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과 사회발전 비교: 중산층 집단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0-32A-B00151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우승
연구수행기관 배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성권(원광대학교)
이영형(경희대학교)
홍성원(영산대학교)
권기숙(Russian Peoples' Friendship University)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소 연방 해체 이후 지금까지 러시아 및 CIS 국가들의 사회변화를 이끌어 왔던 가장 중요한 축은 정치적으로는 다당제를 근간으로 하는 민주화의 추구이며 경제적으로는 민영화와 가격자유화를 근간으로 하는 자유시장경제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국가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적어도 기본적으로는 이 두 축을 중심으로 나아가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와 세계은행(World Bank)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등에서는 법적, 제도적으로 유사한 사회라 할지라도 각기 다른 수준의 정치, 경제적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규명하려는 시도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을 규명하고 그것이 두 사회의 정치경제 발전을 어떤 모습으로 만들어가고 있는가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을 통해 두 나라가 나아갈 수 있는 사회발전의 방향과 속도를 가늠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과제에서 밝히려는 것은 다음 세 가지이다.
    1)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을 조사한다. 신뢰와 사회규범 및 참여,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사회적 자본의 주요 속성으로 보고 세 영역에서 사회적 자본을 조사한다. 특히 이 세 가지 가운데에서도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2)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의 비교이다. 앞에서 조사한 사회적 자본의 속성을 영역별로 비교할 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도 비교함으로써 두 나라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한다.
    3) 사회적 자본이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정치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적 자본을 통해 두 나라가 나아갈 수 있는 사회발전의 방향과 속도를 가늠해 본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①: 사회과학적 담론으로의 확대가능성

    사회적 자본은 자체가 일차원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적 요소를 함축하고 있는 다차원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과 정치경제 발전에 대한 이 연구과제는 논의의 틀이 국가-자본-시민사회관계로까지 확장될 수 밖에 없다. 이 점에서 이 과제는 사회학적인 논의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러시아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현 주소를 알 수 있는 시금석으로서, 그리고 향후 러시아 시민사회의 등장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늠자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정치학 및 경제학적 담론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

    2) 학문적 기여도-②: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사회연구 기초자료 축적

    국내에서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두 나라를 연구하는 사회학 연구자의 절대적인 부족으로 인하여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과제에서는 현지 전문기관에 의해 행해지는 직접적인 설문조사 뿐 아니라 인터뷰 등의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조사 등의 다양한 조사방법을 통해 기초자료를 확보는 본 과제수행에서 활용될 뿐 아니라 이 지역에 대한 기초자료의 축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사회적 기여도: 현지진출 기업의 비공식 네트워크 활용

    이 과제에서 다루는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당사자들 사이의 신뢰와 호혜적인 관계를 전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지에 진출한 국내기업들이 연줄관계를 마케팅 및 홍보에 활용함으로써 고정적인 고객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연줄관계의 활용은 현지인 고용관계에서도 고용유지와 원활한 노사관계를 만드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지의 정부관료나 기업가 및 바이어들과 연줄관계를 만드는 데에 활용함으로써 현지에서의 기업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 교육과의 연계활용

    이 과제는 사회학과 정치학, 경제학이 학제 간 담론을 통해 두 사회의 사회적 자본과 정치, 경제발전과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살펴 보고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파생되는 학제간의 담론은 그 동안 각 학문영역 단위로만 이루어지던 러시아 및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경제,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준다. 또한 학문 간의 소통을 통해 지역연구에서의 사회과학적 교육과정을 보다 견실하게 만들 수 있으며 나아가 정치 및 경제과목과의 학제간 분석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연구자들이 담당하는 러시아 사회, 경제, 또는 정치과목에서 팀 티칭을 시도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학제적, 총체적 접근이 가지는 강점과 사회현상을 총체적으로 보는 시각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990년대에 들어와 세계은행(World Bank)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등에서는 법적, 제도적으로 유사한 사회라 할지라도 각기 다른 수준의 정치, 경제적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규명하려는 시도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러시아를 비롯한 탈 사회주의 사회의 경우 민주화와 시장경제화는 이러한 사회적 자본의 개념으로 어떻게 분석되어질 수 있을까? 과연 서구사회와 마찬가지로 탈 사회주의 사회에도 사회적 자본이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정치발전-경제발전에 어떻게 작용하는가?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가 조사한 2009년도의 러시아 부패지수는 2.2로 180개국 중 146위에 머물렀다. 러시아의 공식기구들 가운데 신뢰도가 50%를 넘는 곳은 한 군데도 없으며 병원-교육기관-경찰의 순서로 부패지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공식적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는 낮은 반면 러시아 국민들은 그것을 일상생활에서 ‘블라트’(блат)라는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통해 상쇄하고 있다는 것이다. 블라트 연구의 권위자인 레데네바(Alena Ledeneva)에 따르면 블라트는 부족한 재화와 서비스를 얻을 수 있는 공식적 방법을 얻기 위해 개인적 네트워크와 비공식적 접촉을 사용하는 것으로 소비에트 시기부터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러시아 식 ‘연줄 만들기’이다. 블라트는 개인이나 지역 등의 한정된 수준이기는 하지만 사람들 사이를 결속시키고 신뢰를 유지하게 하며 공식적 네트워크는 신뢰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사회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러시아식 사회 작동기제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러시아의 블라트와 유사한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우즈베키스탄에서도 보이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적 씨족 공동체인 ‘마할랴’(Махалля?)가 그것이다. 마할라의 연장자들은 공동체내의 발생하는 사회갈등이나 문제들을 해결한다. 마할랴는 공동체 구성원의 인생주기에 필요한 중요한 행사들, 예를 들면 결혼, 출산, 장례 등을 도와준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의 전통적인 상호부조체제인 하샤르(hashar) 를 조정해 준다. 이러한 우즈베키스탄의 씨족중심의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소비에트 시기 뿐 아니라 현재까지도 여전히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시골 뿐 아니라 사마르칸트 등의 현대적 도시에서도 여전히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둘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러시아의 블라트가 순수하게 자원적이고 호혜적이며 수평적인 관계인데 비해 마할랴는 이슬람 종교제도 속에서 만들어지고 움직이는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수직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우즈베키스탄 역시 높은 부패와 국가기관에 대한 낮은 신뢰에도 불구하고 마할랴를 통해 지역행정에서의 자발적 참여와 자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두 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주목할 것이다. 비록 공식적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는 낮지만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이를 보완하고 있으며 이것이 러시아적 사회적 자본, 또는 우즈베키스탄적 사회적 자본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반으로 각 국가의 독특한 정치경제 발전이 만들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과제에서 밝히려는 것은 다음 세 가지이다.
    1)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을 조사한다. 신뢰와 사회규범 및 참여,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사회적 자본의 주요 속성으로 보고 세 영역에서 사회적 자본을 조사한다. 특히 이 세 가지 가운데에서도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2)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의 비교이다. 앞에서 조사한 사회적 자본의 속성을 영역별로 비교할 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도 비교함으로써 두 나라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한다.
    3) 사회적 자본이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정치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적 자본을 통해 두 나라가 나아갈 수 있는 사회발전의 방향과 속도를 가늠해 본다.

    두 사회의 사회적 자본과 정치경제발전의 상관관계 비교는 이번 연구결과만으로는 탈 사회주의 국가에서 보여주는 사회발전 과정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하기는 어렵지만 향후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사회적 자본,러시아,수평적 네트워크,수직적 네트워크,호혜적 관계,중산층,트러스트,신뢰,규범과 사회참여,공식적 네트워크,비공식적 네트워크,마할라,블라트,우즈베키스탄
  • 영문키워드
  • mahalla,blat,Uzbekistan,Russia,social capital,horizontal network,vertical network,reciprocity,middle class,trust,social participation,norm,formal network,informal network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990년대에 들어와 세계은행(World Bank)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등에서는 법적, 제도적으로 유사한 사회라 할지라도 각기 다른 수준의 정치, 경제적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규명하려는 시도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에 주목하게 되었다. 사회적 자본은 “호혜성에 바탕을 둔 신뢰(trust), 규범(norm), 네트워크(network)로 구성된 협력행위를 촉진시켜 사회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 또는 사회의 속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히 콜만과 후쿠야마는 사회적 ‘신뢰’에 주목하고 있다.
    이 과제는 바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을 추출하고 이것이 각 국가의 정치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탈 사회주의 사회의 사회변동 또는 사회발전 방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신뢰 및 규범, 사회참여,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 세 가지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로 보고 특히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비공식적 네트워크인 ‘블라트’(блат)와 ‘마할라’(mahalla)를 중심으로 두 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추출하고 사회발전의 방향과 전망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을 통해 두 사회의 비공식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①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을 조사하였다. 신뢰와 사회규범 및 참여,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사회적 자본의 주요 속성으로 보고 조사하였다. 특히 이 세 가지 가운데에서도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②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을 비교하였다. 앞에서 조사한 사회적 자본의 속성을 영역별로 비교할 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도 비교함으로써 두 나라에서 보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하였다.
    ③ 사회적 자본이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정치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적 자본을 통해 두 나라가 나아갈 수 있는 사회발전의 방향과 영향을 살펴보았다.

    블라트’와 ‘마할라’의 기능에 대한 학자들의 분석들은 부정적 관점과 긍정적 관점이 혼재되어 있다. 부정적인 시각에서 보는 경우는 사회의 투명도가 떨어지고 뇌물이 일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신뢰가 떨어지고 사회적 자본 역시 형성되기 어렵다는 시각이다. 반면 긍정적인 시각은 공식적인 네트워크의 미성숙이 오히려 마을 내 협력의 증대와 같은 비공식 차원에서의 네트워크를 발전시킨다는 주장이다. 특히 ‘마할라’의 경우 국가기구의 통제를 대신하고 부패의 원인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폐쇄성과 배타성을 극복하면서 자치단체로서의 기능을 확보한다면 민주주의를 가져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영문
  • 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has been very widely used across the social sciences.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therefore rests on the presumption that (inter)personal connections can be favourable to particular economic outcomes.
    For the purpose of cross-country comparison, This study follows closely Fukuyama's definition of social capital and informal network. Social capital means “features of social organization,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s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society by facilitating coordinated actions"
    This study aims (1)to investigate the 'Blat' and 'Mahalla' as a social capital of Russia and Uzbekistan through survey and interviews and (2)to compares these informal network for evaluating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post-socialist countries, and (3)to assess their changes and continuities during the market reforms in the future.
    'Blat' and 'Mahalla' practices in pre-reform Russia and Uzbekistan played a similar role in these economies: on the one hand, they compensated for the defects of the formal rules, thus enabling the declared principles of the economy to exist; on the other hand, they undermined them. Neither should these informal practices be seen as simply detrimental during the post-socialist transformation. In many ways they are responsible for its success: they are both supportive and subversive of post-socialist institutions.
    There are two mixed opinion about the function of 'Blat' and 'Mahalla' - positive and negative. 'Blat' and 'Mahalla' as a social capital can contribute to the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a social trust or quite opposite may become a destructive force - the cause of corruption network in Russia and the means of the dictatorship in Uzbekistan. Inspite of these confuse opinions, it needs to study further more about these two phenomena of social capital, because these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ng the level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post-socialist countr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과제는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을 추출하고 이것이 각 국가의 정치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탈 사회주의 사회의 사회변동 또는 사회발전 방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신뢰 및 규범, 사회참여,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 세 가지를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로 보고 특히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비공식적 네트워크인 ‘블라트’(блат)와 ‘마할라’(mahalla)를 중심으로 두 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추출하고 사회발전의 방향과 전망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년차에는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지표별 사회적 자본을 추출하고 2년차에는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과 정치-경제발전 비교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설문조사 및 심층면접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블라트’와 ‘마할라’ 모두 두 사회의 독자적인 비공식 네트워크로서 개인간 신뢰를 증진시켜주는 긍정적 역할을 하고는 있으나 ‘블라트’는 러시아의 부패를 확산시키는 요인으로, 그리고‘마할라’는 국가기구의 통제를 대신해 준다는 부정적 역할도 하고 있다. 러시아의 경우 ‘블라트’는 시장경제의 활성화와 함께 비공식적 관계 자체로는 점차 축소되고 있는 반면 우즈베키스탄의 ‘마할라’는 권위주의 체제의 사회적 통제기제 역할을 하면서 활성화되고 있다. 따라서 양자가 각 사회의 민주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부정적 견해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이것이 개인들 사이의 신뢰를 학대시키는 기제로 작용할 경우 시민사회를 가져올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보다 세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과제가 완료되면 사회적 자본을 계량화시켜 탈 사회주의 국가의 민주화 수준에 대한 측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비공식 네트워크에 대한 자료는 현지 기업활동이나 인적관계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①: 사회과학적 담론으로의 확대가능성
    사회적 자본은 정치, 경제, 사회적 요소를 함축하고 있는 학제 간의 다차원적인 개념이다. 따라서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의 사회적 자본과 정치경제 발전에 대한 이 연구과제는 러시아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현 주소를 알 수 있는 시금석으로서, 그리고 향후 러시아 시민사회의 등장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늠자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정치학 및 경제학적 담론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

    2) 학문적 기여도-②: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사회연구 기초자료 축적
    이 연구과제에서는 현지 전문기관에 의해 행해지는 직접적인 설문조사 뿐 아니라 인터뷰 등의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조사 등의 다양한 조사방법을 통해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3) 사회적 기여도: 현지진출 기업의 비공식 네트워크 활용
    이 과제에서 다루는 비공식적 네트워크는 사회적 연줄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지에 진출한 국내기업들이 연줄관계를 마케팅 및 홍보에 활용함으로써 고정적인 고객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지의 정부관료나 기업가 및 바이어들과 연줄관계를 만드는 데에 활용함으로써 현지에서의 기업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 교육과의 연계활용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를 통해 파생되는 학제간의 담론은 그 동안 각 학문영역 단위로만 이루어지던 러시아 및 우즈베키스탄의 정치, 경제, 사회현상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워준다. 또한 학문 간의 소통을 통해 지역연구에서의 사회과학적 교육과정을 보다 견실하게 만들 수 있으며 나아가 정치 및 경제과목과의 학제간 분석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현재 연구책임자는 <러시아 사회구조와 사회발전> 교과목에서 러시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교육을 진행 중에 있다.
  • 색인어
  • 사회적 자본, 비공식 네트워크, 사회적 신뢰, 블라트, 마할라,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