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법 체계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에 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7-B0073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정진명
연구수행기관 단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 민법은 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동안 크고 작은 개정이 있었지만 민법의 기본원칙에 대하여는 큰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2009년 2월 민법개정위원회가 설립되어 민법개정 작업이 진행되면서 소비자 보호에 관한 특별법의 규정을 민법전에 수용하고자 하는 논의가 벌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소비자 보호에 관한 특별법을 민법전에 통합하는 경우 사법질서의 조감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또한 특별법의 민법전에의 환원은 일반사법의 핵심인 민법전의 위상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민사적 법률관계에 대한 통일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특별법의 민법전에의 통합은 민사법의 규율에 있어서 동질성을 창출하고, 소비자 보호에 있어서 법의 적용을 민법의 기본원칙에 부합하도록 조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사법체계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은 민법개정의 핵심사항으로서 그 연구의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법체계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은 전혀 생소한 것으로서 현행민법의 모태인 근대시민법이 소비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왔는지에 대하여는 연구가 결여되어 있다. 즉 기존의 연구는 주로 민법과 소비자보호법과의 상호관계, 소비자계약 관련 입법의 제정 문제, 각국의 소비자보호 관련 입법의 소개 등이 다루어져 왔고, 최근 들어 소비자보호 관련 법률의 민법전에의 수용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어 왔다. 특히 우리 민법의 개정작업에 있어서 소비자 관련 규정의 도입 여부에 대한 논의는 국내의 학문적인 연구의 결과이지만 그 배경에는 독일, 프랑스, 일본의 민법개정 또는 민법개정에 대한 논의가 국내의 개정작업과 맞물려 주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원자론적인 개인, 즉 시민을 이념적 기반으로 한 근대시민법 원리가 산업자본주의 경제로 발전하고 독점자본주의에 의한 상품교환이 일상화 된 현대사회 속에서 소비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왔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즉 근대시민법의 기본적 구성요소로서 논의되고 있는 기본원리 속에서 인격자 개념과 소비자, 사적 자치와 소비자, 과실책임의 원칙과 소비자로 나누어서 그 발현 모습 및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사법상의 여러 제도에서 발현되고 있는 소비자의 개념 및 그 입법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소비자 보호는 그 근본적인 목적이나 규범구조상 입법이나 법률의 적용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을 출발점으로 한다. 그러나 소비자 개념 자체의 모호성, 일반사법인 민법과의 부조화, 그리고 소비자상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고려하고 있다.
    첫째, 소비자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도모한다. 종래에는 소비자법을 “사업자와 사적 소비자 사이의 특별사법”이라고 보아 그 적용주체를 달리 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법영역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소비자법상의 소비자 개념이 일반사법인 민법의 원리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소비자 개념의 통합적 이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둘째, 소비자법상의 소비자 개념이 일반사법인 민법과의 부조화를 이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소비자 개념에 대한 논란의 하나는 사회국가적 색채를 띤 소비자 보호 관련 법률과 자유주의에 토대를 둔 민법전 사이에는 조화되기 어려울 정도의 가치평가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인식이다. 이 연구는 소비자 개념과 민법의 기본이념에 대한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민법이 민사적 법률관계의 중추적 지위를 회복하고, 또한 민사법의 체계적 통일성을 제고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민법개정 작업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의 도입에 대한 논의 및 소비자 개념정의에 대하여 많은 입법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셋째, 소비자 보호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유형의 법익침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주로 행정적 성격을 가지는 법률들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다. 이 연구는 소비자 개념의 재정립을 통하여 소비자 보호에 대하여 효율적인 법익보호 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 연구 자료로써 뿐만 아니라 민사법 이론의 토대로 이용될 수 있다.
    넷째, 소비자 개념에 대한 입법론적 방향의 제시는 이에 관한 해석론과 판례가 미흡한 우리나라 소비자법의 현실에 있어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최근 논의되고 있는 민법개정이나 소비자보호 관련 법률의 개정에 대안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어떠한 사실적 또는 법률적 요건이 충족될 때 소비자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바람직한 소비자상 정립 및 정책 입안에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우리 민법의 기초인 근대시민법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 재산, 거래에 관한 기본법의 논리적 토대이다. 이러한 근대시민법이 적용대상으로 상정하고 있는 사회는 원자론적 개인인 시민으로 구성되며, 상품교환이라고 하는 사회적 과정을 보장하기 위한 법이라는 기본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즉 봉건적 지배관계가 타도된 직후 기본적으로 평등한 소상공업인 상호간에 전개된 상품교환에 관한 법이 근대시민법이고, 그 후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하여 산업자본주의가 유지되고 있는 현재에도 시장경제가 유지되는 한도에서는 근대시민법이 사회의 기초법으로서 그 기능을 다하고 있다. 그러므로 근대시민법에 있어서 소비자 또는 소비자 문제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자본주의 경제가 고도로 발전하면서 소상공인은 자본소유자인 자본가와 노동력 이외에는 가진 것이 없는 노동자로 분화되었다. 자본가는 그가 소유하는 자본을 투입하여 물건을 생산한 반면, 노동자는 한편으로 자본가에게 그 생존을 위하여 노동력을 팔고(고용계약), 다른 한편으로 자본가로부터 소비재인 상품을 구입하게 되었다(매매계약). 전자의 경우 강자인 자본가가 약자인 노동자를 지배, 착취하는 계약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었고, 그 결과 계약자유 원칙의 형식적 관철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후자의 경우 자본주의 경제의 발전에 수반된 자본의 집적·집중화가 진행되고, 기업의 규모가 거대화되는 동시에 과점화 또는 독점화가 진행됨으로써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 또는 제공하는 당사자간의 격차가 확대되었다. 그러므로 소상공인을 이념적 기초로 하는 근대시민법에 대한 수정으로 소비자 보호에 대한 이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 보호에 대한 논의의 기초로서 “누가 소비자인가”, “소비자는 민법의 기본이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그리고 “소비자 개념은 민법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법이론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특히 근대시민법의 기본적 구성요소로서 논의되고 있는 기본원리 속에서 인격자 개념과 소비자, 사적 자치와 소비자, 과실책임의 원칙과 소비자로 나누어서 그 발현 모습 및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사법상의 여러 제도에서 발현되고 있는 소비자의 개념 및 그 입법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민법 및 민사특별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한글키워드
  • 소비자-시민,민법,자연인,소비자,사법,소비자보호법
  • 영문키워드
  • Consumer-Citizen,Consumer,Civil Law,Private Law,Consumer Protection Act,Natural Pers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들어 소비자보호 관련 법률의 민법전에의 수용 여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법체계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은 전혀 생소하며, 현행민법의 모태인 근대시민법이 소비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왔는지에 대한 연구도 없다. 따라서 소비자 보호에 대한 논의의 기초로서 “누가 소비자인가”, “소비자는 민법의 기본이념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 “소비자 개념은 민법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법이론적 문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시민을 이념적 기반으로 한 근대시민법 원리가 독점자본주의에 의한 상품교환이 일상화 된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왔는지를 검토하였다. 즉 근대시민법의 기본적 구성요소로서 논의되고 있는 기본원리 속에서 인격자 개념과 소비자, 사적 자치와 소비자, 과실책임 원칙과 소비자로 구분하여 그 발현모습 및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사법상의 여러 제도에서 발현되고 있는 소비자의 개념 및 그 입법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민법 및 민사특별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영문
  • Recently, whether the acceptance of civil code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onsumer is being discussed. However, the concept of consumer in the private law system has seldom been discussed. And the research on how modern civil law, which the present civil law was born from, has never grasped and reacted on the consumer, ei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o the consumer is", "how the consumer is related to the basic dogma of civil law", and "whether the concept of consumer can be accepted in civil law". which are the elements of discussion to the protection of consumer.
    This study examines the way the present civil law has grasped and reacted to the consumer in modern society which goods exchange has been common by monopoly capitalism. To do this, this paper examines the feature of appearance and the contents of 'concept of legal person and consumer', 'private autonomy and consumer', and 'civil liability and consumer', which are the elements of modern civil law.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concept of consumer that has been used in several legal systems and the possibility of its legislation centered in civil law and civil special law.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제1장에서는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에 대하여 다루었다. 이 연구는 2009년 2월 민법개정위원회가 설립되어 민법개정작업이 진행되면서 소비자 보호에 관한 특별법 규정을 민법전에 수용하고자 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벌어졌고, 이러한 현실에 인식을 두고 시작되었다. 그 이유는 사법체계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은 전혀 생소하며, 현행민법의 모태인 근대시민법이 소비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왔는지에 대하여는 연구가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원자론적인 개인, 즉 시민을 이념적 기반으로 한 근대시민법 원리가 산업자본주의 경제로 발전하고 독점자본주의에 의한 상품교환이 일상화 된 현대사회 속에서 소비자를 어떻게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왔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하여 사법상의 여러 제도에서 발현되고 있는 소비자의 개념 및 그 입법화의 가능성에 대하여 민법 및 민사특별법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에 대하여 다루었다. 제1절에서는 민법의 이념과 소비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근대시민법의 원리, 법인격 개념과 소비자, 계약자유의 원칙과 소비자, 과실책임의 원칙과 소비자로 나누어서 그 발현모습 및 내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2절에서는 현대사법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장질서에서 소비자의 법적 지위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사법에서 소비자 개념의 수정에 대한 내용으로 소비자 인격의 배려, 소비자 계약, 민사책임 법리의 전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3절에서는 소비자 개념에 대한 입법론으로서 소비자 개념의 확대에 대한 논의와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비자 개념에 대한 법률규정으로서 소비자 개념에 대한 입법형식, 우리나라 및 각국의 입법례를 살펴보고, 끝으로 소비자 개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여기서는 현행 소비자 개념에 대한 해석론 및 확대 논의, 그리고 입법론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구결과의 활용계획으로서 소비자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 일반사법인 민법과의 체계적 통일성을 제고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 제공, 소비자 보호에 대하여 효율적인 법익보호 방법 강구, 소비자 개념에 대한 입법론적 방향의 제시 등을 목표로 하였다.
    제4장에서는 이 연구에 참고한 국내외 문헌들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소비자 보호는 그 근본적인 목적이나 규범구조상 입법이나 법률의 적용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을 출발점으로 한다. 그러나 소비자 개념 자체의 모호성, 일반사법인 민법과의 부조화, 그리고 소비자상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고려하고 있다.
    첫째, 소비자 개념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도모한다. 즉 종래에는 소비자법을 “사업자와 사적 소비자 사이의 특별사법”이라고 보아 그 적용주체를 달리 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하는 법영역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현대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누구나 소비자가 될 수 있으며, 또한 소비자법은 일반사법인 민법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소비자법상의 소비자 개념은 민법 안에서 인적 적용범위를 정하는 소극적 기능만을 담당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소비자법상의 소비자 개념이 일반사법인 민법의 원리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소비자 개념의 통합적 이해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둘째, 소비자법상의 소비자 개념이 일반사법인 민법과의 부조화를 이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소비자 개념에 대한 논란의 하나는 사회국가적 색채를 띤 소비자 보호 관련 법률과 자유주의에 토대를 둔 민법전 사이에는 조화되기 어려울 정도의 가치평가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인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민법전이 민사적 법률관계의 해결과 멀어지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소비자 개념과 민법의 기본이념에 대한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민법이 민사적 법률관계의 중추적 지위를 회복하고, 또한 민사법의 체계적 통일성을 제고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민법개정 작업에 있어서 소비자 개념의 도입에 대한 논의 및 소비자 개념정의에 대하여 많은 입법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셋째, 소비자 보호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유형의 법익침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주로 행정적 성격을 가지는 법률들에 의하여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입법적 규율태도는 법익주체의 법익보호에 불충분하므로 민사법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이를 보다 실제적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민사법적 보호는 법적용의 한계, 법익보호와 보호비용의 관계, 사후적 구제라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 연구는 소비자 개념의 재정립을 통하여 소비자 보호에 대하여 효율적인 법익보호 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 연구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민사법 이론의 토대로 이용될 수 있다.
    넷째, 소비자 개념에 대한 입법론적 방향의 제시는 이에 관한 해석론과 판례가 미흡한 우리나라 소비자법의 현실에 있어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최근 논의되고 있는 민법개정이나 소비자보호 관련 법률의 개정에 대안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어떠한 사실적 또는 법률적 요건이 충족될 때 소비자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바람직한 소비자상 정립 및 정책 입안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사법, 근대시민법, 소비자, 소비자법, 법인격, 계약자유의 원칙, 민사책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