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국민시각에서의 국정재설계: 풍요로운 공공적 삶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262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흥석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한승주(기타기관)
김현준(고려대학교)
이철주(고려대학교)
김유심(Arizona State Univ.)
김재훈(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제까지 국가에 관한 행정학 연구는 주로 대국민 서비스 공급자인 국가의 시각에서 이루어졌다. 행정학의 대상이 되고, 행정의 경계에서 마저도 행정의 구성요소로서 공공조직 및 이에 부수되는 자원과 활동을 중심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수혜자로서 “국민”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 왜 행정에서마저도 국민을 그 경계 속에 포함시키지 않고 순전히 환경적인 요소로만 파악하는가? 특히 국민을 국가의 중요한 기능인 행정의 경계 속에 포함시킨다면 이때 국민은 국가가 제공하는 기능의 수혜자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국가 기능의 궁극적 목적은 이러한 국민의 삶의 풍요로움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 국민으로서 삶의 풍요로움은 상당 부분 국가와의 관계에 영향을 받는다고 전제하며, 개인의 삶 속에서 국민과 국가의 관계로 나타나는 공공적 삶(public life)이 결과적으로 풍요로워지는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급자적 시각을 탈피하여 국민의 시각에서 국가의 활동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행정의 책임성, 반응성, 책무성, 그리고 효과성을 개선하기 위한 설계 구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삶에 영향을 주는 거시적 쟁점으로 ‘국민과 국가의 관계’를 키워드로 설정하고 주요 국가기능을 중심으로 궁극적으로 국민의 공공적 삶(public life)을 풍요롭게 하기 위한 국민과 국가간의 경계, 제도적 배열, 개인-공동체-국가의 역할분담, 국민과 국가간 관계지수의 개발 등을 모색함으로써 미래 한국인의 공공적 삶을 위한 제도적 설계를 제공할 것이다.
    - 국민-국가 관계에 대한 통시적 분석과 함께 횡단적 국가비교연구를 진행하여 현재의 문제를 포괄적으로 진단하고 공공적 삶에 영향요인을 도출 및 측정함으로써 향후 한국인의 공공적 삶의 개선과 고질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행정학적 처방을 주고 우리의 역사적 경험에 부합하고 미래적 변화에 적합한 국가모델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한국의 경험과 사례를 국내외에 널리 알릴 수 있다는 기여점도 갖는데, 소형단계에서는 한국과 선진국가군, 중-대형 단계에서는 개발도상국군까지 넓은 시공간적 범위의 연구내용이 비교연구 DB로 축적되어 지속적인 국가비교분석의 내용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은 물론 타국 (특히, 개도국)에 대한 처방의 제공 등을 통하여 명실공한 ‘국정설계 연구센터(Center for Governance Design)’ 구축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우리나라와 외국의 거버넌스, 제도적 배열 등을 연구하는 연구훈련팀을 구성하여 운영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이론과 실무의 균형있는 교육을 받은 전문성을 지닌 행정실무인력을 양성하여 국내외에 전파한다는 차세대 사회과학자 인력육성 효과도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국민과 국가관계의 현황을 제도적 배열(institutional arrangement), 기능범위(scope), 소통구조(communication), 공적 기술(public technology) 등 포괄적 차원에서 분석함하며 공공적 삶(public life)은 국가로부터 국민에게 전달되는 국가 기능(공공서비스)의 수혜자로서 국민의 삶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민과 국가의 관계’를 키워드로 하여 소형→중형→대형으로 나가면서, 연구주제의 심화 확장, 분석수준의 확장(국가단위→개인단위), 분석대상의 확장(선진국→개도국), 분석시계의 확장(과거→현재→미래/발견→처방)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단계별 연구계획은 소형단계(2010-2012)에서 ‘한국 공공적 삶의 변화양상: 1차적 대국민서비스를 중심으로’, 중형단계(2013-2015)에서는 ‘다원주의 시대의 국민과 국가관계: 2차적 대국민서비스를 중심으로’, 마지막 대형단계(2016-2019)에 이르러 ‘풍요로운 공공적 삶을 위한 국정재설계: 21세기 중후반을 위한 제도 설계와 처방’로 확장되어갈 것이다.
    소형 단계에서는 첫째, 국민과 국가 관계의 개념정의 및 구성요소를 분석하며, 국민과 국가간 관계지수의 개발한다. 둘째, 이를 위해, 주요 국가기능에 있어서 한국과 선진국가를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실시한다. 주로 적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전문가 델파이, 설문조사 등으로서 본 연구에서 선정한 국가기능별로 국민과 국가 간의 관계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분석틀을 도출하고, 주요 개념을 정의하며, 한국의 국민-국가 관계변화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중형단계에서는 첫째, 국가비교의 대상을 개발도상국가군으로 확장하여 국민-국가 관계의 양상을 분석하고 둘째, 한국사회의 국민-국가관계 변화를 예측하고 바람직한 관계설정을 위한 모델링 설계를 위하여, 2년마다 국가별 비교연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구축한다. 주로 적용되는 비교연구 방법은 서로 다른 사회에 있어서 나타나는 제도와 사례들을 설명하고 서술하는데 유용한 기법으로 국가간 비교를 통하여 국민과 국가 간의 관계의 규칙성을 찾아내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형단계에서는 첫째, 이전 단계를 통해 구축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계적 비교연구 DB를 구축센터를 만들고 둘째, 이러한 자료를 활용하여 모델링을 설계하여 미래적 처방을 제시하는 등 컨설팅 능력을 강화할 것이다. 모델링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은 사회경제계의 거시적인 구조와 양식의 발생을 그 시스템을 구성하는 행위자들의 미시적인 상호작용으로부터 상향식으로 찾아가는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국가기능 제공과정에서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서 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메커니즘을 주체들의 행태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며 이를 통하여 처방적 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 3년간의 연차별 계획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는 ‘한국인의 공공적 삶(public life)과 구성요소에 대한 검토’, 2차년도는 ‘한국과 선진국의 국민-국가간 관계비교’, 마지막으로 3차년도에서는 ‘국민과 국가 관계 지수개발과 국가별 지수비교’를 연구주제로 한다. 1차년도는 우리나라의 과거 30년부터 현재까지를 범위로 하여 ‘국민-국가의 관계’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와 자료들의 수집, 분석하여 국가기능별로 국민과 국가 간의 관계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분석틀을 도출하고, 주요 개념을 정의하며, 한국의 국민-국가 관계변화의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 2차년도는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주요 선진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과거 30년부터 현재를 범위로 하여 해외 전문가 활용 및 국내외 저명 학술대회 발표를 통하여 국내외 공공서비스의 전문가들과의 인터뷰와 집중세미나를 실시하고 사례연구의 심층성을 제고하여 국가 비교 견해를 수집한다. 그 결과 주요 선진국가들을 선정하여 ‘국민-국가의 관계’ 양상을 공통의 분석틀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 3차년도는 국민-국가간 관계지수를 구성하고 해당 국가에 적용하며 그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모델링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3차년도 동안 궁극적으로 국민의 공공적 삶을 보여주기 위해 국민과 국가간 관계 지수를 개발과 국가별 비교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국가와 국민간 경계,공적 문제해결 능력,다극성,거버넌스,공적 기술,소통구조,기능범위,제도적 배열,공공서비스,국가기능,국가와 국민 관계지수,공공적 삶,국정재설계,행위자기반모형,국가 비교연구
  • 영문키워드
  • public service,polycentricity,problem solving capacity,citizen-state relationship,public life,Agent-based model,public technology,communications,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governance,scope,institutional arrangemen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팀은 “한국인의 풍요로운 공공적 삶을 위한 거버넌스 재설계”를 아젠다로 하여,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한국 국민의 특성을 장기적으로 조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국정관리체계 설계를 추구함. 이를 위해 “공공서비스 분야별 제도적 배열과 성과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자료 DB구축 ⇒ 공공서비스 분야별 경험적 서술 모형 및 인과모형 구축 ⇒ 제도설계 시뮬레이션 ⇒ 대안적 제도설계 제시”의 순서에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제들은 모두 국민과 국가의 관계에 있어 “국민의 시각”이라는 일관된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음. 소형단계의 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는 아래와 같음.

    □ 연구 1: 행정의 대상으로서 국민의 인식 및 선호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연구 목표
    - 그동안 행정학의 주된 초점은 ‘어떻게 하면 좋은 산출물을 생산하는 정부 혹은 거버넌스를 만들 것인가’에 있었으며 국민은 정태적 존재로 가정되었음. 그러나 국민과 정부 사이의 관계는 더 이상 정태적이지 않으며 단순히 대중(mass)으로 볼 수도, 경제 합리적인 공공서비스의 소비자로 볼 수도 없음. 행정 연구의 대상으로서 ‘국민’을 하나의 역동적 현상으로 바라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 특성을 개념화하고자 함.
    ○ 연구 내용 및 결과
    - 융합적이며 장기적 관점에서 국민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할 것이 요구됨. 국민을 연구하는 종단적·구체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경험적 자료에 기초한 심층적 분석이 진행되어야 함.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한국 국민의 특성에 대해 연령, 소득, 지역, 성별 집단별 비교연구, 그리고 특성의 변화에 관한 시계열적 연구를 수행함. 이를 통해 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과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 내용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도적 설계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제1차, 제2차 대국민설문조사(표본규모 2천명)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언론 보도 및 학술 발표하였음. 장기종단 DB 구축을 시작함과 동시에 개별 국민의 공공적 삶의 만족도 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한 내용을 발표하였음. 향후 매년 지표의 변화추이와 경향성을 분석해나갈 것임.

    □ 연구 2: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의 제도적 배열과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 연구 목표
    - 국민 시각이 반영된 효과적인 국정 재설계를 위해서는 국가체계의 핵심적 기능 및 서비스 영역 마다 존재하는 거버넌스 모형을 찾고 그 제도적 배열의 특성과 성과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해 한국인의 공공적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거버넌스 구조와 과정을 재설계하고자 함.
    ○ 연구 내용 및 결과
    - 공공서비스 영역별로 가능한 거버넌스 모형별 특징과 그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비교방법론을 활용하였음. 타국의 거버넌스 모형들과 성과 측면을 비교 연구하기 위해 국가비교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음. 현재 7개 공공서비스 분야의 국가비교 DB가 구축되어 있으며 향후 서비스 분야와 그 대상 국가군을 확장할 것임. 구축한 DB를 활용하여 보건의료, 교육, 위기관리 분야 등에서 제도적 배열과 성과를 탐색하고 한국에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논문을 발표하였음.
    - 한편, 거버넌스 재설계를 체계적으로 가능하게 할 시뮬레이션 분석이 필요하며 행위자기반모형(Agent-Based Model)을 적용한 거버넌스 연구를 진행하여 논문 및 저서를 산출하였음. 국민 연구의 결과와 공공서비스 분야별 거버넌스 비교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형 및 대형 단계에서 대안적 거버넌스 설계를 위해 시뮬레이션 작업을 본격화할 것임.
  • 영문
  • Agenda: Research on the Korean People-State Relationship

    The core agenda of this research team is ‘governance redesign to build rich public life of the Korean’. We establish the database (DB) for investigating divers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in the relation with the state and also plan to design effective governance system based on the established DB. We have the following research process: (1) establishing international comparative DB for exploring governance institutional arrangement and performance of each public service area; (2) making empirical description and building causality model of each service area; (3) conducting simulation for redesigning governance system, and; (4) presenting alternative governance for improving rich public life of the Korean. We explore these research items at the point of view of people. The purpose and results of our researches were the following in the first stage (3 years).

    Project 1: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conduct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searches on citizens’ perception about Korean government

    Purpose of the study: finding people’s perception and preferences as main target of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past time, main focus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how to build government or governance system to produce good outputs and the people-state relationship was considered as a static one. However, people are now neither mass nor public service consumers that only pursue economic efficiency. This study sees an individual citizen as dynamic one. We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their behavior, and to conceptualize diverse characteristics that they hav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for us to collect empirical data of Korean people in the interdisciplinary and long-term view. Establishing longitudinal and specific DB is important for conducting in-depth analysis of the Korean people-state relationship. We carry out group comparative studies by age, income, regions, and gender and also carry out conduct time-series analysis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variations of Korean people’s characteristics. This study reveals that pubic services which citizens want are different from those that government provides through comparative study and time-series analysis. This finding will be used for the basis of redesigning governance system.
    We conducted the first & second citizen surveys (N = 2,000) for building Personalized Public Life Satisfaction Index (PPLSI). The results were presented at several academic conferences and were announced by Korean mass media. In the future, we will analyze trend and change of PPLSI every year.


    Project 2:
    Investigating governance institutional arrangement and performance in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s

    Purpose of the study:
    We find core functions of state system and governance models which exist in each public service area to design Citizen-centered Governance System (CCGS). The project analyze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governance institutional arrangement. It helps to redesign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governance system that can boost the public life satisfaction.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The project adopts 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metho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the CCGS in each public service area. We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DB for comparing the appearance of various countries’ governance systems and those performances with those of Korean governance system. Currently, we establish the international DB of the seven public service areas. In the next time, we will increase public service areas and states of analysis. We already published the papers using the established DB. These papers explored governance institutional arrangement and performance in other countries’ healthcare, education and risk management. We presented an alternative governance system that can apply to Korea.
    We need a simulation analysis to realize the redesign of governance systems in each public service area. An Agent-Based Model (ABM) is a good analytic tool. We published books and papers using an ABM. In order to make alternative governance system redesign, we will increase simulation analyses in the second and third stag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팀은 “한국인의 풍요로운 공공적 삶을 위한 거버넌스 재설계”를 아젠다로 하여,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한국 국민의 특성을 장기적으로 조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국정관리체계 설계를 추구함. 이를 위해 “공공서비스 분야별 제도적 배열과 성과에 관한 국가 간 비교 자료 DB구축 ⇒ 공공서비스 분야별 경험적 서술 모형 및 인과모형 구축 ⇒ 제도설계 시뮬레이션 ⇒ 대안적 제도설계 제시”의 순서에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제들은 모두 국민과 국가의 관계에 있어 “국민의 시각”이라는 일관된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음. 소형단계의 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는 아래와 같음.

    □ 연구 1: 행정의 대상으로서 국민의 인식 및 선호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연구 목표
    - 그동안 행정학의 주된 초점은 ‘어떻게 하면 좋은 산출물을 생산하는 정부 혹은 거버넌스를 만들 것인가’에 있었으며 국민은 정태적 존재로 가정되었음. 그러나 국민과 정부 사이의 관계는 더 이상 정태적이지 않으며 단순히 대중(mass)으로 볼 수도, 경제 합리적인 공공서비스의 소비자로 볼 수도 없음. 행정 연구의 대상으로서 ‘국민’을 하나의 역동적 현상으로 바라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그 특성을 개념화하고자 함.
    ○ 연구 내용 및 결과
    - 융합적이며 장기적 관점에서 국민에 관한 경험적 자료를 체계적으로 축적할 것이 요구됨. 국민을 연구하는 종단적·구체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경험적 자료에 기초한 심층적 분석이 진행되어야 함. 국가와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한국 국민의 특성에 대해 연령, 소득, 지역, 성별 집단별 비교연구, 그리고 특성의 변화에 관한 시계열적 연구를 수행함. 이를 통해 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과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 내용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도적 설계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임.
    - 제1차, 제2차 대국민설문조사(표본규모 2천명)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언론 보도 및 학술 발표하였음. 장기종단 DB 구축을 시작함과 동시에 개별 국민의 공공적 삶의 만족도 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한 내용을 발표하였음. 향후 매년 지표의 변화추이와 경향성을 분석해나갈 것임.

    □ 연구 2: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의 제도적 배열과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 연구 목표
    - 국민 시각이 반영된 효과적인 국정 재설계를 위해서는 국가체계의 핵심적 기능 및 서비스 영역 마다 존재하는 거버넌스 모형을 찾고 그 제도적 배열의 특성과 성과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해 한국인의 공공적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하는 거버넌스 구조와 과정을 재설계하고자 함.
    ○ 연구 내용 및 결과
    - 공공서비스 영역별로 가능한 거버넌스 모형별 특징과 그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국가비교방법론을 활용하였음. 타국의 거버넌스 모형들과 성과 측면을 비교 연구하기 위해 국가비교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음. 현재 7개 공공서비스 분야의 국가비교 DB가 구축되어 있으며 향후 서비스 분야와 그 대상 국가군을 확장할 것임. 구축한 DB를 활용하여 보건의료, 교육, 위기관리 분야 등에서 제도적 배열과 성과를 탐색하고 한국에 적용 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논문을 발표하였음.
    - 한편, 거버넌스 재설계를 체계적으로 가능하게 할 시뮬레이션 분석이 필요하며 행위자기반모형(Agent-Based Model)을 적용한 거버넌스 연구를 진행하여 논문 및 저서를 산출하였음. 국민 연구의 결과와 공공서비스 분야별 거버넌스 비교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형 및 대형 단계에서 대안적 거버넌스 설계를 위해 시뮬레이션 작업을 본격화할 것임.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소형단계 연구는 ‘국민과 국가의 관계’를 키워드로 하여 ‘한국민 공공적 삶의 변화 양상’을 1차적 대국민 서비스를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 연구 주제였음.

    ○ 소형단계에서 계획되었던 연구내용을 보면 1)한국인의 공공적 삶에 대한 검토: 국민과 국가 관계 지수의 개발 2)한국과 선진국 공공서비스의 제도적 배열 비교 3) 모델링 방법론 개발로 대형연구에서 수행할 처방적 연구 기반 마련 등이었음. 계획되었던 연구범위를 보면 의료, 복지, 교육 등 1차 대국민 국가서비스를 분석단위로 하고 한국과 선진 국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음.

    ○ 연구계획에 대비한 연구 진척 상황을 검토할 때, 그 달성의 정도는 아래와 같으며 분야별 계획을 충실히 달성하였다고 평가함. 달성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음.

    • 한국과 선진국 공공서비스의 제도적 배열 비교
    - 본 연구팀은 OECD 선진 국가들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여 7개 1차 대국민서비스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제도적 배열과 그 성과에 관한 국제 비교 DB를 구축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서비스 분야와 대상 국가를 중형단계에서 확장해나갈 것임.
    - 공공서비스 영역별 제도적 배열을 보여주며 양적으로 비교가능한 제도적 배열 변수를 구축하였다는 의미가 분야별로 혼재하던 서비스 성과측정의 주요 변수들을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제도적 배열 차원과 서비스 성과 차원의 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 DB를 구축 및 제공하고 이에 분석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여 연구계획을 충분히 달성하였음.

    • 한국인의 공공적 삶에 대한 검토- 국민과 국가 관계 지수의 개발
    - 본 연구팀은 국민과 국가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지수 개발 노력을 경주하여 개별 국민의 공공적 삶 만족도 지표(PPLSI)를 개발하였고 대국민설문조사를 통해 이 지표값을 측정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학술 게재 및 언론에 발표하여 연구계획을 무난히 달성하였음.
    - 한국인의 공공적 삶을 검토할 기초 자료로서 대국민설문조사를 두 차례 시행하여 교육, 보건의료, 치안, 노인복지, 보육 및 아동복지, 고용지원서비스 분야에 대한 국민인식과 함께 정부 및 공무원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장기 연구 DB를 구축하여 계획되었던 연구내용 및 연구범위 맞는 결과를 도출하였음.

    • 모델링 방법론 개발로 대형연구에서 수행할 처방적 연구 기반 마련
    - 본 연구팀은 공공서비스 전달 체계의 재설계를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판단, 대표적인 시뮬레이션 기법인 행위자기반모형을 방법론으로 선정하고 이 분야 전문가를 연구진으로 구성하였으며 3차 년도에는 ABD 학생을 행위자기반모형 연구를 위해 협력 기관인 Arizona Univ.의 Center for Policy Informatics로 파견하였음.
    - 행위자기반모형을 환경, 위험관리 등의 분야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논문을 유수의 국제저널에 다수 발표하여 연구계획을 달성하였으며 향후 중형단계에서 본격적으로 적용한 방법론적 기초를 확보하였음.

    ○ 본 연구팀은 2011년부터 마련된 홈페이지(www.redesign-gov.or.kr)를 통해 대국민 설문조사 DB, 공공서비스 분야별 제도적 배열 및 성과 지표 DB, 문헌자료, 통계자료 등 연구팀이 구축한 방대한 양적, 질적 데이터를 일반에게 공개하고 있음. 일반과 공유하고 누구나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축자료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함. 연구진행 내용과 국내외의 교류협력 등을 소개하고 있어 향후 다양한 관련 연구자들의 자료공유 및 네트워킹의 초석이 될 것임.

    ○ 본 연구팀에서 실시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는 학술적 장에서 발표됨과 동시에 언론을 통해 보도되어 사회적으로도 국정 운영에 관한 우리 국민의 시각을 알리는데 기여한 바 있음.

    ○ 또한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개별 국민 공공적 삶 만족도 지표’(Personalized Public life Satisfaction Index: PPLSI)는 한국 국민의 공공적 삶의 만족도를 실제로 측정하고 GINI계수를 계산하여 개별 국민 사이의 공공적 삶의 불평등도를 파악하는 척도임. 이러한 연구내용을 정부가 국정 운영의 기조 변화, 정책 지향의 전환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음. 특히 현 정부가 추진하는 정부 3.0은 정부의 운영방식을 국가 중심에서 국민 중심으로 바꾸는 전면적 패러다임 전환을 추구하고 있음. 안전행정부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정부 3.0의 구체화 작업에 본 연구팀의 PPLSI를 정부가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국민 인식의 체계적 파악과 국정에의 반영 자료로 삼을 것을 정책 제안하고 이를 추진 중에 있음.
  • 색인어
  • 공공적 삶, 국가와 국민 관계지수, 공공적 삶 만족도 지표, 국가기능, 공공서비스, 제도적 배열, 기능범위, 소통구조, 공적 기술, 거버넌스, 다극성, 공적 문제해결 능력, 국가와 국민간 경계, 국가 비교연구, 행위자기반모형, 국정재설계, 국민행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