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근대초 한국의 법과 사회 변동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0-32A-B00221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문준영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영록(조선대학교)
권재문(숙명여자대학교)
조지만(아주대학교)
김창록(경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의 목적
    이 연구는 현존하는 한말의 판결원본철을 활용하여 법제사․법사회사․법문화사 연구의 시각에서 근대초 한국의 재판사례 및 법과 사회 변화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도달하려는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사판결문을 중심으로 다량의 재판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당시의 법적 분쟁의 종류와 양상, 민사재판의 실제를 해명하고 민사법과 법생활을 재구성해본다.
    둘째, 주요 분쟁 유형의 정치․사회경제적 배경, 재판제도의 사회적 기능, 소송당사자․대리인 및 재판담당 관리의 인구적․직업적 특질, 법적 논증과 판단의 특징, 현실에서 작동하고 있는 법규범과 법의식 등에 대한 법사회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셋째, 이상의 작업을 통해 근대초 한국의 법과 사회의 실상을 입체적으로 묘사하고 이를 서구적 근대법의 침투와 전통법과의 상호 작용,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법문화의 구조적 변화라는 시야에서 조망하고 동아시아 국가들의 사례와 비교 연구한다.
    그 동안 이 시기에 관련된 법제사적 연구는 주로 법령자료를 활용하여 국가제도의 차원에서 법제도를 분석하고 설명하거나, 여러 가지 계몽적 저술, 신문과 잡지의 기사․논설 등을 활용하여 서구=근대법의 학문적․사상적 수용 과정을 해명하는 데 치중하여 왔다. 법제와 법사상의 수준에서의 연구에도 여전히 많은 과제들이 남아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재판사례를 활용하여 당시의 ‘법과 사회’의 실상과 법문화의 구조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려고 한다.

    2. 연구의 필요성
    1) 「한말 민사판결원본철」의 사료적 가치
    재판사례는 제정법의 문언에 박혀있는 법이 아니라 실제 법생활과 재판 속에서 ‘살아 있는 법에 관심을 가지는 법제사․법사회사 연구에서 더 할 나위 없이 귀중한 가치를 가진다. 지난 2005년 법원도서관은 52권 분량의 [구한말 민사판결집](1895~1908년)을 간행하였다. 또한 1889년부터 1918년까지의 민사판결문의 e-Book서비스를 제하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들은 갑오개혁 이후의 민사재판사례에 관한 한 거의 완전한 컬렉션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진은 이 사건을 사장시키지 않고 학술적 연구 성과로 승화시키고자 이 연구를 기획하였다.

    2) 재판사례를 활용한 종합적 연구의 가능성
    [판결집]을 비롯한 민형사 재판사례들은 이 시기의 법과 사회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우리에게 알려준다. [판결집]을 통해 우리는 이 시기의 민사법과 민사재판의 실제, 법규범과 분쟁해결제도의 존재방식, 법적 변증, 법발견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의 법생활과 사회상 역시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 연구는 민사법, 분쟁과 범죄, 재판제도, 재판의 관념과 법의식, 법사회사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3) 연구대상 시기의 법사(法史)상의 전환기적 위치
    이 연구과 관심을 갖는 시기는 전통사회에서 근대적 사회로의 전환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법과 사회에 대한 연구는 근대초 한국사회의 법과 사회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및 일제시대의 법과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 시기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기본적인 과제는 개항 이후 받아들인 서구 근대적 법개념, 법사상, 제도와 전문적 기술 등이 어떻게 한국사회에 수용되고 있었는가 하는 것이다. 주목해야 할 것은, 당시의 재판사례를 통해 한국사회의 고유법을 파악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 시기는 앞 시기와 달라진 점도 있지만, 많은 점에서 앞 시기의 법과 사회를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기는 일본 통치 하에 이루어진 법제의 변화, 식민지적 근대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진다. 그러나 한국사회를 단순히 수동적 객체로서 자리매김해서는 안 되며 한국 사회의 내적 조건으로부터
    전통법에서 근대법으로의 전환과정에서 이루어진 연속과 단절의 계기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4) 다른 동아시아 국가와의 비교 연구의 필요성
    일본에서는 1990년대부터 메이지 초기의 재판사례를 판결을 분석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대만의 경우 식민지 법원 기록의 디지털 아카이브가 구축되어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학제간 공동연구가 수행되었다. 중국에서도 청말(1906년)의 민형사 판결문을 모은 근대사법판결총편(近代司法判決叢編) 시리즈가 간행되고 있다.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국제적 연구동향에 대응하면서 한국의 역사적 경험을 이론화시키고 국제적 공동연구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과 비슷한 경험을 가지는 일본, 대만의 경우 현지조사를 통해 연구 동향과 기록물 보존․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공통의 주제에 관한 국제비교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이 연구는 한국 근대법사 연구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었던 민사법사, 법조사, 법사회사에 관한 연구 공백을 채우고 근대초기 한국법의 총체적 모습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의 산출물은 향후의 근대초 한국에서의 (법)사회사 연구, 한국법의 근대화와 식민지법제도의 성립과정, 민형사법제와 민사․상사관습 연구, 사법제도사 연구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 가치가 높다.
    아울러 이 연구는 한국 법문화 연구에 기여한다. 한국의 법문화에 관한 연구는 서구의 법문화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 이유를 종종 전통적인 유교적 법문화의 지속, 식민통치 및 특수한 근대화의 경험 등으로 설명하곤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법문화가 근대적 조건에 어떻게 반응하였는가 하는 점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과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산출물은 사회경제사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사실 법사회사는 사회사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이지만, 법사학계는 물론 역사학계에서도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근대 초 한국의 법적 세계가 어떤 모습과 논리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해명할 수 있게 된다면, 향후 한국법과 역사에 관심을 가지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 유용한 지식과 토론거리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또한 풍부한 사회경제적 정보를 담고 있는 재판자료를 활용한 연구를 촉발시키는 계기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한말 판결문 및 일제시대의 판결문의 학술적 활용,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에 관해 유용한 정책적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 연구와 같은 연구가 일찍 시도되지 못한 배경에는 연구자들이 자료에 접근하기가 극히 곤란하였다는 사정이 있다. 「구한말 민사판결집󰡕이 공개되었으나, 일제시대의 다량의 판결문들은 여전히 법원과 국가기록원의 문서소장고에서 잠자고 있다. 본 연구진은 연구과정에서 조사․체험한 것과 일본․대만 등의 문서보존․관리 및 DB구축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이 문제에 관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려고 한다.

    2. 법학교육에서의 활용

    연구책임자를 비롯한 연구원들은 각 대학에서 기초법, 한국법제사, 민사법 담당하고 있으므로, 연구결과는 곧바로 교육에 연계될 수 있다. 연구결과는 법학부와 대학원과정,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한국근대법사, 한국법사상사 교육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것이며, 단행본과 자료집은 각 대학에서 한국법사 강의교재로 쓰이게 될 것이다. 또한 법사회학과 비교법 교육에서도 한국의 사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참고자료가 된다.
  • 연구요약
  • 1. 연구의 개요
    이 연구는, 당시의 민형사재판제도 운영의 실제 및 그 이전과 이후의 시기와 대비되는 특징을 파악하고, 민사재판사례의 내용 분석을 통해 당시의 민사법과 법생활을 재구성하며, 분쟁과 범죄, 법체계와 재판제도에 관하여 법사회학적 분석을 행하고, 이 시기의 법과 사회, 법문화 변동을 동아시아 다른 나라의 역사적 경험과 비교분석한다. 따라서 기본적 연구 방법은 연구주제와 관련된 재판사례 및 문헌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정리하고, 법제사, 법사회사, 법문화사 연구의 시각에서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이다.

    2. 자료의 정리와 분석
    이 연구의 핵심적 자료군은 법원도서관이 발간한 󰡔구한말 민사판결집󰡕(전 52권, 2005)에 수록된 대략 5,000건의 한성재판소, 고등재판소, 평리원의 민사판결문이다. 이외에도 다른 지방재판소의 판결문, 경성․인천의 일본영사관 및 이사청의 판결기록을 참고한다. 형사재판기록으로는, 1897년부터 1908년까지 고등재판소와 평리원이 내린 판결서를 분석한다. 또한 통감부 시기의 민사판결문 중에서 연구에 참고가 되는 재판례를 선별하여 앞 시기의 재판과 비교한다.

    판결문은, 관할법원, 재판선고일과 사건명, 당사자, 소송대리인, 판결요지, 사실 및 이유, 사회경제적 정보 등을 중심으로 정보를 추출하여 색인화한다. 기초작업의 결과를 토대로 민사분쟁과 범죄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시도하고, 사건종류별로 분석을 통해, 주요 분쟁의 유형과 성격, 당해 사건에 적용된 법리, 사안과 관련된 법제, 정부정책, 관행, 사회적 배경을 해명한다.

    3. 연차별 연구주제

    1) 1차년도 연구(기초연구): 「근대초 한국의 법과 사회: 민사분쟁과 범죄의 분석」
    1차년도의 연구의 목표는 자료에 대한 기초적 분석을 수행하고 아래와 같은 세부 연구주제를 진행하는 것이다.
    ① 민사재판제도의 실제 및 민사분쟁에 대한 통계적 연구
    ② 부동산법제의 변동과 부동산 분쟁
    ③ 거래사회와 분쟁: 채송, 전당, 거래 법제와 분쟁의 양상
    ④ 근대초의 개인과 가족: 신분․가족․상속에 관한 재판사례 연구
    ⑤ 내국인․외국인간 교섭사건과 외국인의 생활상
    ⑥ 근대초 한국에서의 죄와 벌

    2) 2차년도의 연구(심층․비교 연구): 「근대초 한국의 법과 문화: 법질서와 법문화의 구조변동 연구」
    2차년도의 연구는 재판사례에 대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그 법사회사적․법문화사적 의미를 피악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는 근대초 한국의 사회변동이 당시의 분쟁과 법적 세계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총체적으로 규명하는 한편,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의 법질서와 법문화의 변화를 구조적으로 해명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한국의 경험을 일본․대만․중국의 사례와의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특수성과 보편성을 파악한다.
    ① 대한제국의 국법질서 하의 민사법과 재판: 민사적 ‘죄’, 정리(情理), ‘권리’의 공존과 착종
    ② 분쟁과 범죄를 통해 바라본 근대초 한국의 법적 세계
    ③ 법제관료와 법률직업층의 초기적 형성
    ④ 근대법 수용의 사회적․사상적 기초
    ⑤ 법률용어와 소송관계 문서의 텍스트 분석: 전통적 ‘사송’과 근대적 ‘소송’ 사이에서
    ⑥ 근대초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사회변동과 법: 분쟁과 재판의 비교 법제사적 연구

    3) 2년간 연구성과의 총화: 연구논문, 단행본, 자료집
    연구진이 학술진이 발표한 연구논문과 국내외 학자들의 원고를 묶어 단행본을 출간할 계획이다. 1차년도의 연구성과는 󰡔근대초 한국의 법과 사회: 민사분쟁과 범죄󰡕(가제), 2차년도의 연구성과는 󰡔근대초 한국의 법과 문화: 법질서와 법문화의 구조변동󰡕(가제)이라는 제목의 단행본으로 각각 총화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진이 수집하고 연구에 활용한 법제사료 중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고 후속연구와 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선별하여 󰡔한국 근대법사 자료집󰡕(가제)을 발간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법령자료 외에, 주요한 공문서․판결문․법률관계 기사․논설, 통계자료를 수록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한국통감부,갑오개혁,식민지,법근대화,재판제도,형사소송,형법,민사분쟁,대한제국,근대법,한국법,조리,관습,법문화,법과 문화,형벌 법과 사회,범죄,형법대전,민법,민사소송,재판소구성법,식민지법
  • 영문키워드
  • the Residency-General of Japan in Korea,judicial system,Court Organization Law of 1895,the Korean Empire,colonial law,modernization fo law,Colony,Gap-o Reform,custom,legal culture,law and history,law and culure,law and society,punishment,crime,civil dispute,the Penal Code of Korea,modern law,Korean law,equity,criminal law,civil law,criminal procedure,civil procedur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하는 한말의 민사판결원본철을 활용하여 법제사․법사회사․법문화사적 연구의 시각에서 근대초 한국에서의 법과 사회 변화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1895년 재판소구성법에 의해 새로운 재판제도가 도입되었다. 1908년부터는 1907년 12월에 제정된 재판소구성법에 의해 일본에 의해 재판소가 완전히 장악되고 재판법규와 실무가 급격히 일본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부에 의해 재판제도가 운영되고 있었던 1895년부터 1907년까지 각 재판소의 민사판결서철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의 주된 자료는 법원도서관이 발간한 [구한말 민사판결집](전 52권, 2005) 및 법원도서관의 「구한말 민사판결문」 서비스를 통해 입수가능한 약 5,000건에 달하는 민사판결문이다. 그중 제1심인 한성재판소의 판결문이 4,500건을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4가지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당시의 민사재판제도 운영의 실제 및 그 이전과 이후의 시기와 대비되는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민사재판사례의 내용 분석을 통해 당시의 민사법 규범과 법생활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셋째, 민사분쟁의 종류와 원인, 법원의 사건처리 방식, 법체계와 재판제도에 관하여 법사회학적 분석을 행한다. 넷째, 법과 사회, 법문화의 변동을 동아시아 다른 나라의 역사적 경험과 비교분석한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민사판결자료를 활용하여 주요한 유형의 분쟁의 실태와 사건처리결과를 계량적으로 파악하려 하였다. 민사소송사건에 관련된 기초적인 재판통계 자료를 작성하는 한편, 전답, 가옥, 산림, 묘지 등 부동산 관련 분쟁,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는 채송 등의 양상을 살펴보고, 부동산 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던 전당(典當)의 실제, 가옥 전세관행의 실태를 보여주는 재판례, 이혼・입양・종중・상속 등 친족・상속에 관한 재판례를 추출하여 기초적인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 재판소와 일본 영사관 등에서 취급된 내외인 교섭사건을 분석하여 그 실태 및 사건처리방식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2차년도의 연구는 심층적인 사례연구와 판결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서구법과의 접촉은 ‘민법’이라는 새로운 법영역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갑오개혁기에 도입된 새로운 형식의 민사재판제도는, 민사와 형사의 분리, 상소절차를 명확히 한 것, 대인(代人)에 의한 소송대리 허용, 소장․답서․판결서․명령서 등 새로운 서면과 기재방식을 도입한 것, 미흡하기는 해도 판결서에 이유를 적시하게 하여 재판소의 판단근거를 가시화시킨 것, 재판집행 방법의 정비한 것 등 전통적인 재판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것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전통적인 사송(詞訟)의 관행과 큰 차이가 있었다. 새로운 제도가 중앙과 지방의 재판에서 균일하게 관철되지는 않았고, 재판사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도 구태의연한 점이 있었지만, 당시 판결서를 보면 새로운 형식과 제도하에서 전통적인 사송(詞訟)의 관행과 관념이 유지되는 가운데, 새로운 제도의 효과가 점진적으로 발현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염두에 두면서, 분쟁과 판결의 이면에 담긴 법적․사회적 맥락, 재판 및 판결에 관한 관념과 논리 등을 해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판결서의 심층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의 법질서와 법문화의 변화를 구조적으로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① 대한제국의 국법질서 하에서 민사법과 민사재판이 가지는 위상과 의미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당시의 판결문과 법령에서 나타나는 민사적 ‘죄’, 정리(情理), 권리와 의무 관념들을 검출하고, 새로운 관념과 공존・착종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② 당시의 사회갈등과 사회문제, 분쟁당사자의 인구적 구성, 인민의 법의식과 법 동원 방식 등을 통계자료와 사례를 통해 묘사하고 그 법사회사적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③ 판결서에서 판사, 서기, 대인의 명단을 추출하여 법실무가층의 배경과 역할을 해명한다. ④ 1906~1907년의 민사재판에서 근대민법 개념을 받아들이고 변용시키는 실제 모습을 파악하고 한국사회의 내적 조건이 어떠한 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해명한다. ⑤ 판결서에 등장하는 각종 법률용어, 소장․소답․판결서 등 소송관계 문서의 형식과 서술방식 등을 분석하여, 재판에 대한 관념, 법적 논변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한다. ⑥ 근대초 한국과 비슷한 시기 일본, 대만, 중국의 경험을 법적 분쟁의 양상과 분쟁해결제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urt records, especially the original copies of court decision ruled about civil litigations from 1895 to 1907. Modern Korea received partly the western judicial system by promulgating the Court Organization Law and the Rules of Civil and Criminal Procedure in 1895. However the substance of the trial did not differ from the traditional trial essentially. After the Japanese imperialists' pillage of sovereignty, modern Korea was forced to experience a deep change of legal system in very short times that Meiji Japan had done for many decades. The court decisions of Korean court from 1850 to 1907 include abundant and valuable informations which tell us what happened during the very transitional period from tradition to colonial modern. Using voluminous court record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change in law and society of early modern Korea. The main materials are the compilation of court decisions in civil cases in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舊韓末 民事判決集) published by the Court Library in 2005, and the digital archives of the civil court decisions of modern Korea made by the Court Library(http://khd.scourt.go.kr/main/index.jsp). The number of court decision is about five thousands. Among them there are about 4500 of decisions of Hanseong Court(漢城裁判所, the Seoul District Court). The research team proceeded this study focusing 4 points. The first is to understand the realities and features of the administration of civil court system. The second is to reconstruct the legal norms, customs, and legal lifes within the contents of civil cases. The third, to explain causes, natures and kinds of civil disputes, and the way of handling cases of courts from legal sociological perspective. The fourth,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 and dynamics of the transformation in law and society of early modern Korea,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other East Asian counties. In first-year study the research team tried to capture the quantity and result of each kind of disputes such as dispute about real property, money loan, mortgage, rent of land and house, family affairs. the official's wrongful act, and the dispute between Korean and foreigner. The second-year study focused on the deep analysis of some significant case and the text of court decis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legal and social context of disputes, and concept and logic of judgement. The main contents of research are as follow. 1. To understand the position and significance of civil norm and trails under the legal order of the Great Korean Empire. This task need to analyse out the traditional concepts of civil wrongs and responsibility, circumstances(情) and nature of things(理), and to explain how they were complicated with western concept of right and duty. 2. To describe the cause of disputes and troubles, demographic feature of litigant parties, their legal consciousness and the mode of mobilizing law and court. 3. To examine the background, career and role of judges, clerks, and professional advocates. 4. To examine how the Korean legal practitioners understanded and used the principles and rules of modern civil law after the Japanese legal advisors controled the court administration. 5. To analyse the legal terms and expression with written decisions, and, then,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legal argument and reasoning of judges. 6. To compare modern Korea's situations and experiences with contemporary Japan, China and colonial Taiwa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하는 한말의 민사판결원본철을 활용하여 법제사․법사회사․법문화사적 연구의 시각에서 근대초 한국에서의 법과 사회 변화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1895년 재판소구성법에 의해 새로운 재판제도가 도입되었다. 1908년부터는 1907년 12월에 제정된 재판소구성법에 의해 일본에 의해 재판소가 완전히 장악되고 재판법규와 실무가 급격히 일본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부에 의해 재판제도가 운영되고 있었던 1895년부터 1907년까지 각 재판소의 민사판결서철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 연구의 주된 자료는 법원도서관이 발간한 [구한말 민사판결집](전 52권, 2005) 및 법원도서관의 「구한말 민사판결문」 서비스를 통해 입수가능한 약 5,000건에 달하는 민사판결문이다. 그중 제1심인 한성재판소의 판결문이 4,500건을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4가지 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당시의 민사재판제도 운영의 실제 및 그 이전과 이후의 시기와 대비되는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민사재판사례의 내용 분석을 통해 당시의 민사법 규범과 법생활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셋째, 민사분쟁의 종류와 원인, 법원의 사건처리 방식, 법체계와 재판제도에 관하여 법사회학적 분석을 행한다. 넷째, 법과 사회, 법문화의 변동을 동아시아 다른 나라의 역사적 경험과 비교분석한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민사판결자료를 활용하여 주요한 유형의 분쟁의 실태와 사건처리결과를 계량적으로 파악하려 하였다. 민사소송사건에 관련된 기초적인 재판통계 자료를 작성하는 한편, 전답, 가옥, 산림, 묘지 등 부동산 관련 분쟁,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는 채송 등의 양상을 살펴보고, 부동산 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던 전당(典當)의 실제, 가옥 전세관행의 실태를 보여주는 재판례, 이혼・입양・종중・상속 등 친족・상속에 관한 재판례를 추출하여 기초적인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 재판소와 일본 영사관 등에서 취급된 내외인 교섭사건을 분석하여 그 실태 및 사건처리방식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2차년도의 연구는 심층적인 사례연구와 판결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서구법과의 접촉은 ‘민법’이라는 새로운 법영역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 갑오개혁기에 도입된 새로운 형식의 민사재판제도는, 민사와 형사의 분리, 상소절차를 명확히 한 것, 대인(代人)에 의한 소송대리 허용, 소장․답서․판결서․명령서 등 새로운 서면과 기재방식을 도입한 것, 미흡하기는 해도 판결서에 이유를 적시하게 하여 재판소의 판단근거를 가시화시킨 것, 재판집행 방법의 정비한 것 등 전통적인 재판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것이 없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전통적인 사송(詞訟)의 관행과 큰 차이가 있었다. 새로운 제도가 중앙과 지방의 재판에서 균일하게 관철되지는 않았고, 재판사무를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대응도 구태의연한 점이 있었지만, 당시 판결서를 보면 새로운 형식과 제도하에서 전통적인 사송(詞訟)의 관행과 관념이 유지되는 가운데, 새로운 제도의 효과가 점진적으로 발현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차년도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염두에 두면서, 분쟁과 판결의 이면에 담긴 법적․사회적 맥락, 재판 및 판결에 관한 관념과 논리 등을 해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판결서의 심층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기의 법질서와 법문화의 변화를 구조적으로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① 대한제국의 국법질서 하에서 민사법과 민사재판이 가지는 위상과 의미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당시의 판결문과 법령에서 나타나는 민사적 ‘죄’와 정리(情理)의 관념, 서구적 법-권리의 요소들을 검출하고, 그 공존과 상호 착종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② 당시의 사회갈등과 사회문제, 분쟁당사자의 인구적 구성, 인민의 법의식과 법 동원 방식 등을 통계자료와 사례를 통해 묘사하고 그 법사회사적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③ 판결서에서 판사, 서기, 대인의 명단을 추출하여 법실무가층의 배경과 역할을 해명한다. ④ 이 시기의 법과 재판에서 서구 근대법을 받아들이고 변용시키는 실제 모습을 파악하고 한국사회의 내적 조건이 어떠한 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해명한다. ⑤ 판결서에 등장하는 각종 법률용어, 소장․소답․판결서 등 소송관계 문서의 형식과 서술방식 등을 분석하여, 재판에 대한 관념, 법적 논변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한다. ⑥ 근대초 한국과 비슷한 시기 일본, 대만, 중국의 경험을 법적 분쟁의 양상과 분쟁해결제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에서 활용한 한말의 민사판결서철는 한국 근대법사 및 법사회사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방대한 판결자료를 활용한 연구의 결과는, 한국 근대법사 연구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었던 민사법사, 법조사, 법사회사에 관한 연구 공백을 채우고 근대초기 한국법의 총체적 모습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한국법의 근대화와 식민지법제도의 성립과정, 민형사법제와 민사․상사관습 연구, 사법제도사 연구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 가치가 높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해 민사분쟁과 판결, 민사 관행・관습에 관한 풍부한 사료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 확보된 자료들은 법령 자료와 일제에 의해 조사된 자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자료적 한계를 일거에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시기의 민사재판에서는 신식제도의 형식 아래 조선시대의 재판 관행과 관념이 지속되고 있었다. 당시의 판결서들은 전통적 재판에서 근대적 재판으로의 이행이 가지는 의미와 함께 전통적 재판의 성격과 논리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당시 절대다수의 판결은 사실에 의해 권원의 입증하거나 계약문서에 표명된 약정의 이행을 명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사리(事理)에 입각한 평가와 판단이 이루어지고 당사자에 대한 도덕적 비난과 훈계를 하기도 한다. 판결에서 제정법규가 인용되는 예는 극히 드물며, 간혹 민간 관행을 언급하는 것도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사리, 경위(涇渭)와 통하고 있고, ‘관습법’을 불문의 법원(法源)으로 간주하고 확인된 관습법적 규칙에 법원의 판단을 구속시키는 방식으로 판결이 내려지지는 않았다. 또한 판결에서 판단기준으로 삼은 관행 및 그에 대한 법적 평가를 추출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항상 ‘적법/위법’을 가리는 규칙으로서의 자질을 갖고 있지는 않으며, 여전히 다의적으로 해석될 여지를 품고 있다. 이는 한국의 전통법 관념에서 이른바 ’관습’, ‘관행’의 성격과 존재양태와 '관습법' 개념 사이에는 미묘한 부조화와 긴장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과, 향후의 관습 연구에도 이 점을 인식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물론 판결들이 증서와 문권, 법문과 사리에 의거하여 제시하는 결론들을 훗날 민법상의 원칙이나 규정, 혹은 ‘관습’으로서 확인된 것과 비교할 때, 크게 어긋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책임 혹은 과실을 가리고 논증하는 방식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다수인이 과실과 책임이 서로 얽혀있거나, 책임을 귀속시킬 자가 특수한 지위에 있거나 부재한 경우에 그러한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사례에 대한 판결들은 권리와 의무의 확정 오늘날에 비해 훨씬 관계적이며 상황 의존적으로 결정되었으며, 분절적이기보다 종합적 해결을 도모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서 전통적 민사재판에서의 재판관행, 재판규범, 법적 논증구조의 해명에 한 발 더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전통적 민사재판이 전통중국의 재판과 상당히 흡사하면서도 다른 점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통중국의 재판은 이른바 ‘정리(情理)에 의한 계유(戒諭)적 조정(調停)’의 성격을 갖는다고 이야기되는데, 민사판결서을 통해 본 한국적 재판은 중국적 재판과 비슷한 점도 있지만, ‘정리’보다는 ‘사리’(事理)에 입각한, ‘조정’보다는 ‘판결’에 가까운 것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1908년 이후 일제에 의해 일본화된 근대적 재판제도가 도입된 후 한국사회가 보여준 높은 적응력이 실은 이전 시기에 이미 갖춰져 있던 것임을 말해준다. 이는 한국 법문화 연구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던져준다. 한국의 법문화에 관한 종래의 연구는 근대서구의 법문화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 이유를 종종 전통적인 유교적 법문화의 지속, 식민통치 및 특수한 근대화의 경험 등으로 설명하곤 하였다. 또한 전통중국법문화에 대한 설명방식이 한국 전통법문화에 무비판적으로 적용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적 법문화가 근대적 조건에 어떻게 반응하였는가 하는 점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과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진은 한말 판결문 및 일제시대의 판결문의 학술적 활용,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에 관해 유용한 정책적 제안을 하려고 한다. 이와 같은 연구가 일찍 시도되지 못한 배경에는 연구자들이 자료에 접근하기가 극히 곤란하였다는 사정이 있다. 「구한말 민사판결집󰡕이 공개되었으나, 일제시대의 다량의 판결문들은 여전히 법원과 국가기록원의 문서소장고에서 잠자고 있다. 본 연구진은 연구과정에서 조사․체험한 것과 일본․대만 등의 문서보존․관리 및 DB구축 현황 조사를 바탕으로 판결원본철의 보존․이용방안에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려고 한다.
  • 색인어
  • 재판소구성법(1895), 근대한국, 대한제국, 민사재판, 민사판결원본, 민형소송규정(1895), 민사소송법, 민사분쟁해결제도, 재판제도의 근대화, 한국법제의 근대화, 근대법, 민법, 형법대전, 관습법, 민사분쟁, 법과 사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