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龍飛御天歌 正音 表記 地名과 漢字語 地名의 對立, 變遷에 관한 硏究 ~쇠벼라 : 淵遷 ․ 金遷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A00269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1 년 (2010년 05월 01일 ~ 2011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병철
연구수행기관 서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금까지 <龍飛御天歌> 정음 표기 지명에 대하여는 전반적이고 일반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자료 전체를 대상으로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관계 파악과 정음을 병기한 이유 추적이 주로 이루어져왔다. 하나의 지명어를 대상으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하는 것은 본 연구가 최초로 시도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정음표기 지명어 목록을 작성한 후 연차적으로 각 지명어에 대하여 종합적인 방법으로 관련 사항 모두를 심도 있게 천착하고자 한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쇠’를 선정하고 이 고유어지명과 대립, 공존하였던 한자어지명 ‘淵遷’과 ‘金遷’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지명어는 보수성과 전승성을 지닌다고 한다. 선사시대부터 우리 민족이 정착 지배하여 온 이 땅의 행정지명이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한자어화하였다. 한자문화권의 영역 속에 포함된 연대가 오래이기는 하지만 테네시, 하와이, 아이오와, 미시간, 텍사스, 시카고 등을 비롯한 미국의 여러 주와 대도시 명칭에 지배족의 언어가 아닌 원주민의 언어가 쓰이고 있다는 점과 대조해 볼 필요성이 있다. 다른 나라 지명에서 나타나는 복수성의 문제와 속지명에 남아있는 고유지명어를 활용한 앞으로의 지명 정책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원초형인 고유지명어 즉 속지명 ‘쇠’는 이를 배경으로 형성된 한자어지명 ‘淵遷’과 ‘金遷’에 밀려 소멸하였다.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지명의 미래를 어떻게 가꾸어나갈 것인가라는 정책적인 문제를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고지명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정책 제안은 앞으로의 다른 연구에 파급력을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지명 중 정음 표기와 한자어 표기가 함께 나오는 목록을 작성하고 그 중 한 항목인 ‘쇠벼라:淵遷’에 대하여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핵심적인 내용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정음․한자어 표기 지명 자료의 목록을 작성한 후 해당 부분의 원문을 번역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록은 추후 본연구자의 연구 대상 항목이기도 하며 다른 연구자들로 하여금 이 목록을 참고하게 하여 이 분야의 연구를 촉발시키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내용 중 또 하나의 중요한 분야는 ‘쇠벼라:淵遷’에 대하여 언어학적, 지명학적, 역사학적 접근을 통한 종합적 연구와 지명의 미래를 위한 정책적 제안까지이다. 현재 대부분의 문헌 자료는 한글 워드프로세서로 입력되어 자료화 되었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龍飛御天歌>는 이윤석(1992)에 의하여 한글로 옮긴 것만 출판 공개되었을 뿐 원문을 입력한 자료는 보이지 않는다. 이 자료의 원문 입력과 연구자를 위한 자료화는 시급한 문제로 보인다. 연차적으로 연구자는 이 자료의 전산 입력을 진행할 것이며 우선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지명이 담겨있는 자료를 골라내어 시범적으로 입력하여 자료화 하고자 한다. 또한 입력된 자료는 지명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나다--- 순과 지역별로 가공, 2차자료의 구축도 수행하여 부록으로 제시할 것이다. 고유지명어 ‘쇠벼라’와 대응되는 한자지명어 ‘淵遷’과 ‘金遷’에 대하여는 단순히 두 개의 낱말에 대한 검토가 아니며 이를 바탕으로 다각도로 검토가 이루어 질 것이다. 우리나라 지명어의 특징 중 하나는 고유어와 한자어의 공존과 대립이다. 이러한 대립과 공존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도 이 연구의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현용 행정지명에서는 고유어 지명이 거의 소멸되고 한자어 지명만이 쓰이고 있는데 그렇게 된 배경과 원인 그리고 앞으로의 정책 대안 등이 제시될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고유어와 한자어가 공존한 지명어에 대한 세밀한 검토는 매우 중요하기에 피상적인 접근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항목에 대한 치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유지명어 ‘쇠’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이 단어에 대한 공시적 통시적 탐구를 통하여 그 구조와 변천을 밝혀낼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대응되는 한자어 지명 ‘淵遷’과 ‘金遷’에 대한 탐구를 진행할 것이다. 초기의 형태 ‘淵遷’이 뒤에 ‘金遷’으로 변화하게 된 원인이 어디에 있는 지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의 어떤 문헌에서도 관련 의미를 찾을 수 없는 ‘遷’의 사용에 대하여도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고유어 지명 ‘쇠벼라’와 한자어 지명 ‘淵遷’과 ‘金遷’에 대한 언어학적 검토가 이루어지면 고유지명어와 한자지명어의 대립과 공존 관계를 시기별로 다루게 될 것이다. ‘쇠벼라’와 ‘淵遷’ 그리고 ‘쇠벼라’와 ‘金遷’의 관계를 추적 가능한 모든 문헌의 자료를 바탕으로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리고 오늘날 현지 지명에서의 전승성을 파악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탐구가 진행되면 오늘날 충주시 가금면의 행정지명 ‘可金’의 ‘金’에 金遷 그리고 淵遷의 잔영이 남아있음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지명의 전승성을 바탕으로 한 바람직한 지명 정책의 모색이 이루어 질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한역,용비어천가 고유어 지명,공존.,대립,한자어 지명,한자차용표기
  • 영문키워드
  • Songs of Flying Dragons Native Toponym Words,Coexistence,Opposition.,Sino-Korean Translation,Sino-Korean Toponym words,Borrowing Chinese Character Writing Syste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고유지명어 ‘․쇠․’는 현재의 忠州市 可金面 樓巖里의 다락바위를 중심으로 남한강을 따라 놓여있던 물 언덕 돌길이다. 이 지점은 남한강과 달천이 합류하여 북서쪽 여주 방면으로 꺾여 흘러 나가는 물길의 길목이다. 漢江 流域과 洛東江 流域을 연결하는 남북 교통의 要衝地로 漕運이 중요시되던 시기에 地理的 座標와 같은 역할을 했던 곳이다.
    ‘․쇠․’는 전부요소 ‘․쇠’와 後部要素 ‘․’로 분석되며 ‘․쇠’는 물이 깊은 곳을 뜻하는 ‘․소’에 속격 ‘-ㅣ’가 결합된 형태로 보인다. 후부요소 ‘․’는 ‘*벼’에 소급되며 물 언덕 돌길을 뜻한다. 고유지명어 ‘․쇠․’를 배경으로 만들어진 한자지명어로 ‘淵遷’과 ‘金遷’이 있다. ‘淵遷’의 ‘淵’은 고유지명어가 지닌 意味를 충실히 반영하여 선택된 한자이다. 반면에 ‘金遷’의 ‘金’은 漢字借用表記의 原理에서 보면 假字에 속하는 것이다.
    ‘淵遷’은 朝鮮初에 한시적으로 쓰였던 명칭이나 ‘金遷’은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 ‘金遷’은 확장형 金遷江, 金遷倉, 金遷站, 金遷津 등의 명칭을 비롯하여 行政地名으로도 활용되었다. 오늘날 ‘金遷’과 관련있는 명칭으로 行政區域名인 ‘可金面’이 있으며 업소명으로 ‘金遷注油所’가 있다. ‘淵遷’은 그 잔영을 찾을 수 없다. 그리고 고유지명어 ‘․쇠․’와 관련된 지명으로 쇠꼬지, 쇠여울, 소일 등이 있다.

    ※핵심어: 固有地名語, 漢字地名語, 漢譯, 龍飛御天歌, 地理志, 朝鮮王朝實錄.
  • 영문
  • The native toponym word ‘Soybyora(․쇠․)’ refers to a stoney road along the riverbank of Namhan River in the present Chung-ju City Kageummyeon Nuamri. It is located at the crossroad where Namhan River meets Dal Brook and flows northwest toward Yeoju. An important traffic hub of north and south linking the regions of the Han River and the Nakdong River, it functioned as a landmark at the times of river transportation.
    ‘Soybyora(․쇠․)’ is composed of the front part ‘Soy․쇠’ and the rear part ‘Byora․’. The front part ‘Soy․쇠’ is formed by adding the genitive ‘-ㅣ’ to the noun ‘So․소’ which means ‘deep water’. The rear part ‘Byora․’ which can be referred to ‘Byora*벼’ means a stoney road along the riverbank. ‘Yeoncheon(淵遷)’ and ‘Geumcheon(金遷)’ are the sino-korean toponym words based on the native toponym word ‘Soybyora(․쇠․)’. ‘Yeon淵’ of ‘Yeoncheon(淵遷)’ faithfully represents the meaning of the native toponym word. While ‘Geum金’ of ‘Geumcheon(金遷)’ is a pseudo-character(假字)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 borrowing notation.
    ‘Yeoncheon(淵遷)’ is temporarily used in the early Chosun Dinasty. However, ‘Geumcheon(金遷)’ has been widely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was used for the naming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formation of compound words such as ‘Geumcheon River金遷江’, ‘Geumcheon Warehouse金遷倉’ ‘Geumcheon Station金遷站’ and ‘Geumcheon Port金遷津’. Today we can find the traces of ‘Geumcheon(金遷)’ in the words such as ‘Gageummyeon(可金面)’ and ‘Geumcheon Gas Station(金遷注油所)’. However, the traces of ‘Yeoncheon(淵遷)’ can not be identified in any of the present toponym word. ‘Soykojee쇠꼬지’, ‘Soyyeoul쇠여울’, ‘Soil소일’ are the native toponym words that can be related to ‘Soybyora(․쇠․)’.

    key words: Native Toponym Words, Sino-Korean Toponym Words, Sino-Korean Translation of Native Korean Words, Songs of Flying Dragons, Geo-Cultural Gazette,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고유지명어 ‘․쇠․’는 현재의 忠州市 可金面 樓巖里의 다락바위를 중심으로 남한강을 따라 놓여있던 물 언덕 돌길이다. 이 지점은 남한강과 달천이 합류하여 북서쪽 여주 방면으로 꺾여 흘러 나가는 물길의 길목이다. 漢江 流域과 洛東江 流域을 연결하는 남북 교통의 要衝地로 漕運이 중요시되던 시기에 地理的 座標와 같은 역할을 했던 곳이다.
    ‘․쇠․’는 전부요소 ‘․쇠’와 後部要素 ‘․’로 분석되며 ‘․쇠’는 물이 깊은 곳을 뜻하는 ‘․소’에 속격 ‘-ㅣ’가 결합된 형태로 보인다. 후부요소 ‘․’는 ‘*벼’에 소급되며 물 언덕 돌길을 뜻한다. 고유지명어 ‘․쇠․’를 배경으로 만들어진 한자지명어로 ‘淵遷’과 ‘金遷’이 있다. ‘淵遷’의 ‘淵’은 고유지명어가 지닌 意味를 충실히 반영하여 선택된 한자이다. 반면에 ‘金遷’의 ‘金’은 漢字借用表記의 原理에서 보면 假字에 속하는 것이다.
    ‘淵遷’은 朝鮮初에 한시적으로 쓰였던 명칭이나 ‘金遷’은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 ‘金遷’은 확장형 金遷江, 金遷倉, 金遷站, 金遷津 등의 명칭을 비롯하여 行政地名으로도 활용되었다. 오늘날 ‘金遷’과 관련있는 명칭으로 行政區域名인 ‘可金面’이 있으며 업소명으로 ‘金遷注油所’가 있다. ‘淵遷’은 그 잔영을 찾을 수 없다. 그리고 고유지명어 ‘․쇠․’와 관련된 지명으로 쇠꼬지, 쇠여울, 소일 등이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명 정책 수립에 기여
  • 색인어
  • 固有地名語, 漢字地名語, 漢譯, 龍飛御天歌, 地理志, 朝鮮王朝實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