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국내대학교와 베트남자매대학교와의 3+1, 2+2 공동교육제도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32-A00172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강우
연구수행기관 청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베트남관련학과가 있는 국내대학들은 베트남자매대학들과 다양한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3+1과 2+2 공동교육프로그램이다. 이 제도는 어학 능력 향상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현지 한국인들은, “한국의 소속학교를 불문하고 베트남에서 장기 연수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 보다 어학실력이 뛰어나다”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3+1, 2+2제도는, 교육의 내용과 체계가 한국과는 다른 베트남현지에서의 교육기간이 길어지고 한국에서의 교육기간이 그 만큼 짧아지면서 언어구사능력이 향상된다는 의미는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국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통합적인 업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에는 부적합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대학교육이 취업과 직접 관련되어 있고 기업에서의 업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할 때, 연구자는 대학교육의 1/4 또는 1/2에 해당하는 기간을 기업문화 즉, 기업이 요구하는 가치관과 행동규범이 다른 국가에서 공부하는 공동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여기에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첫째, 현재의 3+1, 2+2프로그램은 통합적인 업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이라는 목적에 적합한 제도인가? 둘째, 보다 단기적인 답을 도출할 수 있는 질문으로, 현실적인 범위 내에서 선택을 한다면 3+1, 2+2 두 가지 중 어느 제도가 목적에 보다 적합한가? 또 그 시기는 언제가 적합한가?
    이상의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은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겠지만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공동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라는 궁극적인 질문에 대한 답에 도달하게 될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베트남과의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시행 중인 대학들은 공동교육프로그램의 효과와 문제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개선방안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히 전공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 전공을 통해 취업하려는 학생들에게는 베트남에서의 공동교육프로그램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특효약인 것처럼 인식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철한 시각을 갖고 보다 효과적인 접근을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베트남과의 공동교육프로그램을 구상 중이거나 계획 중인 대학들은 공동교육프로그램의 의의와 장단점을 파악하여 시행착오를 줄이는 동시에 신속히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과의 교류가 아직 유학생이나 연구자 교류에 머물러 있는 대학들도 공동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인식하고 추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외국대학, 특히 신흥시장으로 주목받아 한국기업의 진출이 활발하여 베트남과 유사한 상황에 있는 국가의 대학과 공동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대학들 역시 본 연구를 참고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먼저, 이미 수 년 동안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해 왔고 자료 접근이 용이한 1개 대학을 분석 모델로 선정하여 공동교육프로그램에 관한 협정서와 이를 실제로 운영하는 현실을 비교하여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3+1, 2+2 공동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경험이 있고 또 참여 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학생선발, 교과과정, 교재, 교수, 평가, 수업내용의 이해도, 교내외 활동, 취업 시점 및 기회”라는 분석의 틀을 이용해 제기된 문제의 답을 찾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베트남자매대학교,공동교육프로그램,3+1,교과과정,교수,언어구사능력,교재,업무수행능력,평가 ,2+2
  • 영문키워드
  • Sister University in Vetnam,2+2,Joint Education Program,3+1,Evaluation ,Curriculum,Command of Language,Lecturer,Course Material,Work Competenc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베트남과의 투자와 교역이 활발한 상황에서 각 기업의 베트남어 전공자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관련학과가 있는 대학들은 학생들에게 현지연수 기회를 최대한 확대하기 위해 베트남자매대학들과 다양한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3+1과 2+2 공동교육프로그램이다. 그러나 3+1, 2+2제도는, 교육의 내용과 체계가 한국과는 다른 베트남현지에서의 교육기간이 길어지고 한국에서의 교육기간이 그 만큼 짧아지면서 언어구사능력이 향상된다는 의미는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국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통합적인 업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에는 부적합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하고자 한다.

  • 영문
  • The demand on major in Vietnamese language is increasing in many companies due to the brisk investment and trade with Vietnam. Universities where Vietnam-related major is opened operates various joint education programs with Vietnamese sister universities in order to expand local trai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3+1 and 2+2 joint education programs are the typical examples. These programs have their own strengths that students earn a good command of language as local study period is prolonged because Vietnam has a different educational contents and system. However, as the education period in Korea is shorten these programs have been criticized for being inappropriate to nurture human resource with high work performance that many domestic corporations require. This study will draw a conclusion about the questions “what is the problem of joint education programs and what is the improvement pla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베트남과의 투자와 교역이 활발한 상황에서 각 기업의 베트남어 전공자에 대한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관련학과가 있는 대학들은 학생들에게 현지연수 기회를 최대한 확대하기 위해 베트남자매대학들과 다양한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3+1과 2+2 공동교육프로그램이다. 그러나 3+1, 2+2제도는, 교육의 내용과 체계가 한국과는 다른 베트남현지에서의 교육기간이 길어지고 한국에서의 교육기간이 그 만큼 짧아지면서 언어구사능력이 향상된다는 의미는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국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통합적인 업무수행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에는 부적합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개선방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베트남대학교와의 3+1, 2+2 공동교육프로그램은 적어도 베트남어학 능력의 향상에는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3+1 참여 학생들의 4학년 전공 수업 성적 향상을 통해 알 수 있다. 하지만 베트남에서의 수학 기간 동안 성적은 눈에 띠게 떨어지고 있으며 그 기간이 길어질수록 전체 평점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물론 성적이 떨어지는 것과 함께 생각해야 할 것은 이를 상쇄할 만큼 베트남현지에서 내실 있는 학습이 이루어지는가 하는 것이다. 만약 평점이 낮아진다고 해도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학습이 가능하다면, 또 이를 통해 실질적인 학생들의 경쟁력 제고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충분히 감수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베트남어 이외 분야의 향상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자칫 한국에서는 베트남에서 베트남어를 본격적으로 베우기 위한 준비 단계에 그치고, 베트남에서는 베트남어에 집중된 언어 위주의 대학교육으로 전락하여, 오히려 깊이가 요구되는 문화코드의 접근을 차단하는 역효과를 낳을 수도 있는 것이다. 베트남의 한국어과 학생들과 대화 할 때, 처음 회화시에는 그 유창함에 감탄하지만, 몇 분만 지나면 깊이 있는 내용의 대화를 할 수 없다는 장벽을 느끼곤 한다. 공동교육프로그램이 계속해서 언어 위주로 진행된다면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이는 나아가 베트남어도 부족하고 한국식 사고, 업무수행능력도 부족한 사람으로 머물게 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한다.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베트남어의 향상을 위해 공동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면 3+1로 통합한다. 또한 현재 3, 4학년 모두에게 적용되고 있는데 이를 3학년에게만 적용하여 4학년은 한국에서 공부하며 취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3학년 1학기까지 마치고 3학년 2학기와 4학년 1학기를 3+1로 학습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 또한, 청운대학교 학생들 또는 한국의 타대학 학생들과 1개 반을 운영하는 현재 방안에서 학점이 4.0 이상인 학생들 대상으로 베트남대학생들과 함께 동일한 과정을 이수하게 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소수의 우수학생들에게 짧은 시간에 베트남사회를 깊이 접할 수 있도록 하고 그만큼 학습의 강도를 높여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공동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학생의 의견을 청취하지 못하고 특히 공동교육의 파트너인 베트남측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공동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첫걸음이며 이를 통해, 현재 베트남자매대학들과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실시 중인 타 대학들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베트남과의 공동교육프로그램을 시행 중인 대학들은 공동교육프로그램의 효과와 문제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개선방안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히 전공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 전공을 통해 취업하려는 학생들에게는 베트남에서의 공동교육프로그램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특효약인 것처럼 인식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철한 시각을 갖고 보다 효과적인 접근을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둘째, 베트남과의 공동교육프로그램을 구상 중이거나 계획 중인 대학들은 공동교육프로그램의 의의와 장단점을 파악하여 시행착오를 줄이는 동시에 신속히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베트남과의 교류가 아직 유학생이나 연구자 교류에 머물러 있는 대학들도 공동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인식하고 추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외국대학, 특히 신흥시장으로 주목받아 한국기업의 진출이 활발하여 베트남과 유사한 상황에 있는 국가의 대학과 공동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대학들 역시 본 연구를 참고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베트남자매대학교, 3+1 공동교육프로그램, 2+2 공동교육프로그램, 언어구사능력, 통합적 업무수행능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