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혈중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에서의 유・무산소성 운동이 식욕조절 호르몬, 에너지 섭취량,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G00233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경태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혈중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의 운동강도에서 운동수행의 종류에 따라 식욕조절 호르몬, 에너지 섭취량, 그리고 신체조성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기대효과
  • 신체적 활동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증가현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인 비만 해소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에너지 섭취량 또한 비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체중감량 및 체지방의 감소효과는 기준이 없는 소모량의 증가만으로는 가져오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의 적용결과의 차이를 통하여 어떠한 형태의 운동방법이 식이섭취조절에 긍정적인지를 규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다이어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연구요약
  • 현대 과학문명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을 보다 편하고 윤택하게 만들어준 반면, 다양한 방면에서의 부정적인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건강적인 측면에서 신체적 활동의 부족현상은 만병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비만율을 지속적이며 급속하게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의 예방과 치료방법으로는 식이요법과 더불어 운동요법의 병행이 권장되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신체적 능력 향상을 가져오는 운동요법은 신체질량지수, 혈중지질, 체지방량, 인슐린, 혈당, 그리고 혈압 등의 개선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 어떠한 운동형태와 강도가 더욱 효과적인지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를 착수하게 되었다.
  • 한글키워드
  • 신체조성,무산소운동,젖산,식욕조절 호르몬,에너저 섭취량
  • 영문키워드
  • body composition,appetite regulating hormones,anaerobic exercise,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energy intake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혈중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에서의 유·무산소성 운동이 신체조성, 에너지 섭취량, 그리고 식욕조절관련 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중년비만여성 50명을 선정하였으며,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에서의 유산소성 운동그룹(AE-OBLA) 10명,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유산소성 운동그룹(AE-LT) 10명,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에서의 무산소성 운동그룹(NE-OBLA) 10명,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무산소성 운동그룹(NE-LT) 10명, 통제그룹(CON) 10명으로 구분하였다. 본 실험의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씩, 12주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준비운동 및 정리운동 각 10분, 본운동은 40분간 실시하여 매 운동시마다 총 60분씩 수행하였다. 운동강도는 혈중젖산농도가 2mmol・L-1을 의미하는 젖산역치수준 시점과 젖산축적개시점인 4mmol・L-1 수준으로 설정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률, 제지방량, 에너지 섭취량, 렙틴, 그렐린, 인슐린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E-OBLA그룹은 AE-LT그룹과 비교하여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 결과를 가져왔으며(p<.001), NE-LT그룹보다 제지방량의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지만(p<.05), 체중 및 에너지 섭취량에서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p>.05). 식욕조절관련 호르몬에서, 렙틴과 인슐린은 NE-OBLA그룹이 AE-LT그룹(p<.001) 및 NE-LT그룹(p<.05)보다 감소하였으며, 그렐린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고강도의 무산소성 운동에 따른 신체조성의 변화는 식욕조절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시켰지만, 에너지 섭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energy intakes, and appetite regulating hormones in the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The subjects were 50 obese women, 10 aerobic exercise group in the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AE-OBLA), 10 aerobic exercise group in the blood lactate threshold (AE-LT), 10 anaerobic exercise group in the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NE-OBLA) 10 anaerobic exercise group in the blood lactate threshold (NE-LT), and 10 control group (CON). The subjects have performed the exercise program for 60 minutes a day and 3 times a week with a level of 2mmol・L-1 for the blood lactate threshold and a level of 4mmol・L-1 for the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during 12 weeks.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in NE-OBLA compared with AE-LT (p<.001) and free fat mass significantly increased in NE-OBLA compared with NE-LT (p<.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and energy intakes among the groups. For appetite regulating hormones, leptin and insulin significantly decreased, also elevated in ghrelin to NE-OBLA compared with AE-LT (p<.001) and NE-LT (p<.05). In conclusion, there was positive responses for body composition and appetite regulating hormones to anaerobic exercise in high intensity, but not for energy intak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혈중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에서의 유·무산소성 운동이 신체조성, 에너지 섭취량, 그리고 식욕조절관련 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중년비만여성 50명을 선정하였으며,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에서의 유산소성 운동그룹(AE-OBLA) 10명,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유산소성 운동그룹(AE-LT) 10명, 젖산축적개시점 수준에서의 무산소성 운동그룹(NE-OBLA) 10명, 젖산역치 수준에서의 무산소성 운동그룹(NE-LT) 10명, 통제그룹(CON) 10명으로 구분하였다. 본 실험의 운동프로그램은 주 3회씩, 12주간의 과정으로 진행하였으며, 준비운동 및 정리운동 각 10분, 본운동은 40분간 실시하여 매 운동시마다 총 60분씩 수행하였다. 운동강도는 혈중젖산농도가 2mmol・L-1을 의미하는 젖산역치수준 시점과 젖산축적개시점인 4mmol・L-1 수준으로 설정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률, 제지방량, 에너지 섭취량, 렙틴, 그렐린, 인슐린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NE-OBLA그룹은 AE-LT그룹과 비교하여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 결과를 가져왔으며(p<.001), NE-LT그룹보다 제지방량의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지만(p<.05), 체중 및 에너지 섭취량에서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p>.05). 식욕조절관련 호르몬에서, 렙틴과 인슐린은 NE-OBLA그룹이 AE-LT그룹(p<.001) 및 NE-LT그룹(p<.05)보다 감소하였으며, 그렐린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고강도의 무산소성 운동에 따른 신체조성의 변화는 식욕조절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시켰지만, 에너지 섭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사전측정과 비교한 측정시기간 체지방률의 변화는 통제그룹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결과를 가져왔다(p<.001). AE-OBLA그룹은 통제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NE-OBLA그룹은 AE-LT그룹(p<.001) 및 통제그룹(p<.001)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지방량의 변화는 사전측정과 비교하여 통제그룹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p<.001), 특히 NE-OBLA그룹에서 측정시기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그룹간 차이의 결과는 NE-OBLA그룹의 경우 NE-LT그룹(p<.05) 및 통제그룹(p<.001)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측정시기간 에너지 섭취량과 체중의 변화는 통제그룹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01), 각 그룹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5). 사전측정과 비교한 측정시기간 렙틴의 변화는 통제그룹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AE-OBLA그룹과 AE-LT그룹은 통제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NE-OBLA그룹 또한 통제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 양상을 나타내었으며(p<.001), NE-LT그룹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그렐린의 변화는 사전측정과 비교하여 통제그룹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p<.001), 특히 NE-OBLA그룹에서 측정시기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그룹간 차이의 결과는 AE-OBLA그룹은 통제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NE-OBLA그룹의 경우 통제그룹과의 차이뿐만 아니라 AE-LT그룹(p<.001) 및 NE-LT그룹(p<.05)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측정시기간의 인슐린 변화 역시 통제그룹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결과를 가져왔다(p<.001). AE-OBLA그룹은 통제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NE-OBLA그룹은 AE-LT그룹(p<.001), NE-LT그룹(p<.05), 통제그룹(p<.001)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어떠한 운동강도와 운동유형의 적용이 비만관련 요인에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2주간의 다양한 조건의 운동프로그램 중 고강도의 무산소성 운동형태가 저강도의 유산소성 운동형태보다 호르몬 반응 및 신체조성 요인에 더욱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색인어
  • 혈중 젖산축적 개시점, 신체조성, 렙틴, 그렐린, 인슐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