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령통합 고령화 사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209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순둘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혜지(서울여자대학교)
이혜원(이화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SSK 사업은 한국사회의 위기진단과 발전방안을 수립하여 미래 한국사회를 예측설계하는 기반을 조성하며, 이를 통해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도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발생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위험을 진단하고 그 발전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는 그 목적이 있다.
    우리사회의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은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연령범주와 연령규범에 근거한 사회정책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김경호, 2005).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마련된 연령분리적 사회구조에서 노년기는 은퇴 후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여가를 즐기는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노인을 모든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사회에 순응하는 존재로 보고 사회활동에 법적, 제도적으로 여러 제한이 가해졌다. 그러나 인구 고령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미래 사회에서는 노인 개개인의 역량을 인정하는 연령통합적 관점이 요구된다. 즉 미래의 성장동력으로서 고령인구에 대한 선택적 친화력이 높은 사회구성원리인 연령통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정경희, 2004). 연령통합적 사회에서는 특정 사회적 역할로의 진입과 퇴장, 수행 여부가 연령에 의하여 결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개인의 욕구와 능력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자율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의 영위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고령사회에 대한 대책 및 접근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연령통합적 사회로 패러다임을 전환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초점이 맞추어져 온 개인, 사회, 정치, 경제, 지역사회적 측면에 연령통합의 철학적 관점이 제시되면서 유연한 정책적 아이디어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둘째, 다양한 연령간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킴으로써 연령차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저해시킬 수 있다. 차별주의의 한 형태로 특정 연령층에 대한 부정적 관점, 현실과 괴리된 편견을 타파하고, 다양한 연령층이 상호작용하여 다양한 사회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은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셋째, 학문적 차원에서 본 연구는 생산적 노년에 대한 논의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령통합적 관점에 근거한 현 사회제도의 분석 및 연령통합적 사회구현을 위한 제도적 정립 방안의 제시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노년기의 사회 및 인적 자본의 학문적 쟁점을 부각시키며, 생산적 노년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확대를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팀은 1단계에서는 노인복지와 심리학을 전공하는 학자들로 팀을 이루어 그간 고령화 사회 대책의 문제점을 정책적, 실천적, 생물학적 노화와 인지적 노화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근거를 찾아보고자 한다. 2단계에서는 팀을 더욱 확장하여 경제, 정치, 사회학 전공 학자들과 함께 고령화 사회에 대한 한국사회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3단계에서는 건축학, 법학 등의 전공 학자와 연령통합사회의 구체적 실천적인 대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장기집단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생애주기적 관점에 근거한 연령분절적 접근은 우리사회의 모든 제도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경제, 정치, 사회, 복지를 비롯한 다양한 제도를 대상으로 연령분절적 속성을 규명하고, 이들 속성의 한계 및 부정적 영향력을 분석하며, 연령통합적 제도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방법론을 제시하는 작업은 학문분야의 방대성과 연구진행과 다단계성으로 인해 장기연구가 담보되어야 한다.
  • 한글키워드
  • 고령화사회,패러다임 전환,연령통합,사회구성원리 ,생애주기적 관점,노인복지,인지노화
  • 영문키워드
  • principle of social construction,life cycle perspective,elderly welfare,cognitive aging,aging society,paradigm shift,cross-cultural study ,age integr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와 함께 발생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위험을 진단하고 그 발전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사회의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은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연령범주와 연령규범에 근거한 사회정책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마련된 연령분절적 사회구조에서 노년기는 은퇴 후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여가를 즐기는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노인을 모든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사회에 순응하는 존재로 보고 사회활동에 법적, 제도적으로 여러 제한이 가해졌다. 그러나 인구 고령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미래사회에서는 노인 개개인의 역량을 인정하는 연령통합적 관점이 요구된다. 즉 미래의 성장동력으로서 고령인구에 대한 선택적 친화력이 높은 사회구성원리인 연령통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령통합적 사회에서는 특정 사회적 역할로의 진입과 퇴장, 수행 여부가 연령에 의하여 결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개인의 욕구와 능력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자율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의 영위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고령사회에 대한 대책 및 접근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연령통합적 사회로 패러다임 전환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살펴보았다.
  • 영문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various risks associated with population ageing in Korea and proposes specific action plans to address the challenges and fuel a paradigm shift by establishing relevant development schemes. The rapid aging of Korean society questions the validity of age categories and age norms based on life course perspective. In an ageing society, old age population is defined as a group of people enjoying leisure time after retirement. Those people in the old-age category acclimate themselves to the new surroundings and are engaged in a social life with limitation. Age-integrated views are required to empower the elderly facing the accelerating aging society and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ng-term. These individuals are recommended to make major life choices based on their own needs and abilities, not by their ag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ssue of life course perspective, reviews countermeasures regarding an aging society, and suggests a paradigm shift towards age-integrated society, all of which would provide a platform to prepare for the aging Korean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함께 발생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위험을 진단하고 그 발전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사회의 급격한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은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연령범주와 연령규범에 근거한 사회정책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마련된 연령분절적 사회구조에서 노년기는 은퇴 후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여가를 즐기는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노인을 모든 정책과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사회에 순응하는 존재로 보고 사회활동에 법적, 제도적으로 여러 제한이 가해졌다. 그러나 인구 고령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미래사회에서는 노인 개개인의 역량을 인정하는 연령통합적 관점이 요구된다. 즉 미래의 성장동력으로서 고령인구에 대한 선택적 친화력이 높은 사회구성원리인 연령통합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령통합적 사회에서는 특정 사회적 역할로의 진입과 퇴장, 수행 여부가 연령에 의하여 결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개인의 욕구와 능력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자율적인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의 영위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고령사회에 대한 대책 및 접근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연령통합적 사회로 패러다임 전환과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살펴보았다.
    1차년도는 한국 사회 위험요인으로서 고령화 사회의 정체성과 의미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정체성 파악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령화 사회에 대한 대비의 필요성과 심각성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문헌들을 중심으로 그간 우리 사회에서 고령화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심각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고령화 또는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되어 실시되었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노인의 삶의 질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전국노인생활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고령화 사회에 대한 한국인의 위험지각정도(인식)에 대해 일반시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서베이를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2차년도는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본 고령화 사회대책의 현황과 문제점 검토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노년기의 심리•사회적 정체와 분리를 전제로 하고 있는 생애주기적 관점이 고령화 사회 노인의 사회자본과 인적자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개인들의 삶의 질 변화와 경제•사회•교육제도 및 법을 고찰하고 그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 은퇴준비도에 관련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생애주기적 관점에 기초한 사회적 환경이 노인의 주관적 신체건강, 정신건강, 인지적 건강, 지적 역량, 경제적 역량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그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고, 사회적 환경이 노인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접근을 이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실험연구를 통하여 기억, 언어, 주의, 지각 등 다양한 인지 영역에서 연령 증가에 따른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3차년도는 연령통합적 관점으로 패러다임 전환: 연령통합 사회구성원리의 근거에 대한 주제를 가지고 연령통합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경제, 정치, 사회제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연령통합적 사회구성원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정책설계맥락에서 연령통합에 대한 제도적 맥락 분석을 통해 연령통합의 사회구성원리 근거를 모색하고자 1차년과 2차년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연령통합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연령통합적 접근의 정당성에 대한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쟁점맥락에서 노인에게 연령통합의 의미, 연령통합적 사회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것들에 대하여 노인복지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사회적 맥락에서 생활시간조사결과 자료를 가지고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지적 측면, 노인의 인지활동을 제한하는 물리적 환경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차년도 문헌조사에서는 고령화 연구 동향 분석과 고령화 사회에 관한 인식과 대책을 신문기사를 통한 동향 분석을 실시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한 긍정, 부정 측면을 찾아보고 그 대안을 찾아보았다. 2차 자료 분석에서는 전국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이유를 연도별 만족도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향후 노인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였다. 서베이 조사에서는 할당표집으로 추출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한 위험 인식을 살펴봄으로 노인에 대한 바른 이해와 노인 및 고령화 사회에 대한 긍정적 태도형성을 위한 고령화 불안 감소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해서는 청년과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지각, 주의, 기억, 언어기능을 측정하는 심리검사 및 실험을 실시하여 연령증가에 따른 인지 세부영역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고, 한국어 단어의 철자 정보 산출에서 노화의 영향을 검토하며, 노인들이 청년에 비해 철자 정보를 산출하는 능력이 감퇴되는 것을 밝혔다.
    2차년도 문헌조사에서는 우리나라, 미국, 네덜란드 3개국의 고용상 연령차별 금지법의 고찰을 통해 연령통합을 위한 법적 방안을 찾아보았다. 또한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사람들의 사회적 자본에 대해 문헌에서는 어떻게 고찰하고 있는지 국내 저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사회적 자본은 대상인구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히고 인구 대상의 사회적 자본파악과 향후 이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부각하였다. 양적 접근으로는 먼저, 2차 자료 분석으로 전국노인생활실태조사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과 은퇴자의 노후 준비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노후생활비마련 주체, 노후에 대한 경제적 준비 및 마련 방법 등에서 변화를 보이고 있는 것을 밝혔다. 또한 1차년도에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세대별 부양의식 및 성역할 인식 유형 분석을 통해 세대간 연령규범 유형의 차이를 고찰하여 세대간 결속과 연령통합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서베이 조사에서는 할당표집으로 추출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과 고용 및 복지서비스 인지의 관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과의 관계 등에 대하여 청년, 중년, 노년집단 비교를 통하여 살펴보고, 각 연령집단에 따라 사회적 자본 확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 노인들의 연령규범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의 연구에서는 세대간 연령규범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이 다름을 파악하고 연령통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사회적 자본 측정에 대하여 요인분석과 퍼지셋 분석으로 접근한 연구에서는 연령통합을 위해 사회적 자본이 중요하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한국인들의 사회적 자본 현황을 측정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질적연구로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대상 인터뷰를 실시하여 한국 중산층 노인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이해하고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실험연구에서는 1차년도 대상에서 중년층을 대상으로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노화에 따라 쇠퇴되는 인지 기능이 있는 반면, 향상되는 인지 기능도 있는 것이 관찰되었고, 인지 기능별로 노화의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3차년도 정책설계맥락에서는 연령통합의 제도적 맥락의 분석을 위하여 문헌고찰과 서울시 조례분석을 통해 연령통합적 사회구성원리의 근거를 찾고자 하였다. 쟁점맥락 파악을 위한 델파이조사에서는 연령통합적 접근의 정당성에 대한 근거를 찾기 위하여 노인에게 연령통합의 의미, 연령통합적 사회구현을 위해 요구되는 것들에 대하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사회적 맥락분석을 위해서는 2차 자료인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애주기별 시간사용 차이를 분석하여 연령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밝혔다. 실험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운 정보 산출에서 노화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연령통합적인 디지털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청년을 대상으로 컴퓨터 환경에서 글자체가 읽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탈네모틀 글자체보다 네모틀 글자체가 효율적인 한글 정보 처리를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2차년도에 계획되었던 노화에 대한 신념과 인지 수행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로 노화 고정관념의 활성화가 기억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노화 고정관념의 활성화가 기억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궁극적인 사회구성원리는 연령통합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라고 보며,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정책적인 방안 등을 찾아 한국 사회발전에 공헌하게 될 것으로 본다.
  • 색인어
  • 고령화 사회 / 연령통합 / 고령화 사회 위험 인식 / 사회적 자본 / 인적 자본 / 은퇴준비 / 철자 정보 산출 / 연령별 인지 기능 / 노화 고정관념 /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