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문화관광형 시장 방문객의 관광동기와 세분시장 특성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B0013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변충규
연구수행기관 경상국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전통시장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서민들의 소비경제생활과 깊은 관계를 갖고 있으며 획일화되어 가는 우리 사회에서 옛 모습을 보존하고 지역 상인들의 생계수단으로서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그 존재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전통시장은 급변하는 도시화 속에 사회적 요소들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자치를 감추거나 새로운 형태로 변형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전통시장 역시 다양한 시대적 요소에 노출되면서 기존의 전통시장의 역할이 축소되거나 기능적으로 소멸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에 중앙정부에서는 전통시장에 대한 정책적 투자를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들 중의 하나가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 사업이다.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사업은 현대 유통구조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통시장의 생존전략으로서 대형마트와 차별된 다양한 볼거리(옛 모습, 새로운 모습 등) 제공과 즐길거리를 제공함으로써 관광객을 유치하여 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키고 궁극적으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책이다. 2008년 4개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실시된 이후 2011년 까지 24개 전통시장이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조성되었거나, 현재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시장경영진흥원, 2011).
    문화관광형 시장 육성사업이 시작 된지 3년이 지난 이후 문화관광형 시장에 대한 실태나 관광객의 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문화관광형 시장의 조성은 공급자 지향의 사고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실제 조성된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고 이용하는 관광객의 동기 및 목적에 대한 분석 및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문화관광형 시장이 쇠퇴해가는 전통시장의 또 다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문화관광형 시장 관광객들의 특성과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진다. 첫째, 문화관광형 시장 관광객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여행목적과 관광객 만족수준에 의한 관광 동기를 세분화하여 문화관광형 시장의 여행동기를 세분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문화관광형 시장을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문화관광형 시장의 개발, 유지, 관리를 위한 관광객의 필요와 세분된 집단을 파악하여 문화관광형 시장의 방향성 제시와 수요기반을 확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 자료가 필요하다. 셋째, 문화관광객들의 동기는 일반관광객의 동기와 다르기 때문에 관광행동이 상이할 개연성이 높고, 문헌적 분류와 달리 실제 관광객을 대상으로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일반관광객 가운데 문화관광의 욕구를 갖는 세분시장을 발견하고, 이들 중 문화관광 행동욕구가 강력한 집단의 관광행동특성을 파악하여 문화관광자원의 매력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형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관광매력성과 관광지 평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전통시장이 관광자원 및 관광상품으로서 가질 수 있는 가치 및 평가를 실증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문화관광형 시장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여 문화관광형시장 육성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문화관광형 시장 관광자원의 매력성과 관광지 평가(관광가치, 만족)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 및 세분화를 통해 관광객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실증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전통시장 관광자원의 활성화방안을 도출 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의 활성화이다. 전통시장의 방문을 촉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광객 유치를 통해 새로운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어진다.
    둘째, 전통시장의 사회적 가치 재조명이다. 기존의 유통거래적 기능에 문화와 관광적 요소가 추가된 전통시장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문화관광형 시장 방문객의 니즈와 선택속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문화관광형 시장의 관광객 및 고객유치 증대전략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넷째,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다양한 소비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행선택 및 구매결정 속성 및 인구통계변수를 통해 방문객들의 특성을 군집분석하여 세분화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세분화된 관광객들의 특성파악 및 문화관광형 시장 관계자 및 상인들에게 방문객들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결과에 따른 교육과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표적인 교환이 이루어지는 물리적 장소인 시장에 대한 재조명을 통해 전통시장의 가치 및 문화적인 공간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문화관광의 형태와 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화관광산업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문화관광형 시장의 방문객의 세분화를 위해 사용된 다양한 통계분석을 통해 마케팅조사방법사례로 제시되어 시장세분화분석도구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문화관광을 경험한 관광객들의 세분화를 통해 문화관광객들의 니즈와 세분화된 특성의 이해를 통해 효과적인 관광마케팅전략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문화관광형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관광매력성과 관광지 평가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전통시장이 관광자원 및 관광상품으로서 가질 수 있는 가치 및 평가를 실증적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문화관광시장에 대한 특성과 문화관광동기 및 문화관광방문객의 세분화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개발하고자 한다.

    (1) 표본설계 및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 선정한 표본은 부산경남의 문화관광형 시장인 울주 남창공설시장, 통영 서호시장, 부산 자갈치시장을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조사방법은 현장조사를 실시하며, 조사장소는 부산경남지역의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한 주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조사에 동의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방법에 의한 직접면담 조사를 할 예정이다. 설문조사는 훈련된 조사원이 일대일 대면을 통해 응답자가 준비된 설문지에 따라 내용의 순서를 지키면서 표준화된 설문지에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self-administered)방법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설문지는 300부를 배포하여, 실증분석을 할 예정이다.

    (2) 설문지 구성 및 측정방법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의 구성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적합한 변수를 선정하여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재구성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설문지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하여 설문을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추출된 문화관광형 시장의 선택시 고려요인 (독특함, 체험성, 교육성, 볼거리, 살거리, 주변관광지와의 연계성, 서비스 편의성), 문화관광형 시장의 평가(관광가치, 만족도, 재방문의사)는 리커트 5점 척도인 “전혀 그렇지 않다(1)”, “보통이다(3)”, “매우 그렇다(5)”를 활용하며, 설문대상자의 특성과 인구통계적 변수는 명목척도로 구성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의 과정을 거쳐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하여 첫째, 응답자들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등 인구통계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다. 둘째, 문화관광형 시장의 선택시 고려요인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다. 요인추출과정에서 요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고유값 1 이상의 값에 해당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요인수를 결정하며, 요인의 회전은 Varimax 회전법을 채택할 것이다. 셋째, 문화관광형 시장의 선택속성의 차원(dimension)을 도출 후 추출된 요인을 기준으로 의미 있는 관광객 집단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여 적절한 수의 군집을 찾아내며, 구체적인 군집계산방법으로 Ward 군집계산법을 이용, 다변량분산분석(multivariate ANOVA)을 통해 각 세분집단의 군집소속정보를 확인할 것이다. 분리된 군집타당성을 확보를 위하여 표본에 대한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실시하여 적중률(hit ratio)과 교차유효성(cross-validated)을 확인할 것이다.
    넷째, 문화관광형 시장의 선택속성 군집분석을 통해 분리된 군집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특성과 문화관광형 시장의 선택속성간의 교차분석(crosstabulation)을 실시하며, 여행목적과 문화관광형 시장의 선택속성 군집이 관광지평가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기
  • 한글키워드
  • 세분화,관광동기,문화관광,문화관광형 시장
  • 영문키워드
  • Market Segmentation,Tourism Motivation,Cultural Tourism Market,Cultural Touris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문화관광형시장은 쇠퇴해가는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다.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지속시키고,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특성과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이다. 특히 문화관광객의 동기는 일반관광객들의 동기와 다르며, 동일한 취향과 추구편익을 갖는 동일한 집단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형시장 관광 동기를 기준으로 방문객을 세분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문화관광형시장을 방문하는 관광 동기, 인구통계적특성, 관광특성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화관광형시장 방문객들은 친목 도모형과 기분 전환형, 쇼핑형 등 3개의 세분화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세분시장별로 방문객의 관광 동기와 인구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문화관광형시장 관련 정책을 개발하거나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군집분석을 통해 세분화된 집단과 그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군집 1은 친목도모형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체험성, 살거리, 관광지 연계성, 볼거리, 교육성, 독특함 등 대부분의 속성에 대한 욕구가 강한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문화관광을 목적으로 독특한 전통시장의 매력과 주변 관광지와 연계하여 가족, 친구/연인들과 여행을 통한 친목 및 유대관계형성을 위해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령층은 20-30대의 젊은 층이 많으며, 관광동기는 문화관광형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체험성, 살거리, 관광지 연계성, 볼거리, 교육성, 독특함 등의 속성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은 집단이었다.
    군집 2는 기분전환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는데, 이 집단에 속하는 관광객들은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여 다양한 상거래 및 문화관광체험을 즐기는 관광객으로 체험성, 살거리, 관광지 연계성, 볼거리, 교육성, 독특함 등 대부분의 속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40대의 주부, 직장인으로 구성되며, 가족과 여행을 통해 기분전환을 위해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1과 군집2간의 차이는 군집1이 군집2에 비해 문화관광에 대한 욕구가 강하며 젊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집 3은 쇼핑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는데, 이 집단에서는 문화관광형 시장의 관광동기에 대한 욕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나 문화관광을 위해 전통시장을 방문하였다고 보기보다 상품구매 및 쇼핑 목적으로 방문한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쇼핑형 집단은 30-40대 이상의 중년층이 많으며, 대부분 기혼자, 주부가 많았다. 쇼핑형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쇼핑목적의 당일 방문 및 소액구매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문화관광형 시장을 상품구매 및 상거래의 장소로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re has been a rapid growth in terms of numbers of cultural tourism market in these day. With the increasing of cultural tourism market attended by residents and tourists, it is essential for market manager and planner to develop a profile for visitors that can guide marketing and developing procedures. This study aims to segment visitors to cultural tourism market based on their motivation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gmented group.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survey is conducted to Jinju Jungang market visitors. As the results, three clusters are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are found among the clusters. Based on the segmentation results, some marketing strategies are proposed for planner and market managers to develop their market and to find their target marke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문화관광형시장은 쇠퇴해가는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다.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지속시키고, 그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특성과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이다. 특히 문화관광객의 동기는 일반관광객들의 동기와 다르며, 동일한 취향과 추구편익을 갖는 동일한 집단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형시장 관광 동기를 기준으로 방문객을 세분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문화관광형시장을 방문하는 관광 동기, 인구통계적특성, 관광특성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화관광형시장 방문객들은 친목 도모형과 기분 전환형, 쇼핑형 등 3개의 세분화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세분시장별로 방문객의 관광 동기와 인구통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문화관광형시장 관련 정책을 개발하거나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문화관광형시장이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전통시장을 살리고, 쇠퇴해가는 지역경제를 활성하기 위해서는 문화관광형시장을 중점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특성과 그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이다. 기존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화관광객의 동기는 일반관광객들의 동기와 다르다. 이들의 취향과 추구편익 또한 일반관광객과는 다르다. 따라서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들 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여행목적과 관광객 만족수준에 의한 관광 동기를 세분화하여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는 관광동기, 인구통계적특성, 관광특성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문화관광형 시장 방문객들을 3개의 세분화된 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연구결과, 군집분석을 통해 세분화된 집단과 그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군집 1은 친목도모형 집단으로 명명하였으며, 체험성, 살거리, 관광지 연계성, 볼거리, 교육성, 독특함 등 대부분의 속성에 대한 욕구가 강한 집단으로 볼 수 있다. 문화관광을 목적으로 독특한 전통시장의 매력과 주변 관광지와 연계하여 가족, 친구/연인들과 여행을 통한 친목 및 유대관계형성을 위해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령층은 20-30대의 젊은 층이 많으며, 관광동기는 문화관광형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체험성, 살거리, 관광지 연계성, 볼거리, 교육성, 독특함 등의 속성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은 집단이었다.
    군집 2는 기분전환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는데, 이 집단에 속하는 관광객들은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여 다양한 상거래 및 문화관광체험을 즐기는 관광객으로 체험성, 살거리, 관광지 연계성, 볼거리, 교육성, 독특함 등 대부분의 속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40대의 주부, 직장인으로 구성되며, 가족과 여행을 통해 기분전환을 위해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1과 군집2간의 차이는 군집1이 군집2에 비해 문화관광에 대한 욕구가 강하며 젊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집 3은 쇼핑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는데, 이 집단에서는 문화관광형 시장의 관광동기에 대한 욕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낮게 나타나 문화관광을 위해 전통시장을 방문하였다고 보기보다 상품구매 및 쇼핑 목적으로 방문한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쇼핑형 집단은 30-40대 이상의 중년층이 많으며, 대부분 기혼자, 주부가 많았다. 쇼핑형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쇼핑목적의 당일 방문 및 소액구매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문화관광형 시장을 상품구매 및 상거래의 장소로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각 세분집단의 정보를 기초로 문화관광형시장 활성화와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장상인회 등과 같은 관리자에게 주는 시사점이다. 시장의 마케팅을 담당하는 관리자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세분집단별로 차별화된 마케팅 수단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형 시장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시장을 방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행을 통한 친목도모, 기분전환형의 관광객들과 상품구매를 위한 쇼핑형 관광객들로 유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유형화에 따른 인구통계적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관광형 시장 방문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해서는 관광동기 특성을 반영한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 색인어
  • 문화관광형 시장, 관광 동기, 세분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