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32-B00299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2 년 (2011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지혜
연구수행기관 남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은 현대사회에서 경영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 지금까지 진행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살펴보면, 주로 경영학이나 신문방송학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며, 대부분 CSR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나 소비자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자원동원의 중요성이 중요한 이슈로 논의되기 시작하면서 사회복지 조직에서는 기업을 민간자원의 중요한 요소로 여기고, 기업의 자원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고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증가하고 있다(정진경, 2005). 그러므로 기업으로 하여금 적극적으로 사회공헌 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은 공공복지가 취약한 우리의 상황에서 사회전체의 복지 총량을 증가시키다는 차원에서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문순영․김욱, 2004).
    외국에서 진행된 최근의 관련 연구들에서는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Sweeney & Coughlan, 2008), 특히 사회공헌활동이 기업내 종업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기업사회공헌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우리나라에서는 사회공헌의 재무적 성과와 소비자 성과에 치중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이해관계자 관점을 중심으로 주주와 소비자 뿐만 아니라 종업원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성과를 보는 연구가 전혀 없다(김지혜․김인희․조상미, 2010).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긍정적 인식은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주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국내의 연구는 마케팅적 관점에서 소비자나 재무적 성과만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이 종업원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제도적 지원, 커뮤니케이션 등의 기업 특성과 사회공헌 참여 경험 등의 개인 특성별 비교연구를 통해 개인적 요인과 조직 요인이 각각 이러한 기업사회공헌의 종업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공헌활동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의 성과에 대한 요청은 많으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국내 현 상황에서 사회공헌활동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한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의 재무적 성과와 소비자 성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적 성과에 치중하는 한계를 벗어나서 종업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중시되는 최근의 사회공헌관련 관점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종업원 태도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까지 이르는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총체적인 사회공헌활동의 성과를 확인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며, 개인특성과 조직특성에 따른 성과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사회공헌활동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2) 실천적 기여도

    본 연구는 기업차원에서는 사회공헌활동을 진행함에 있어서 주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냄으로써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내어 기업사회공헌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또한, 산업복지 측면에서 보면 종업원은 단순히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는 도구가 아니다. 종업원들의 삶의 질 자체가 매우 주요한 요인이며, 어떠한 요인들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인지를 찾고, 조직 차원에서 필요한 정책이나 서비스가 무엇인지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종업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 중 하나가 사회공헌활동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하며, 사회공헌활동이 종업원의 만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조직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종업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요인들을 찾아낸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이 종업원 태도를 매개로 직무성과에까지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1차년도에는 양적연구를 2차년도에는 질적연구를 진행하는 혼합방법론을 사용하고자 한다.

    1. 양적연구(1차년도)
    가. 기업사회공헌활동과 관련한 조직적 특성 연구
    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는 사회공헌관련 전담부서의 유무나 공식화된 활동 지침, 기업내 사회공헌활동 관련 장․단기 계획, 종업원과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사회공헌활동 관련 직원 교육 등의 조직내 제도적 특성이 사회공헌활동의 종업원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조직적 특성은 4개 기업의 사회공헌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중집단 분석시 사용하고자 한다.

    나. 기업사회공헌활동과 종업원 태도에 관한 연구
    기업사회공헌활동이 종업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이 종업원의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며, 이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4개 기업의 종업원 5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다. 기업사회공헌활동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함께 종업원 태도를 매개로 직무성과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간의 인과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4개 기업의 종업원 5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 여부 등의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다.

    2. 질적연구(2차년도)
    질적연구는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등 종업원의 태도를 매개로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로에서 개인적 특성과 조직적 특성 등 어떠한 요인들이 주요하게 작용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연구참여자는 기업의 사회공헌 담당자 4명과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의 종업원 20명이다. 심층면접 진행 후 주제분석방법으로 면접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3.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결과의 통합
    1, 2차년도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사회공헌활동과 종업원 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통합적 결과를 도출한다.
  • 한글키워드
  • 이직의도,조직시민행동,직무성과,직무만족,조직몰입,기업사회공헌,기업의 사회적 책임
  • 영문키워드
  • Job Performance,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Turnover Intention,Job Satisfaction,Oganizational Cmmitment,Corporate Philanthropy,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소득 양극화, 실업난 등 사회적 갈등이 고조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기업들의 직원참여 사회공헌활동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봉사와 기부활동 참여가 기업직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합하는 혼합방법론을 사용하여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봉사와 기부활동 참여경험은 직원들의 사회공헌에 대한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에 대한 자부심과 동료관계 향상, ‘나’ 자신을 돌아보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이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 영문
  •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hourglass economy" and unemployment rate are increasing. For these reasons, social demands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mployees participating corporate philanthropy are also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volunteering and giving participation of corporate employees using mixed method research.
    According to the present findings, volunteering and giving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perception to corporate philanthrop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ployee pride in the corporation and colleague relation. However, the effects of volunteering and giving participation of the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were non-significa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기업경영에 있어서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공익사업, 기부협찬, 자원봉사 등의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사회공헌활동이 기업직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합하는 혼합방법론을 사용하여 고찰하였다. 양적연구결과, 연구결과, 기업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직원의 인식과 태도는 직무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시민행동을 매개로 간접적 효과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원의 기부 참여는 사회공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매개로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봉사활동 참여는 사회공헌인식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질적연구결과, 봉사와 기부활동 참여경험은 직원들의 사회공헌에 대한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에 대한 자부심과 동료관계 향상, ‘나’ 자신을 돌아보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이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결과를 통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봉사활동에만 참여한 직원들은 봉사와 기부 모두 참여하지 않는 직원들에 비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태도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기부활동에만 참여한 직원들도 봉사활동에 참여한 직원들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봉사와 기부 모두 참여하지 않는 직원에 비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았으며,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태도,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봉사와 기부활동 모두 참여한 직원들은 둘 다 참여하지 않은 직원에 비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은 높았으며,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태도,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봉사활동 참여가 직원의 직무기술이나 직무만족, 생산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이자영, 2004; Peterson, 2004)와는 상반되는 결과로 질적연구에서 발견한 주제를 통해 그 원인을 다음과 같이 유추해 볼 수 있다.
    첫째, 기부나 봉사활동에의 참여는 직원의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직원들은 기부나 봉사활동 참여를 통해 회사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게 되면서 회사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게 되고, 동료관계의 향상과 나 자신의 변화를 경험한다. 둘째,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태도와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유는 직원들이 사회공헌 참여경험이 회사의 업무와는 별개의 활동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특히 직원참여 사회공헌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국내외 추세에서 이러한 활동들이 직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봉사와 기부활동 참여경험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합하는 혼합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혼합방법 설계유형 중 1단계에서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수집자료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질적 자료를 활용하는 설명적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활동에만 참여한 직원들과 기부활동에만 참여한 직원들은 봉사와 기부 모두 참여하지 않는 직원들에 비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태도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봉사와 기부활동 둘 다 참여한 직원들은 둘 다 참여하지 않은 직원에 비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과 조직시민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에서 직원의 봉사와 기부활동 참여가 회사, 동료, 개인영역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궁극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에 비추어보면, 기부와 봉사활동에 둘 다 참여한 직원들은 하나만 참여한 직원에 비해 더 다양한 경험을 함으로써 조직시민행동을 더 높일 수 있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둘째, 봉사와 기부활동 참여경험이 직무만족이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봉사활동 참여가 개인의 직무기술 및 직무만족, 조직몰입, 생산성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Peterson(2004)과 이자영(2004)의 연구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며, 기업 직원들의 사회공헌활동에의 참여는 조직몰입 등 기업에 대한 직원들의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는 노연희(2010)의 연구와는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질적연구 결과를 통해 그 이유를 살펴보면, 직원들은 사회공헌활동 참여가 업무와는 별개의 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개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면 간접적으로 회사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직접적인 영향은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직원들은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사의 시스템이나 분위기 등 다른 요인들이 더 많기 때문에 사회공헌활동 참여의 영향력은 미미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셋째,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합하여 봉사와 기부활동 참여가 직원에게 미치는 영향의 일반적 구조를 정리해보면, 직원의 기부와 봉사활동 참여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며, 인식향상은 회사와 동료, 개인 영역에서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궁극적으로 직원의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실시하는 직원참여 기업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직원참여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직접적인 직무성과나 직무만족으로 측정하기 보다는 직원복지나 직원교육의 측면에서 평가해야 한다.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공헌활동 참여경험은 직원들의 마음의 안정에 도움을 주고, 이는 곧 회사생활의 활력소가 되며, 동료관계도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는 궁극적으로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는 요인이 된다. 사회공헌 참여 경험을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이나 성과에 연결시키려고 하면, 오히려 직원들의 자발적 동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직원들의 회사생활 만족에 기여하는 하나의 요소로 간주하고, 보다 직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공헌활동은 기업과 지역사회 뿐만 아니라 직원에게도 조직시민행동의 향상과 동료관계의 향상 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므로 기업은 직원 참여 사회공헌활동을 조직관리 차원에서 바라보고, 다양한 팀의 구성원이 함께 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구성원간의 소통과 업무연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활동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각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들과 연구결과 공유하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기획시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며,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통합결과를 학술지에 발표하여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색인어
  • 기업사회공헌, 기부, 자원봉사,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 혼합방법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