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정도전의 학교교육 및 과거제 개혁 구상과 그 제도적 귀결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7-B00512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연호
연구수행기관 광주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정도전은 태조의 즉위교서를 통해 고려의 양대업 체제를 대체하는 문무 양과 체제를 천명하고 새로운 체제의 가장 중요한 시험인 문과의 절차와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고려 말의 과거 제도가 처해 있던 상황에 대한 나름의 진단과 평가 위에서 내놓은 해결책이었을 것이다. <그의 진단과 평가는 무엇이었나?> 이것이 본 연구를 통해 답하고자 하는 하나의 큰 질문이다.
    다음으로 정도전은 태조의 ‘즉위교서’라는 구속력 강한 행사와 매체를 통해서 자신의 정책 구상을 피력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경국대전』을 보면, 그의 애초의 구상은 좌절되었거나 큰 굴절을 겪어 매우 다른 형태로 제도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정책 입안자의 갑작스러운 피살’이라는 요인 이외에 달리 이 좌절 또는 굴절을 설명할 수는 없는가?> 이것이 본 연구자가 답하고자 하는 두 번째 큰 질문이다.
  • 기대효과
  • ⑴ 한국의 과거제도사와 교육사를 보다 더 넓은 퍼스펙티브 속에서 재서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⑵ 교대생이나 사대생 등 장차 교사가 될 사람들 또는 현직 교사들이 우리의 교육적 전통에 대해 보다 폭넓은 안목을 갖추도록 교육시키거나 재교육시킬 때 유용한 연구 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고려조와 조선조의 사회 제도, 특히 고려 말의 제도와 조선 초기의 제도 사이에는 기본적 연속성과 함께 상당한 차이가 아울러 존재한다. 기본적 연속성은 역시 두 왕조가 모두 전근대적 왕조 체제를 공통의 기반으로 하면서 시간적으로 전후하고 있다는 데서 연유할 것이다. 차이는 조선 왕조가 전조(前朝)인 고려 말의 제 모순과 폐단의 개혁을 부르짖고 출범했을 뿐만 아니라 성리학적 가치와 이상에 입각한 새로운 사회 비전을 제시했기 때문에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이 차이를 만들어 낸 정치적 주체, 여말에 개혁 세력의 선봉에 섰고 급기야 신왕조 개창의 주역이 된 일군의 문반 관료들을 학계에서는 보통 신흥 사대부 또는 신진 사대부라고 부른다. 신흥 사대부에 관해서는 이들의 가계가 향리․호장층과 연결된 경우가 많다는 것, 경제적으로 14세기 이래 시비술의 개선에 의해 휴한법을 극복함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크게 증대시킨 중소 지주층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리라는 것 등이 그 성격으로 지적되고 있지만, 이 집단의 또 하나의 특징은 사상적으로 정․주(程朱)의 성리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신봉했다는 것이었다.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은 이러한 신흥 사대부의 여러 특징들을 어느 누구보다도 잘 보여 주는 인물이다. 부친 정운경(鄭云敬, 1305~1366) 대에 와서 현달하게 되었지만, 정도전의 고조이자 봉화 정씨의 시조인 정공미(鄭公美)는 호장(戶長)이었으므로 그의 집안은 원래 향리 가문에서 출발했다. 정적들이 정도전의 외가 쪽에 천계(賤系) 혈통이 섞여 있다는 공격, 정확히는 외할머니가 천출이므로 그도 천출이라는 공격을 자주 해 댔다는 것도 그의 가세(家世)와 문지(門地)가 당시 기준으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는 방증이 된다. 그는 열여섯 일곱 살의 이른 나이에 정몽주의 영향을 받아 성리학을 접했고, 이윽고 그 열렬한 신봉자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씨잡변」,「심문천답」,「심기리편」 등의 저술을 통해 가장 적극적이고 체계적으로 불교를 배격했다.
    그렇더라도 여말의 정도전은 개혁파 신흥 사대부의 중요한 일인이었을 뿐이었다. 그러나 조선 왕조 개창 직후의 정도전의 정치적 위상은 남다른 것이었다. 그는 개국 1등 공신이었을 뿐만 아니라 태조의 오른팔로서 병권과 재정권을 장악하고 주요 요직을 겸임하면서 신왕조의 기틀을 다지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신숙주는 󰡔삼봉집󰡕 후서(後序)에서 “개국 초에 무릇 나라의 큰 틀이나 제도는 다 선생이 관여해 만들었으며, 당시에 영웅호걸들이 모두 일어나 우리 태조를 구름처럼 좇았으나 선생과 비교할 만한 이는 없었다.〔及開國之初。凡大規模。皆先生所贊定。當時英雄豪傑。竝起雲從。而無與先生比者。〕”고 평가하였다. 한영우의 표현대로 그는 사실상 ‘조선 왕조의 설계자’였던 것이다.
    본 연구는 정도전의 학교교육 및 과거제 구상과 그 제도적 귀결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정도전,학교교육,과거제
  • 영문키워드
  • Jeong Do-Jeon,School Education,State Examination Syste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사실상 ‘조선 왕조의 설계자’였던 정도전은 정치‧경제‧군사‧교육‧역사 편찬 등 여러 부면에 걸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먼저 왕명을 받아 17조의 개혁 정책을 담은 태조의 즉위 교서를 기초하여 즉위한 지 11일 만인 7월 28일에 공표함으로써 신왕조의 기본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태조 3년(1394)에는 「조선경국전」, 태조 4년(1395)에는 「경제문감」, 태조 6년(1397)에는 「경제문감별집」등을 저술하여 조선의 통치 이념과 통치 조직의 종합적인 체계를 제시하였다.
    본고의 관심사는 그의 여러 개혁 구상들 중 학교교육 및 과거제와 관련된 것들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루어지고 정착된 제도, 이를테면 『경국대전』과 정도전이 작성한 즉위 교서의 개혁안을 비교해 볼 때, 그의 개혁 구상은 물론 그대로 실현된 것도 있지만, 상당한 굴절을 겪고 변형되어 버린 것도 있었고, 아예 실현되지 못하고 폐기된 것도 있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그의 개혁안에는 소극적인 측면, 즉 당시 사대부 사회의 통념이나 가치관과 거리가 컸거나 너무 급진적이어서 현실 적합성이 떨어지는 측면도 있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측면을 다 고려하면서 정도전이 바꾸고자 했던 것과 그 귀결 사이의 차이를 설명하고 있다.
  • 영문
  • Jeong Do‐jeon is a typical historical character representing newly rising scholar-officials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acted as an architect of the Chosun Dynasty. This study focuses on his policies for the reform of school education an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it asks what were the Jung's intentions of the reform policies, why some of them had not survived in the long run, while others had survived. For this purpose, the writer reviewed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Koryosa,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nd Sambongjip as well as previous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사실상 ‘조선 왕조의 설계자’였던 정도전은 정치‧경제‧군사‧교육‧역사 편찬 등 여러 부면에 걸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먼저 왕명을 받아 17조의 개혁 정책을 담은 태조의 즉위 교서를 기초하여 즉위한 지 11일 만인 7월 28일에 공표함으로써 신왕조의 기본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태조 3년(1394)에는 「조선경국전」, 태조 4년(1395)에는 「경제문감」, 태조 6년(1397)에는 「경제문감별집」등을 저술하여 조선의 통치 이념과 통치 조직의 종합적인 체계를 제시하였다.
    본고의 관심사는 그의 여러 개혁 구상들 중 학교교육 및 과거제와 관련된 것들이다. 그런데 실제로 이루어지고 정착된 제도, 이를테면 『경국대전』과 정도전이 작성한 즉위 교서의 개혁안을 비교해 볼 때, 그의 개혁 구상은 물론 그대로 실현된 것도 있지만, 상당한 굴절을 겪고 변형되어 버린 것도 있었고, 아예 실현되지 못하고 폐기된 것도 있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그의 개혁안에는 소극적인 측면, 즉 당시 사대부 사회의 통념이나 가치관과 거리가 컸거나 너무 급진적이어서 현실 적합성이 떨어지는 측면도 있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측면을 다 고려하면서 정도전이 바꾸고자 했던 것과 그 귀결 사이의 차이를 설명해 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⑴ 한국의 과거제도사와 교육사를 보다 더 넓은 퍼스펙티브 속에서 재서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⑵ 교대생이나 사대생 등 장차 교사가 될 사람들 또는 현직 교사들이 우리의 교육적 전통에 대해 보다 폭넓은 안목을 갖추도록 교육시키거나 재교육시킬 때 유용한 연구 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신흥 사대부, 즉위 교서, 문과, 좌주-문생제, 감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