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수업미디어와 소통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B00286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전숙경
연구수행기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미디어의 기술적 발전과 더불어 현대인의 생활은 미디어와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교육에서도 더 좋은 교육을 위해 각종 미디어를 활용하여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새로운 노력들을 하고 있다.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확대되는 것은 학생들의 흥미와 교육의 효율성에 도움이 되는 면이 많겠지만 한편으로는 미디어 활용 수업에 대한 반성적 노력도 함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반성적 자기성찰을 통해 진정한 교육의 목표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활용이 교사와 학생의 소통, 학생과 지식간의 소통에 진정으로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소통은 단순한 전달과는 차별되는 대화에의 참여이며 그것이 교육적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삶에 보다 친밀하게 관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전달의 차원을 넘어서 학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진정한 교육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차원의 소통에 각 미디어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날로 발전하는 미디어 활용 수업을 긍정적인 시각에서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그에 대한 반성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따라서 미디어를 활용한 교과교육, 미디어에 대한 교육에 자기 성찰적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디어의 활용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하는 데서 나아가 좀더 질적으로 수준높은 상호소통의 교육적 결실에 도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교과교육을 비롯한 수업 실천 영역과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을 구안하는 과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수업에서의 미디어 활용은 크게 구술미디어, 문자미디어, 전자미디어로 나눌 수 있다. 구술미디어는 교사와 학생 간의 질문과 대답을 통한 의사소통, 교사의 설명과 학생의 청취와 반응, 학생의 발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문자미디어는 교사의 판서, 학생의 필기, 보고서의 제출과 피드백 등이 해당된다. 요즈음 크게 그 활용이 촉진되고 있는 전자미디어는 ppt를 활용한 수업, 동영상 재생, 인터넷 활용 수업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디어는 전달의 매개일 뿐 아니라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표현방식에도 영향을 끼치면서 인간의 의사소통에 깊이 관여한다. 각 미디어의 종류에 따라 어떻게 소통의 방식과 질적 차원이 달라질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여명의 대학생들과 집단면접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참고하여 질문지를 작성하려 한다. 질문지는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미디어활용 수업 형태와 효율성, 만족감을 중심으로 실시하려 한다. 이때 연구자의 관심은 효율성의 차원이 아니라 소통의 질적인 차원이 중심이 된다. 심층면접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서는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소통의 차원에도 질적인 구분이 가능한데, 단순한 전달의 차원의 소통, 이해의 차원의 소통, 그리고 만남의 차원의 소통이 그것이다. 전달에서 학생은 매우 수동적인 상태에 있다. 이해의 차원은 설득력 있는 설명으로 인해 학생이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그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차원이다. 만남의 차원은 교사와 학생, 학생과 지식 간의 대화적 관계가 형성된 것으로 학생의 삶에 깊이 관여하는 차원, 학생이 적극적으로 만남의 자리에까지 이르는 상황을 말한다.
    면접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 미디어의 형태가 소통의 질적 차원에 어느 정도 관여하는지, 미디어의 형태에 상관없이 소통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지 파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미디어,교육적 소통,구술미디어,문자미디어,소통,전자미디어
  • 영문키워드
  • media,educational communication,communic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논문은 대학교에서 파워포인트와 사이버캠퍼스 등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과 교수, 학생과 학생, 학생과 지식 간의 소통에 어떤 경험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4년제 대학 3곳의 학생 약 120명에 대해 반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답변에 대하여 사용된 어휘의 빈도수를 조사하였으며 학생들의 답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전자미디어 세대의 특성 상 빠른 속도감과 편이성을 제공하는 미디어 활용을 대체로 지지하였으나 그로 인한 역기능들도 동시에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미디어활용이 지식의 전달에 치우쳐 있으며 학생들의 수동성을 조장하는 측면들도 드러나고 있었다. 학생들은 단순한 미디어의 활용 여부나 흥미 진작보다는 수업내용과의 적절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미디어가 학생들 간의 소통에 도움이 되지 못함으로써 쌍방향적인 장점이 잘 드러나지 못하고 있는 현상도 드러나고 있었다.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기능, 또는 학생들이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역기능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교수자들이 미디어 활용능력을 기르고 수업에서 전자미디어를 활용하려는 노력 못지 않게 효과적인 선택을 해야 하며 학생들과의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직접적 소통의 모습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영문
  • Recently instructors utilize electronic media such as Power Point and cyber campus in the classes at the University. This paper is focusing on what the university students really experie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sing electronic media with teacher or other students . For the research I made out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or about 120 students of four-year colleges in Seoul. I investigated for the answer of the students and trie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vocabulary that was used for the survey answers.
    The results show the students belong in the electronic generation, so they fast paced and generally support the use of the media in classes. But at the same time they recognize the dysfunction of media. It shows professors often utilize electronic media to convey a lot of knowledge, sometimes it promotes students more passive.
    Students want the media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ourse content rather than to be used In order to boost interest. In addition, the interactive nature of electronic media was not also evident.
    To reduce these dysfunctions professors should cultivate practical skill to use electonic media. And they should use electronic media effectively in the classroom. More importantly, professors should not lose the direct communication of students with personal and human aspec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대학교에서 전자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과 교수, 학생과 학생, 학생과 지식 간의 소통에 어떤 경험으로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서울시내 4년제 대학 3곳의 학생 약 12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설문지에 대한 답변에 대하여 사용된 어휘의 빈도수를 조사하였으며 학생들의 답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전자미디어 세대인 학생들은 빠른 속도감과 편이성을 제공하는 미디어 활용을 대체로 지지하였으나 그로 인한 역기능들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미디어활용이 많은 지식의 전달에 치우쳐 있으며 학생들의 능동성을 앗아가는 측면들도 많이 드러나고 있었다. 전자미디어의 활용은 소통을 조장하는 매개이기도 하지만 너무 많은 정보를 미리 제공함으로서 수업 의욕을 떨어뜨리는 매개가 되는 등 양면성을 지니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이러한 양면성과 관련하여 단순한 미디어의 활용 여부나 흥미 진작보다는 수업내용과의 적절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학생들의 흥미가 지속되고 기억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전자미디어가 쌍방향적인 성격의 미디어임에도 불구하고 일방적 전달을 위한 미디어로 활용되고 있는 측면도 드러난다.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기능, 또는 학생들이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역기능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교수자들이 미디어 활용능력을 기르고 수업에서 전자미디어를 활용하려는 노력 못지 않게 효과적인 선택을 해야 하며 학생들과의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직접적 소통의 모습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현재 많은 대학에서 교수학습센터를 중심으로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이 한창이다. 교수자들의 미디어 활용능력 증진과 효과적인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 애쓰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업 효율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이 연구 결과를 통해 드러났다. 학생들은 전자미디어 세대로서 그 속도감과 편리함에 길들여져 있지만 동시에 그로 인한 역기능을 인식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미디어를 어떤 방향으로 활용하고 교수자들의 교수능력을 어떤 방향으로 향상시켜나가야 할 것인지, 앞으로 전자 미디어의 발달을 교육현장에 어떻게 수용해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 간의 깊이 있는 소통을 이루어내기 위해 어떤 교육방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 인간성이 회복되는 교육을 지향해 나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미디어, 수업, 소통, 대학생, 수업방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