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본 빈곤의 영향 - 아동기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40;인문사회분야&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413-B00011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12월 01일 ~ 2014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이봉주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수정(서울대학교)
곽금주(서울대학교)
구인회(서울대학교)
박현선(세종대학교)
김정은
김근영(한림대학교)
김연수(서울대학교)
민원홍(서울대학교)
정익중(이화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생애주기적 관점을 이용한 빈곤의 영향에 대한 이해에는 그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아동기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3단계 연구에서는 한국의 빈곤, 특히 한국에서의 빈곤의 영향에 대한 연구과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학령기 전기에서 학령기 후기로의 이전시기와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및 직업생활으로의 이전시기의 아동·청소년기의 빈곤에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주요 연구 영역을 빈곤과 아동건강, 빈곤과 아동발달, 빈곤과 교육성취, 빈곤과 아동학대·방임, 빈곤과 청소년의 비행, 빈곤과 청소년의 미래관 등으로 설정하여 각 영역에 대한 패널 자료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한국에서의 아동발달에 있어서 빈곤의 영향에 대한 연구의 지향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3단계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된 1, 2 단계연구의 기반 위에 3세에서 20세까지의 아동발달과 빈곤의 역동적인 관계를 총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표이다.
  • 기대효과
  • 생애주기적 관점을 이용한 빈곤의 영향에 대한 이해에는 그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아동기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빈곤, 특히 한국에서의 빈곤의 영향에 대한 연구과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아동기의 빈곤에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주요 연구 영역을 빈곤과 아동건강, 빈곤과 아동발달, 빈곤과 교육성취, 빈곤과 아동학대․방임 등으로 설정하여 각 영역에 대한 패널 자료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한국에서의 빈곤의 영향에 대한 연구의 지향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아동기에 빈곤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 연구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과제이어서 3단계 총괄과제명은 1·2단계 총괄과제명과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단계에서 만 3세 코호트와 초등학교 6학년 코호트부터 시작한 종단연구가 추적조사를 통하여 2단계에서는 6-8세, 그리고 중3-고2 시기를 포함하게 되었고, 3단계에서 9-11세, 그리고 고3-대2가 된다. 3단계에서는 1·2단계에서 구축된 패널데이터에 더하여 초기 성인기까지 종단자료가 구축됨으로 본격적인 종단연구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현상을 기술하거나 상관관계를 보는 연구에서 보다 심층적인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시간의 선후에 따른 인과관계 검토 유형의 분석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사의 내용과 초등학교 입학기와 고등학교 입학기에 보다 적합한 내용으로 바뀌어 발달단계별 특성에 따른 연구가 추가될 예정이다.



    제1세부과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상급반 학령기 아동을 중·고등학교 및 대학교 이행 시점까지 추적하여 사회정서적 발달(socio-emotional development), 비행(delinquency), 아동학대, 학업성취(academic achievement), 진로의 다섯 가지 영역에서 빈곤이 아동·청소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종단적 조사연구(panel study)이다. 본 연구는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빈곤과 인간발달의 관계에 대한 장기추적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3단계 3개년 연구의 목표는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및 취업으로 이행하는 시기를 포함하여 고등학교, 대학교 및 취업 시기의 발달과정을 추적 조사,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3개년 각 년도에는 해당년도의 연구목표에 맞추어 문헌검토를 통한 이론 모형의 구축과 패널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한 실증분석 작업이 이루어진다.



    제2세부과제: 빈곤과 관련하여 사회계층에 따른 아동 후기 아동의 성장 및 심리 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사회복지학적 접근의 선행 연구들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학령기 아동 발달과 관련된 사회 계층적 변인, 또래변인, 학교변인. 교사와의 관계, 지역 사회 특징과 관련한 변인, 인구 통계학적 변인들을 탐색한다. 또한 부모와의 상호 작용과 아동 간 관련성을 조사한다. 설문지와 동시에 실험을 실시한다. 그리고 극빈층 아동들의 성정과 심리 발달의 특성을 파악한다. 사회 계층별 아동의 성장 및 심리 발달의 영역별 세부 요인간의 인과 관계 분석과 발달을 저해하는 위험 요인이 어떠한 과정으로 변화되고 있는가에 대한 심층 탐구를 하고, 1단계, 2단계, 3단계의 총 9년간 특히 저조한 발달을 보인 아동간 비교 분석을 통해 아동 초기~후기를 포괄하여 장기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위험요인 혹은 보호요인을 추출한다.
  • 한글키워드
  • 생애주기적 관점,발달심리,종단연구,아동빈곤,아동발달
  • 영문키워드
  • child development,longitudinal study,life cycle perspective,developmental psychology,child pover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본 빈곤의 영향
    - 아동기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총 3단계 9년에 걸친 아동기에 빈곤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 연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번 연구는 마지막 단계인 제 3단계에 해당한다.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본 빈곤의 영향을 아동기를 중심으로 총 3단계에 걸쳐 3세에서 11세 그리고 12세에서 20세에 이르는 두 cohort의 종단적 자료를 완료하여 3세에서 20세까지를 포함하는 stacked cohort design에 바탕을 둔 통합적 종단연구자료 생성을 완료하였다. 따라서 제 1세부과제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부터 대학진학 및 취업 이행기까지 청소년들의 발달과 빈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이전시기 혹은 청소년기의 빈곤의 영향으로 학대나 학업성취 문제, 그리고 우울‧불안, 위축 등의 내재화 문제나 비행 등의 외현화 문제와 같이 아동청소년기 주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이전 시기보다 그 문제의 정도가 점점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혹은 적어도 사회복지의 임상적 차원에서의 즉각적인 개입이 요구된다. 아울러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청소년들이 겪는 빈곤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제 2세부과제에서는 참여아동이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접어드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이전의 발달단계와 비교해 볼 때 보다 복잡한 발달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이 시기 아동들은 추상적이고 복잡한 심리 특성을 보이며 사회적 비교를 통한 자기발달을 경험한다. 또한 부모 뿐 아니라 또래와의 관계가 점차 중요하게 부각되며 교과과정의 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중되는 학업부담을 경험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빈곤과 학령기, 특히 아동 후기(만 9~11세) 발달간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수행된 주요 연구의 내용을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사회계층에 따른 아동 후기 발달을 고찰하였다. 둘째 사회계층에 따른 만 9~11세 아동의 성장 발육 및 심리 발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저소득층 아동의 성장발육 및 심리 발달에 대한 변인을 탐색하였다. 넷째, 저소득층 아동의 성장 발육과 심리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및 위험 요인 파악을 위한 종단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령별 혹은 해당 시기에 빈곤한 아동은 상대적으로 성장 발육 및 심리 발달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부정적인 발달적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 또는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제 1세부과제의 경우 첫째,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측면에서 먼저, 빈곤과 아동발달에 대한 이론모형 개발과 검증을 통한 사회과학 기초이론의 발전에의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빈곤을 초점으로 하여 사회환경과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이해를 넓힘으로써 사회과학의 기초이론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종단적 연구설계를 통한 선행연구의 방법론적 한계 극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종단 연구의 방법과 분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사회복지 분야 및 빈곤 연구 분야의 패널연구의 시발이라는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셋째, 빈곤 아동을 위한 생태체계적, 발달단계별 개입 방안 마련하였다. 빈곤지위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다양한 변수로서 가정, 학교, 지역사회 환경을 설정하여 빈곤 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빈곤 아동을 위한 다차원적인 개입 지점의 우선순위를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개입이나 정책수립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것이다. 넷째,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의 개입 지침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기존의 아동학대에 대한 개입이 아동 또는 학대가정 중심의 미시적인 개입에만 머물러 있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지역사회의 빈곤이 아동학대의 발생과 아동학대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아동학대와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의 실천 지침이나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교육연계 및 인력양성을 위한 활용방안 측면에서 볼 때 빈곤과 아동발달”에 관심 있는 사회과학 분야 학문후속세대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성과의 교과목에서의 활용을 가능케 하였다.
    제 2세부과제의 경우 먼저, 사회 계층별 아동 후기 성장발육 및 심리 발달에 대한 기초 지식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빈곤이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사회 계층별 취학 아동의 성장 및 심리 발달의 관련 변인에 대한 생애 주기적 연구로 새로운 차원의 연구 방향 제시하였다.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만 9~11세까지의 종단적 연구 설계를 통한 보다 심도 있는 관찰을 가능케 하였다. 넷째, 빈곤의 아동 발달에 미치는 위험 요인 모색, 중재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 제공하였다. 다섯째, 빈곤이 취학 아동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에서 빈곤과 부모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영문
  • A Study on Effect of Poverty From A Life Cycle Perspective
    - Focusing on Childhood Poverty -
    This study aims to collect longitudinal data for 3 stages, 9 years about effect of poverty on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analysis the data. This study is on the third stage. According to life-course perspective, it had collected longitudinal data of 2 cohorts, from aged 3 to aged 11, and from aged 12 to aged 20. And those are combined into a collective longitudinal data about aged 3 to aged 20 based on stacked cohort design. On the detailed project 1, research team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the period from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to admission to university or getting jobs. The results showed that exposure to poverty in this period and previous period, generally, negatively affects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like internalization problems-depression, anxiety, and withdrawal- and externalization problem-delinquency and so on-. Especially, as the data showed that adolescents in this period have more severe problems than before, interventions on national level and empirical social work level is required. Also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o establish systemic strategies about prevention of negative effects of poverty. On the detailed project 2, it focused on higher grade students on elementary school. In this period, more complicated development happens. Concretely, children show abstract and tangled psychological aspects, feel academic stress as level of difficulty of curriculum is getting highe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development of later childhood (aged 9 to 11). The major research contents are sam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later childhood in the context of social stratum was studied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growth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later childhood based on social stratum. Third,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physical growth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Forth, longitudinal studies to identify the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on physical growth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were accomplished.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in poverty shows negative physical growth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som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n those negative developmental outcomes were identified.
    The implications and further plans based on major research results are same as to follows. On the detailed project 1, first, it could contribute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science theories by building and testing the theoretical models about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s on poverty, social contexts, and child development, so it could widen understanding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Second, it overcame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by longitudinal study design. The longitudinal data and researche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on start of panel studies in social welfare and poverty studying fields. Third, it provides intervention models for children in poverty based on eco-systemic perspective and developmental stages. It contributes to identify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as it could analyze the various mediation-effects of factors of family, school, and community. The results c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policies and interventions. Forth, it contributes to make guide lines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on child abuse and neglect. Previous studies remained on micro-level, concentrating on abused or neglected child and family. Though,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identify how poverty of family and community affect on prevalence and types of child abuse, and how child abuse and child development are related each other. With the results, it could raise the necessity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 of child abuse, and give guidelines on interventions. Lastly, at the point of education and training, it could contribute to foster the younger researchers who have interests in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and the results will be applied in education.
    On the detailed project 2, first, it gives basic knowledge about later children’s physical growth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by social stratum.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retely examined the effect of poverty on children’s health and growth. Second, it provides new direction of researches on development of school aged children by social stratum. This study could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overty on child development. Third, in-depth studies were possible with longitudinal research designs. Forth, it gives basic data to verify the risk factors of children in poverty and to make interventions for them. Fifth, it could provide implications of longitudinal effects of poverty on school aged children. Lastly, this research gave the information about role of poverty and parents on the process of child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총 3단계 9년에 걸친 아동기에 빈곤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 연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번 연구는 마지막 단계인 제 3단계에 해당한다.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본 빈곤의 영향을 아동기를 중심으로 총 3단계에 걸쳐 3세에서 11세 그리고 12세에서 20세에 이르는 두 cohort의 종단적 자료를 완료하여 3세에서 20세까지를 포함하는 stacked cohort design에 바탕을 둔 통합적 종단연구자료 생성을 완료하였다. 따라서 제 1세부과제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부터 대학진학 및 취업 이행기까지 청소년들의 발달과 빈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적으로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이전시기 혹은 청소년기의 빈곤의 영향으로 학대나 학업성취 문제, 그리고 우울‧불안, 위축 등의 내재화 문제나 비행 등의 외현화 문제와 같이 아동청소년기 주요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청소년들이 겪는 빈곤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제 2세부과제에서는 참여아동이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접어드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이전의 발달단계와 비교해 볼 때 보다 복잡한 발달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이 시기 아동들은 추상적이고 복잡한 심리 특성을 보이며 사회적 비교를 통한 자기발달을 경험한다. 또한 부모 뿐 아니라 또래와의 관계가 점차 중요하게 부각되며 교과과정의 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중되는 학업부담을 경험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빈곤과 학령기, 특히 아동 후기(만 9~11세) 발달간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수행된 주요 연구의 내용을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사회계층에 따른 아동 후기 발달을 고찰하였다. 둘째 사회계층에 따른 만 9~11세 아동의 성장 발육 및 심리 발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저소득층 아동의 성장발육 및 심리 발달에 대한 변인을 탐색하였다. 넷째, 저소득층 아동의 성장 발육과 심리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및 위험 요인 파악을 위한 종단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령별 혹은 해당 시기에 빈곤한 아동은 상대적으로 성장 발육 및 심리 발달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러한 부정적인 발달적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활용계획은 다음과 같다. 제 1세부과제의 경우 첫째,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측면에서 먼저, 본 연구는 빈곤을 초점으로 하여 사회환경과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이해를 넓힘으로써 사회과학의 기초이론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종단적 연구설계를 통한 선행연구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종단 연구의 방법과 분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사회복지 분야 및 빈곤 연구 분야의 패널연구의 시발이라는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셋째, 빈곤 아동을 위한 생태체계적, 발달단계별 개입 방안 마련하였다. 넷째,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의 개입 지침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기존의 아동학대에 대한 개입이 아동 또는 학대가정 중심의 미시적인 개입에만 머물러 있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지역사회의 빈곤이 아동학대의 발생과 아동학대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아동학대와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의 실천 지침이나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교육연계 및 인력양성을 위한 활용방안 측면에서 볼 때 빈곤과 아동발달”에 관심 있는 사회과학 분야 학문후속세대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성과의 교과목에서의 활용을 가능케 하였다. 제 2세부과제의 경우 먼저, 사회 계층별 아동 후기 성장발육 및 심리 발달에 대한 기초 지식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빈곤이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사회 계층별 취학 아동의 성장 및 심리 발달의 관련 변인에 대한 생애 주기적 연구로 새로운 차원의 연구 방향 제시하였다.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만 9~11세까지의 종단적 연구 설계를 통한 보다 심도 있는 관찰을 가능케 하였다. 넷째, 빈곤의 아동 발달에 미치는 위험 요인 모색, 중재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 제공하였다. 다섯째, 빈곤이 취학 아동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에서 빈곤과 부모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제 1세부과제의 경우 첫째,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측면에서 먼저, 본 연구는 빈곤을 초점으로 하여 사회환경과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이해를 넓힘으로써 사회과학의 기초이론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종단적 연구설계를 통한 선행연구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종단 연구의 방법과 분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고 있어, 사회복지 분야 및 빈곤 연구 분야의 패널연구의 시발이라는 획기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셋째, 빈곤 아동을 위한 생태체계적, 발달단계별 개입 방안 마련하였다. 넷째,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의 개입 지침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기존의 아동학대에 대한 개입이 아동 또는 학대가정 중심의 미시적인 개입에만 머물러 있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지역사회의 빈곤이 아동학대의 발생과 아동학대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아동학대와 아동발달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의 실천 지침이나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교육연계 및 인력양성을 위한 활용방안 측면에서 볼 때 빈곤과 아동발달”에 관심 있는 사회과학 분야 학문후속세대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성과의 교과목에서의 활용을 가능케 하였다. 제 2세부과제의 경우 먼저, 사회 계층별 아동 후기 성장발육 및 심리 발달에 대한 기초 지식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빈곤이 아동의 건강과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둘째, 사회 계층별 취학 아동의 성장 및 심리 발달의 관련 변인에 대한 생애 주기적 연구로 새로운 차원의 연구 방향 제시하였다.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간접적인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만 9~11세까지의 종단적 연구 설계를 통한 보다 심도 있는 관찰을 가능케 하였다. 넷째, 빈곤의 아동 발달에 미치는 위험 요인 모색, 중재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 제공하였다. 다섯째, 빈곤이 취학 아동 발달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에서 빈곤과 부모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색인어
  • 생애주기, 아동기, 빈곤의 영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