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래에는 교사의 교수역량과 관련해 ‘반성적 실천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조영남, 2011). 이를 위해 고려할 만한 기법이 바로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이다. 마이크로티칭은 예비교사나 현직 교사들의 수업을 분석하고 교수 기술을 훈련하는 방법으로 주목받아 ...
근래에는 교사의 교수역량과 관련해 ‘반성적 실천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조영남, 2011). 이를 위해 고려할 만한 기법이 바로 마이크로티칭(microteaching)이다. 마이크로티칭은 예비교사나 현직 교사들의 수업을 분석하고 교수 기술을 훈련하는 방법으로 주목받아왔다. 이와 관련해 정태희(2004)는 마이크로티칭을 이용한 발표수업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외국의 경우에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과 관련한 많은 연구들(Amobi & Irwin, 2009; Fernandez, 2010; Fernandez & Robinson, 2006; Mergler & Tangen, 2010; Oliver, 1993)이 진행되어 왔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 과학교육계에서는 예비교사의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마이크로티칭은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수업 장면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과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이크로티칭에 대한 강조는 2010년에 실시된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지표 중 ‘수업행동분석실의 확보 및 활용’과 ‘예비교사 수업수행능력’(교육과학기술부, 2009)과도 연관지을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티칭 절차 중에는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등을 활용하게 되는데, 이들 평가가 가지는 의의는 매우 다양하다. 이렇듯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도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학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한 마이크로티칭 연구(박수경 등, 1992; 손연아 등, 2007)는 수업기술과 수업모형 적용에 관한 것으로 평가적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의 자기평가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본다. dl 연구에서는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조별과제 참여도에 대한 자기평가-타인평가의 일치도’로 정의한 후, Atwater와 Yammarino(1997)의 방식대로 자기평가와 타인평가의 고저(高低)에 따라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네 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는 마이크로티칭 수업 시연에 대한 자기평가와 타인평가 점수가 모두 높은 일치-高 집단, 두 번째는 자기평가와 타인평가 점수가 모두 낮은 일치-低 집단, 세 번째는 자기평가 점수는 높으나 타인평가 점수는 낮은 과대평가 집단, 마지막으로 자기평가 점수는 낮으나 타인평가 점수는 높은 과소평가 집단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 때 타인평가는 동료평가 점수를 활용할 것이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에 대한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는 반면에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예비 과학교사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각각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강경희, 2009; 김성원 등, 2005)은 이루어졌으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관련지어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예비 과학교사들에게서 나타나는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특히 자기평가의 정확도는 스스로가 생각하는 자신에 대한 평가이기 때문에 예비 과학교사로서의 교수 능력을 어느 정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기평가의 정확도는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자기평가의 결과는 예비교사 자신의 자기존중감을 반영할 수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은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자기평가의 정확도가 과제 수행 및 자기효능감 등과 관련성이 있다는 연구(노연희, 손영우, 2011)에서 볼 수 있듯이 자기평가의 결과는 개인의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이크로티칭에서 인식한 자신의 수업실행능력에 대한 자기평가의 정확도와 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의 자기평가 정확도와 과학교수효능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예비 과학교사의 자기평가 정확도와 자기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기대효과
1) 자기평가 정확도를 적용한 과학교수효능감 예측 이 연구를 통해 자기평가의 정확도와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계가 밝혀진다면 향후 교사 양성 교육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분석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자기평가의 ...
1) 자기평가 정확도를 적용한 과학교수효능감 예측 이 연구를 통해 자기평가의 정확도와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계가 밝혀진다면 향후 교사 양성 교육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분석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자기평가의 정확도와 과학교수효능감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다면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2) 자기평가 정확도에 따른 자기존중감 예측 자기존중감은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에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 정확도와 자기존중감 간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다양한 과학교육학 관련 교과목에서 이루어지는 자기평가를 예비교사들의 자아개념 형성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3) 예비교사 교육에서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의 도입 활성화 예비교사 교육에서 다양한 평가법의 도입은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실시한다는 측면 외에도 예비교사들에게 다양한 평가 체제를 경험토록 함으로써 향후 교육현장에 진출했을 때 다각적인 평가를 시도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특히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예비교사 교육에 이러한 평가법의 도입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4) 마이크로티칭 기법의 활용 마이크로티칭 기법은 교수 기술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많이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 외에도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는 동안 다양한 평가법이 도입된다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함에 있어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적용한 교수기법이라는 점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5)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예비교사 양성 촉진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도입은 예비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오늘날 교사에게 요구되고 있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자세는 예비교사들에게도 유효하다고 본다. 예비교사는 학습자이면서 동시에 예비교수자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자세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
연구요약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 연구에 참여할 예비교사들은 아직 교육실습을 수행하지 않은 학생들로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에 관련된 강좌의 수강생들이다. 이 강좌는 마이크로티칭 수업을 지속적으로 ...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 연구에 참여할 예비교사들은 아직 교육실습을 수행하지 않은 학생들로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에 관련된 강좌의 수강생들이다. 이 강좌는 마이크로티칭 수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교과목이기 때문에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고자 한다. 특히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은 이 학생들이 이 교과목을 이수하기 이전에 과학교육론, 탐구학습론 등 과학교육학과 관련된 다수의 교과목들을 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마이크로티칭 등 교수-학습 과정 전반에 걸친 이해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2) 검사도구 마이크로티칭에서의 수업 시연에 대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위한 평가지는 황은희와 백순근(2008), 김성원 등(2005)의 연구에서 제시된 중등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 도구를 재구성한 것으로 각 문항은 리커트 척도를 이용해 작성할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을 알아보기 위해 마이크로티칭 실시와 함께 검사지를 투입할 것이다.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Riggs와 Enochs(1990)의 검사지를 대학생 수준에 맞게 재구성할 것이다. 자기존중감 측정도구는 Coopersmith(1967)의 Self-Esteem Inventory(CSEI)를 번역한 강종구(1986)의 검사지를 적용할 것이다. 이 검사지는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기존중, 타인과의 관계,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의 네 가지 하위 항목으로 되어있다. 3) 분석 방법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도는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각각의 분포에서 중앙값을 이용하여 자기평가 고‧저집단, 동료평가 고‧저집단으로 구분할 것이다. 이 결과에 따라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고집단, 일치‧저집단, 자기평가는 낮으나 동료평가는 높은 경우인 과소평가 집단, 자기평가는 높으나 동료평가는 낮은 과대평가 집단으로 구분한다. 집단 분류 후 집단에 따른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이용할 것이다. 또한 집단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사후다중비교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4) 연구 방법 및 절차 이 연구가 이루어지기 전에 pilot test를 실시할 것이다. 예비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양상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평가 문항이 예비교사들의 생각을 나타내기에 충분한지 점검하고,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 검사 문항의 적절성도 검토할 것이다. 예비검사의 결과를 반영해 연구 방법 및 검사 도구 등을 수정한 후 본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마이크로티칭에 관한 오리엔테이션을 한 주 동안 실시될 것이다. 수업지도안 작성과 수업 시연,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내용과 형태, 평가기준 등에 대한 내용이 소개하고, 3주간의 준비 기간을 둔 후 마이크로티칭기법을 도입할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일선 학교에서 마이크로티칭을 실시하기에는 절차와 방법에서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수업실연 학생을 제외한 예비교사들이 학습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모형을 선택했고, 수업행동분석실에서 실제 진행될 것이다. 피드백과 관련해서는 수업행동분석실에 설치된 녹음 및 녹화 장치를 이용할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아직 교육실습을 이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업실연 경험이 많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재수업은 모든 대상자가 실시하는 체계적 재수업 형태를 선택했다 동료평가지가 사전 배부된 상태에서 1차 수업 시연이 진행되는 동안 비디오 녹화가 이루어지고, 1차 수업 시연 후 비디오가 전사되고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실시할 것이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피드백이 제시되었고, 1차 수업 시연을 한 예비교사는 피드백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한 2차 수업 시연을 실시할 것이다. 1차 수업 시연 때에 과학 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에 대한 검사가 실시될 것이다. 1차 수업 시연 때에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2차 수업 시연에서는 평가 결과 피드백이 이루어지므로 자기평가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실시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를 분석하고, 그 경향성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자기존중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티칭 동안 예비교사들은 자기평가에서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반 ...
이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실시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를 분석하고, 그 경향성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자기존중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티칭 동안 예비교사들은 자기평가에서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반성을 잘 나타냈다. 동료평가에서 평가자들은 수업 시연에 대한 세부적인 면들을 지적했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비교 분석에서 일치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는 4명이었다.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평가 점수보다 낮은 과소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는 6명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 경향성과 과학교수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일치경향성을 보인 집단과 과소경향을 보인 집단간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자기존중감은 2.0점부터 4.3점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 경향성과 자기존중감을 분석한 결과 일치경향성을 보인 집단과 과소경향을 보인 집단간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등 다면적 평가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평가들이 마이크로티칭 등 실제 교수 활동 경험과 연계되어 구성된다면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교수 활동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반성적 사고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예비 과학교사로서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마이크로티칭 등을 활용할 때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비교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근거로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영문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spondence between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and how the trend is associated with science teaching efficacy. During microteaching, pre-service te ...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spondence between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and how the trend is associated with science teaching efficacy. During microteach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ed well on technical aspects in self-assessment. Evaluators in peer assessment during microteaching pointed out class demonstration in very detail. The number of those whose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analysis results corresponded with each other was 4. The number of those with an underestimation tendency whose self-assessment scores were lower than peer assessment scores was 6.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self-assessment accur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result was tha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ose who had a corresponding result and of those who had an underestimation tendency did not notably differ. Self-esteem of pre-service teachers was evenly distributed ranging from 2.0 to 4.3.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self-assessment accuracy and self-esteem and the result was tha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ose who had a corresponding result and of those who had an underestimation tendency did not notably differ. This study shows the need for multilateral evaluation including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during teacher training educational courses. If such assessment is made in association with actual teaching activities, pre-service teachers will be provided an opportunity for diverse feedbacks about their teaching activities. In addition, such reflective thinking process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elf-respect as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framework to analyze accuracy of pre-service teachers' self-assessment by comparing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in teacher training courses. This study also may be utilized in verifying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as a factor that can influence science teaching efficac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실시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를 분석하고, 그 경향성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자기존중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티칭 동안 예비교사들은 자기평가에서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반 ...
이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실시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를 분석하고, 그 경향성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자기존중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티칭 동안 예비교사들은 자기평가에서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반성을 잘 나타냈다. 동료평가에서 평가자들은 수업 시연에 대한 세부적인 면들을 지적했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비교 분석에서 일치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는 4명이었다.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평가 점수보다 낮은 과소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는 6명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 경향성과 과학교수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일치경향성을 보인 집단과 과소경향을 보인 집단간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자기존중감은 2.0점부터 4.3점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 경향성과 자기존중감을 분석한 결과 일치경향성을 보인 집단과 과소경향을 보인 집단간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등 다면적 평가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평가들이 마이크로티칭 등 실제 교수 활동 경험과 연계되어 구성된다면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교수 활동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반성적 사고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예비 과학교사로서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마이크로티칭 등을 활용할 때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비교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근거로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수업 시연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할 때 보통수준인 3점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 점수는 평균적으로는 3.6점으로 나타나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 대해 긍정적 인식이 그리 높지 않 ...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수업 시연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할 때 보통수준인 3점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 점수는 평균적으로는 3.6점으로 나타나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 대해 긍정적 인식이 그리 높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동료평가 결과는 3.7점부터 4.8점까지의 범위로 나타났다. 동료평가에서 평가자들은 동료예비교사의 수업 시연에 대해 매우 세부적인 내용까지 지적해 동료평가가 수업시연 등 활동 중심의 학습에 대해 효과적인 평가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분석 결과 평가 일치 경향을 나타낸 예비교사는 4명이었다. 이에 비해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평가 점수 보다 낮게 나타난 과소 경향의 예비교사는 6명이었다. 이같은 결과는 자기평가가 자기에 대한 관대화 경향으로 인해 객관적 평가로서 한계를 지닌다는 지적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일치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들은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결과가 모두 중앙값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고-고’ 수준을 보였다. 한편 과소 경향 교사들 중에는 자기평가와 동료평가가 모두 높은 ‘고-고’ 수준의 예비교사가 4명이었고, 자기평가 점수가 더 낮은 ‘저-고’ 경향의 예비교사가 2명이었다.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3.1점부터 4.2점까지의 범위에 고르게 분포했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와 과학교수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일치 경향을 나타내는 예비교사와 과소 경향을 나타내는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의 자기존중감은 최저 2.0점에서부터 최고 4.3점까지 넓은 범위를 보였다. 평가일치도 분석에서 일치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들의 자기존중감 평균은 3.7점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자기평가가 동료평가 보다 낮은 과소 경향 예비교사들 중 자기평가와 동료평가가 모두 중앙값이상인 고-고 집단은 자기존중감 평균이 3.8점으로 일치 경향 예비교사들보다 조금 높았다. 과소 경향 중 저-고 집단인 예비교사들의 자기존중감은 2.6점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도 보다는 자기평가 결과 자체가 자기존중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치와 과소 경향에 따른 차이보다는 자기평가 점수가 중앙값을 기준으로 높은지 낮은지에 따라 자기존중감 점수가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자기평가가 높은 과대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는 한 명도 없었다. 이는 자기평가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자기관대화 경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실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마이크로티칭과 같은 실제 수업과 비슷한 상황에서 자신의 교수 활동에 대해 다면적 평가를 경험하는 것은 평가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 검사 결과에서 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은 상관계수 .572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기평가 점수와 자기존중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자기존중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과학교수법, 동기유발 전략 등을 학습했지만, 이를 마이크로티칭을 통해 실제 교수 활동에 적용시키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마이크로티칭 등 교수 경험을 확대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등 다면적 평가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러한 평가들이 마이크로티칭 등 실제 교수 활동 경험과 연계되어 구성된다면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교수 활동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의 기회를 제공받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반성적 사고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예비 과학교사로서의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마이크로티칭 등을 활용할 때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비교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 정확도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근거로 과학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수효능감과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