방,의학,한글 의서,중세 한국어 시기,한의학,개인간행,지방관청간행,전거 문헌,의술인의 심리,환자,권위자,우마양저염역병,마경초집언해,언해두창집요,언해태산집요,구황촬요,諺解 救急方,救急簡易方,救急方,치료,증세,의서 문체,목록 수립,국어학,중앙관청간행
  • 영문키워드
  • The source of books,Oriental medicine,The Medical Book in Hangeul,Gugeupganibang,Guhwangchwallyo,Eunhaeduchangjipyo,Style of writing,Style of medical books,A list of Medical books in Hangeul,The bibliography,Predicate,Symptom,Prescription,Cure,Medical science,Authority,Patient,The doctor's psychological,Korean linguistics,Umayahgjeoyeomyeokbyeong,Eunhaetaesanjipyo,Eunhaegugeupbang,Gugeupbang,The middle korea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조선시대(중세 한국어 시기)에 간행된 한글 의서 자료의 목록을 수립하여, 문체적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 수립한 조선시대 한글 의서 목록은 《구급방》, 《구급간이방》, 《창진방촬요》, 《간이벽온방》, 《분문온역이해방》, 《언해구급방》, 《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납약증치방》, 《벽온신방》, 《구황촬요》, 《두창경험방》등이다. 이들 의서들은 ‘언어코드 - 한글, 시대 - 조선시대, 내용 - 병의 증세와 처방, 텍스트 생산자 - 의사 또는 전문가, 권위자, 텍스트 수용자 - 2차적 전문가, 환자 또는 비전문가’와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조선시대 의서 문체의 형성요인을 그 내용상 요인으로 병의 증세, 의료처방, 치료상태로, 텍스트 외적 요인으로는 의술인의 심리로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의서 문체의 특징을 문장의 길이, 시제, 서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매우 긴 장문의 병렬문이 나타나며, 처방에서는 현재법이 치료 단계에서는 미래법이 주로 보인다. 의서 문체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명령형이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평서형 문장도 ‘~면 둏다, ~면 죽나니라’와 같이 실제로는 명령 혹은 강한 명령이라는 내용상 특징을 가진다.
    의서 문체 연구는 내용을 중심으로 유형화된 문헌의 문체를 연구하는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의서문체로 유형화되고 구체화된 문체적 특성은 의서의 장르를 다른 성격의 문헌과 뚜렷이 구분하여 그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드러나게 함으로써 타 문헌과의 차별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체계적, 유형적 문체파악 방법은 차후 다른 문헌의 문체적 특성을 밝히는 데에도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글 의서의 문체 연구는 국어학적 분석을 통해 공시적으로는 중세 한국어 연구에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통시적으로는 어휘사, 문법사 기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문체의 성격을 규명하는 일련의 작업은 문장의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며, 의서의 내용과 성격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물은 <중세한국어 관련 수업>은 물론, <문법론>, <어휘론>과 같은 국어학 전반에 걸친 학부 또는 대학원 교육현장에서 다각도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음은 물론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at listing Korean medical books in Chosun dynasty(Medival Korean era) and surve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riting style.
    The list of Korean medical books in Chosun dynasty is comprised of《Gugeupbang》, 《Gugeupganibang》, 《Changjinbangchwaryo》, 《Ganibyeogonbang》, 《Bunmunonnyeogihaebang》, 《Eonhaegugeupbang》, 《Eonhaeduchangjibyo》, 《Eonhaetaesanjibyo》, 《Nabyakjeungchibang》, 《Byeogonsinbang》, 《Guhwangchwaryo》, 《Duchanggyeongheombang》and etc.
    These medical books have something in common : linguistic code - Korean, era - Chosun, contents - symptom and prescription of diseases, text producers - doctors, experts and authorities, comsumers - secondary experts, patients and laymen.
    The main factor for formation of writing style in the medical books was investigated in the view of the intrinsic and the extrinsic text. The factors by the intrinsic text were the symptom of diseases, the medical prescriptions and the status of treatment and that by the the extrinsic text was psychological status of health care provi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style in the medical books was analyzed in the length of sentences, tense, the mood.
    Very long parallel sentences were found in the medical books, present sentence were in the prescription and future sentences were in the treatment
    Salient point of the writing style in the medical books are high frequency of imperative, even a declarative sentence actaully have nuance of strong order, such as ‘~면 둏다, ~면 죽나니라’.
    This study of the writing style in the medical books is an attempt to research the typified writing styles of literature in the view of contents.
    The writing style in the medical books is typified and defined, which makes the genre of the medical books separable clearly from other literature. In these fac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and formation in the medical books can be revealed, so the difference from the other literature can be easily found.
    The method in finding the typified and defined writing style, obtained in this study can provide a standard for finding the writing style in other literature.
    This study of writing style in Korean medical books will contribute to research medical Korean language synchronically and give great help to history of vocabulary and grammar diachronically.
    The works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style will be an important procedure to apprehend meaning of sentences clearly and be a standar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medical books deeply.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nough value to be used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uch as lecture of medival Korean language, theory of Korean grammar as well as Korean volcabular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조선시대(중세 한국어 시기)에 간행된 한글 의서 《구급방》 上, 下, 《구급간이방)》 卷一, 二, 三, 六, 七, 《諺解 救急方》 上, 下, 《구황촬요》 이본류, 《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 《벽온신방》, 《마경초집언해》, 《우마양저염역병》, 《신전자초방》, 《구급신방》 이본류 등을 대상으로 한글 의서 자료의 목록을 수립하여, 문체적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 수립한 조선시대 한글 의서 목록은 《구급방》, 《구급간이방》, 《창진방촬요》, 《간이벽온방》, 《분문온역이해방》, 《언해구급방》, 《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납약증치방》, 《벽온신방》, 《구황촬요》, 《두창경험방》등이다. 이들 의서들은 ‘언어코드 - 한글, 시대 - 조선시대, 내용 - 병의 증세와 처방, 텍스트 생산자 - 의사 또는 전문가, 권위자, 텍스트 수용자 - 2차적 전문가, 환자 또는 비전문가’와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이들 문헌을 대상으로 문체 연구를 행하기 위해, 용언부를 추출하였는데, 대상 자료의 내용을 입력하여 만들어진 각종 색인 자료들은 문체 분석을 위한 비교 · 통계적 방법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였다. 이 때 어절단위의 색인을 바탕으로 고유어들을 추출한 뒤, 의미 있는 용언부를 가려내어 문체 연구의 자료로 삼았다.
    조선시대 의서 문체의 형성요인을 그 내용상 요인으로 병의 증세, 의료처방, 치료상태로, 텍스트 외적 요인으로는 의술인의 심리로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의서 문체의 특징을 문장의 길이, 시제, 서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매우 긴 장문의 병렬문이 나타나며, 처방에서는 현재법이 치료 단계에서는 미래법이 주로 보인다. 의서 문체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명령형이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평서형 문장도 ‘~면 둏다, ~면 죽니라’와 같이 실제로는 명령 혹은 강한 명령이라는 내용상 특징을 가진다.
    의서 문체 연구는 내용을 중심으로 유형화된 문헌의 문체를 연구하는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의서문체로 유형화되고 구체화된 문체적 특성은 의서의 장르를 다른 성격의 문헌과 뚜렷이 구분하여 그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드러나게 함으로써 타 문헌과의 차별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체계적, 유형적 문체파악 방법은 차후 다른 문헌의 문체적 특성을 밝히는 데에도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에서 수립한 조선시대 한글 의서 목록은 《구급방》, 《구급간이방》, 《창진방촬요》, 《간이벽온방》, 《분문온역이해방》, 《언해구급방》, 《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납약증치방》, 《벽온신방》, 《구황촬요》, 《두창경험방》등이다. 이들 의서들은 ‘언어코드 - 한글, 시대 - 조선시대, 내용 - 병의 증세와 처방, 텍스트 생산자 - 의사 또는 전문가, 권위자, 텍스트 수용자 - 2차적 전문가, 환자 또는 비전문가’와 같은 공통점을 지닌다.
    조선시대 의서 문체의 형성요인을 그 내용상 요인으로 병의 증세, 의료처방, 치료상태로, 텍스트 외적 요인으로는 의술인의 심리로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의서 문체의 특징을 문장의 길이, 시제, 서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매우 긴 장문의 병렬문이 나타나며, 처방에서는 현재법이 치료 단계에서는 미래법이 주로 보인다. 의서 문체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명령형이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평서형 문장도 ‘~면 둏다, ~면 죽니라’와 같이 실제로는 명령 혹은 강한 명령이라는 내용상 특징을 가진다.
    한글 의서의 문체 연구는 국어학적 분석을 통해 공시적으로는 중세 한국어 연구에 크게 기여함과 동시에 통시적으로는 어휘사, 문법사 기술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문체의 성격을 규명하는 일련의 작업은 문장의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하게 하는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며, 의서의 내용과 성격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다.
    이 연구 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전산처리 자료와 색인 자료는 중세 국어학 문헌의 전산·정보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특히, 연구 과정에서 얻어진 ‘구급방 의서 원문, 원문 병행 총 색인, 언해 비교 자료, 역순 색인, 한자음 자료, 형태서지 비교 자료 등이 망라되어 앞으로의 국어학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임에 틀림없다. 이와 함께 한의학 등 인접 학문의 연구에도 크게 공헌할 것임은 물론이다.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한의학 관련 연구자들에게도 이를 적용하여 종전의 한문텍스트의 문헌에서 중세국어의 문헌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연구의 결과물은 <중세한국어 관련 수업>은 물론, <문법론>, <어휘론>과 같은 국어학 전반에 걸친 학부 또는 대학원 교육현장에서 다각도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음은 물론이다.
  • 색인어
  • 한글, 의서, 중세, 문체, 국어, 《구급방》, 《구급간이방》, 《창진방촬요》, 《간이벽온방》, 《분문온역이해방》, 《언해구급방》, 《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납약증치방》, 《벽온신방》, 《구황촬요》, 《두창경험방》, 증세, 처방, 치료, 의술인, 심리, 텍스트 생산자, 텍스트 수용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