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과학기술의 발전과 윤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30-B00225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황용석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재영(충남대학교)
장병희(성균관대학교)
신동희(성균관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통섭과 융합이라는 새로운 시대사조에 부응한 한국적 사회의 융·복합 지식 생성에 초점. 다가오는 미래의 융합정보지식사회로의 변화의 근간에는 정보와 과학기술의 융합이 있으며 이러한 융합기술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사회와 생활의 생태계를 바꾸어 놓고 있음. 본 연구는 사회와 기술 (정보통신/과학기술/뉴미디어)의 관계정립을 통해 사회-기술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사회-기술 융합생태계의 한국적 개념을 이론화하여 미래 우리사회의 보다 나은 사회-기술의 관계 패러다임 제시를 목적으로 함. 또한 기술의 이용과 활용, 기술과 사회의 상호관련성, 융합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제반 영향, 융합기술 발전과 사회적 맥락과의 관련성을 탐구하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술만능주의에 편향된 우리 사회의 기술에 대한 맹목성과 기술결정론적 시각을 시정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본 세부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음.

    1) 인간-사회 중심의 기술환경에 대한 개념화/이론화
    ▶정보통신, 과학기술, 그리고 미디어가 융합되고 통섭되는 새로운 스마트기술 생태계에서 우리사회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개념적 모델을 제시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 정보기술, 생명공학 등 기술이 다양한 사회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인간, 대중, 사회의 각 레벨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개발되고 형성되어 가는지를 심도있게 분석
    ▶기술의 사회적 본질과 성격을 올바르게 이해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변화를 탐색하고 과학기술문명과 관련된 부작용이나 환경문제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응책을 마련.
    ▶기술에 대한 사회구성적 접근을 통해 사회기술 생태계에서의 올바른 기술진화 방향을 제시하며, 최종적으로 한국사회의 안정적 사회기반조성을 목적으로 함.

    2) 세가지 차원의 연구영역
    ▶미시적 차원: 융합기술을 사용하는 개인사용자에 대한 연구로 융합기술 사용/활용/경험적 측면을 고찰을 통한 사용자 모델링.
    ▶사회적 차원: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기술과 사회의 융합과 공진화 (co-evolution)로 인한 변화, 융합기술의 사회적 영향, 윤리, 소셜미디어나 소셜테크놀로지의 집단지성, 온라인상의 사회문화적 규범, 사이버 문화 등의 주제를 연구.
    ▶제도적 차원: 융합기술에 대한 규제, 법제, 행정, 법체계 등을 연구함. 융합기술과 사회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공진화(共進化)한다는 이론을 토대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그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미래 모습을 체계적으로 예측하는 이론체계를 구축하는데 목표.

    3) 종합적이고 장기적 관점에서 기술-사회관계에 대한 이론화
    ▶1차 소형과제에서는 인간-기술, 사회-기술, 제도-기술의 세 가지 단위레벨에서의 연구를 통해 기술-사회 구성론적 관계를 구체화 및 개념화.
    ▶2차 중형과제에서는 검증된 기술-사회 구성론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이론적/경험적 연구.
    ▶3차 대형과제에서는 1, 2차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적 환경에 맞는 사회-기술 패러다임을 이론화하고, 한국적 사회-기술 생태계를 이론적으로 구현. 사회-기술 생태계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올바른 기술의 발전, 진화방향을 제시.

    4)10년간의 연구로드맵은
    ▶3년, 3년, 4년으로 나눠 진행되고, 초기에는 소형연구팀 간 연합을 통해 중장기 목적 달성을 위한 중형연구단 및 대형연구센터로 단계적 성장을 꾀함.
    ▶소형연구팀연구에서는 학과간 융합을 통한 공동연구를 하고,
    ▶중형과제에는 대학간 연구, 대형과제에서는 국제협력연구활성화를 통한 세계수준의 연구집단 육성.
    ▶중장기적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이 네트워크 노드(중심)가 된 국제적 사회과학연구 네트워크 형성. 장기적 종합적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한국사회에 새로운 패러다임/학파 (예 Social Informatics)를 형성하고, 산업적으로는 웹 2.0 (Web 2.0)를 넘어선 웹 3.0 같은 미래사회의 문화산업적 기술발전을 예측하고 새로운 기술에 맞는 사회 기반 조성하는 것이 목적.
  • 기대효과
  • 1) 한국적 사회과학 이론·모형 연구를 통한 기술의 사회과학적 연구의 한국적 담론완성
    ▶국내의 정보통신/과학기술의 발전은 외형적 기술적 측면의 향상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왔고, 그에 관한 연구도 기술적, 공학적 연구가 대세를 이룸. 기술발전에 따른 인간수요나 needs에 대한 이해, 사회문화윤리적 문제, 정책적 측면, 대중의 과학기술이해 부족으로 인한 부작용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정적 사회기반 (Social Infrastructure) 연구가 부재되어 있음. 본 연구는 기술의 사회과학적 연구에 기여.
    ▶융합기반기술 즉 IT, BT, NT의 등장과 확산과 이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는 시스템의 공진화가 필요하여, 기술영향평가, 기술의 심층적인 사회과학적 연구가 요구됨.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신규 IT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반해 현 법제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홈네트워크, 스마트 그리드, 디지털콘텐츠 등 새로운 IT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는데, 법제도나 정책지원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경향. 신규 IT서비스 활성화에 지장을 초래하는 직·간접적 규제를 개선하고 신기술을 견인할 수 있는 촉매의 역할로 법제도가 필요. 또한 신규 IT서비스 도입 및 확산에 있어서 기술과 법의 격차해소를 통해 관련 산업의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강화를 꾀해야 함. 이를 위해 신규서비스와 신상품의 진입 및 시장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입장벽 완화를 통한 탄력적 법제도 운용이 필요하며 사업영역 간 조정.중재, 당사자 간 합의 조정을 합리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 더불어 프라이버시 보호,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 신규서비스 도입시 사전적 조치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정책적 고려.
    ▶한국사회 진단 및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과학의 적실성 제고. 황우석 사건의 예처럼 과학, 정보통신, 생명공학에서의 과학기술인들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대중의 과학기술/정보통신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야 할 필요성 제기. 과학기술과정에 강화된 공공참여를 장려하는 분위기 형성
    ▶한국적 융합기술의 미래 창출: 한국의 정보통신은 동양의 문화 속에서 서양기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검토 없이 이질적인 서양기술이 급속히 유입되면서 형성. 지난 몇십간의 압축성장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발생. 1990년대 말부터 경제발전이라는 모토 아래 서양기술의 도입과 발전에 최선을 다한 결과 현재의 정보통신강국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 서구의 선진정보통신을 넘어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융합기술 미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사회적 상황과 실정을 제대로 평가하고 우리나라의 융합기술 전통을 창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적 융합기술과 정보통신문화를 창출하는데 기여.

    2) 융합에 관한 사회과학적 연구에 기여
    ▶국가는 문화콘텐츠 5대 강국 으로의 도약을 위해 콘텐츠 분야를 17개 신성장동력 산업 중의 하나로 포함시켜 산업 육성 및 CT R&D 전략을 수립하고 있음.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은 연평균 증가율 약 7.1%로 성장, 2012년 약 100조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IT의 뒤를 이어 신시장 개척과 기존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등 사회복지 증진 에도 기여.
    ▶기존의 융합형 콘텐츠에 관한 연구는 기술적 문제 해결에 치중되어 왔음. 미디어 간 표준 포맷 정의나 콘텐츠의 구현에 초점을 둔 연구는 콘텐츠 자체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연구나 검증을 도외시 하는 결과를 초래함.

    3) 국내외 사회적 현상 분석을 위한 사회과학 기초자료 구축
    ▶융합형 문화콘텐츠의 수출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기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 체계적 데이터베이스/아카이브로 장기적 연구 성과 도출에 기여.
    ▶연구아카이브 구축: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자료들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고 있어 연구자들이 여기저기 흩어진 자료를 찾느라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더욱이 중요한 자료들이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소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어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은 더욱 시급. 세부과제별로 중요 주제를 나누어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초동적인 작업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으로 우선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계획을 추진. 한국사회현상의 종합적 진단과 성찰을 위한 사회과학 기초자료 구축.

    4) 한국적 문화콘텐츠 창출/융합 신비즈니스 모델 활성화에 기여
    ▶문화콘텐츠산업 각 분야의 기반시설 확충, 전문 인력의 양성, 고부가가치 문화상품 개발, 우리 문화산업의 해외진출 연구 등 동 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
    ▶융합과 IT서비스 분야에서 지난해와 올해를 관통하는 키워드 중 하나는 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다양한 배경의 학자간 유기적 융합을 통해, “사회-기술관계의 한국적 개념화/이론화/전략화 및 한국사회과학의 Think Tank 확립으로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한 학제적 융합네크 구축”이라는 최종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제간 협동 연구의 틀을 세 그룹으로 나눔.
    ▶첫 번째 연구는 미시적 마이크로 (micro) individual 적 관점에서 사회구성원, 기술 이용자에 관한 연구로, ① 한국사회의 정보통신/과학기술/미디어의 수용과정, 사용, 활용, 사용자 경험연구, 기술을 사회적 현상으로서 분석하기 위한 사회과학 기초자료 (DB) 구축 ② 한국사회의 사회-기술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준거집단으로서 글로벌 콘텐츠 사용자 기반 연구와 그의 DB구축.
    ▶두 번째 연구는 메조 (mezzo) 적 societal 관점, 즉 융합사회와 대중사회에 관한 연구로, ③ 다양한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기술의 융합화하면서 그에 따른 사회의 변화, 윤리적 문제 등,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기술을 연구하고, ④ 사회속에서의 문화콘텐츠 등 문화산업 콘텐츠/서비스를 연구하고, 그런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산업적 환경을 연구.
    ▶세 번째 연구는 거시적 (macro) environmental 적 관점, 즉 제도적/정책적/환경적 연구로, 사회와 기술을 둘러싼 전체적 유기적 환경 (ecological context)과 전체적 생태계 (ecosystem) 이론화에 관한 연구로, ⑤ 사회와 기술이 균형적 발전을 할 수 있는 기반과 환경, 즉 정보통신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적절히 대응할 만한 안정적인 사회 문화 기반 (Social infrastructure)을 연구하고, ⑥ 융합환경에서의 산업경쟁력을 고취하고 새로운 융합기술/콘텐츠를 장려하며, 사용자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사회와 기술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적절한 법/규제/정책을 연구함.

    (1)스마트 융합기술사용자 연구: 미디어 생리학 (Media Physiology)과 인지심리학에 의거한 융합기술의 효과와 사용자의 수용/사용/경험에 관한 이론 및 실증적 측정 모델을 연구하여 한국사회의 기술과 사회구성원에 관한 기초자료 구축. 이 자료는 국내의 기술에 관한 사회적 현상 분석을 위한 사회과학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사회-산업차원연구에 도움이 됨.

    (2)글로벌 융합기술 사용자 연구:융합 기술 발전과 진화를 커다란 국가, 문화적 환경(Ecology)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기술과 social entity간의 상호작용연구를 통해 그 관계를 패턴화/모델화함으로써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의 개발 원리를 찾고, 글로벌 콘텐츠서비스 및 사용자에 관한 세계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

    (3) 사회변화․사회현상 ․윤리:정보기술/과학기술/융합기술의 등장으로 인한 제반 사회현상과 사회적 변이양태를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연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사이버범죄, 저작권 문제, 양극화문제, 사회갈등문제 등 사회 윤리적 문제들을 제기. 개별 과학기술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을 사회·문화적 패러다임 속에서 평가하고 그 대응책을 제시.

    (4) 한국적 문화콘텐츠 산업사회:치열해 지는 글로벌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한국적 킬러 콘텐츠를 육성하기 위한 문화산업비즈니스 모델과 융합환경의 문화 가치사슬모델 (Cultural value chain model) 을 연구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한국적 비즈니스 모델 제시. 융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 향후 기술발전을 예측하며 (Web 3.0), 그 기술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환경 연구.

    (5) 융합환경의 환경․ 사회․문화적 이슈:융합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환경파괴 문제, 사회문화적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바람직한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계를 정립. 융합과학기술사회에 대한 성찰적 탐구를 지향하여 융합기술의 효과적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과학기술발전이 인류의 복지에 유익하게 작용하도록 기여. 민주적 수단을 통한 기술통제의 방법 연구.

    (6) 융합환경의 사회문화산업 법․ 정책․규제 연구:사회와 기술이 균형적 발전을 할 수 있는 기반, 즉 정보통신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적절히 대응할 만한 안정적인 법, 제도, 규제 기반을 연구. 기술의 사회적 형성이나 기술체계의 사회적 구성을 연구하고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법규, 정책, 제도 연구. 특히 융합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영향평가 시스템 연구.

    결론적으로 사회-기술의 심층적 접점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융합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간중심의 융합기술과 과학기술▲사회윤리적 토대 ▲안정적 사회기술 발전을 위한 법제도 기반 등 3대 전략 아젠다 도출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함.
  • 한글키워드
  • 과학기술과 법제,과학기술과 사회,과학기술의 사회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기술의 사회적 영향,정보사회학,인간과 기술,스마트 융합,스마트 생태계,사회적 기술,사회와 기술의 접점,사회와 기술의 공진화,미디어 수용이론,문화기술,기술의 사회적 구성,과학기술의 사회학
  • 영문키워드
  • Co-evolution of Society and Technology,Cultural Technology,Interfaces of Society and Technology,Smart Convergence,Social Aspect of Computing,Social Reconstruction of Technology,Technology and Law/Regulation,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Social Technology (Social Service),Social Studies of Technology,Social Informatics,Smart Ecology,Media Adoption,Human and Technolog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본 연구는 사회와 기술 (정보통신/과학기술/뉴미디어)의 관계정립을 통해 사회-기술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사회-기술 융합생태계의 개념을 구체화/이론화하여 미래 우리사회의 보다 나은 사회-기술의 관계 패러다임 제시를 목적으로 함. 인간-사회 중심의 기술환경을 개념화/이론화를 통해 구현하고 사회기술 생태계에서의 올바른 기술진화 방향을 제시. 최종적으로 한국사회의 안정적 사회기반조성
    - 본 연구는 기술의 정의를 광범위한 융합적 차원으로 접근하여, 정보통신, 과학기술, 미디어가 융합되고 통섭되는 과정과 그 결과물을 통칭함.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하며 새로운 기술로 진화하는 과정속에서 인간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세가지 단계적 측면에서 연구함. 미시적 차원에서는 융합기술을 사용하는 개개이용자에 대한 연구로 융합기술 사용/활용/경험적 측면을 고찰. 사회적 차원에서는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기술과 사회의 융합과 공진화 (co-evolution)로 인한 변화, 융합기술의 사회적 영향, 소셜미디어나 소셜테크놀로지의 집단지성, 온라인상의 사회문화적 규범, 사이버 문화 등의 주제를 연구. 제도적 차원에서는 융합기술에 대한 규제, 법제, 행정, 법체계 등을 연구함.
    - 융합기술과 사회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공진화(共進化)한다는 이론을 토대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그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미래 모습을 체계적으로 예측하는 이론체계를 구축하는데 목표. 기술의 이용과 활용, 기술과 사회의 상호관련성, 융합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융합기술 발전과 사회적 맥락과의 관련성을 탐구하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술만능주의에 편향된 우리 사회의 기술에 대한 맹목성과 기술결정론적 시각을 시정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
    - 이를 위해 단기적 일회성 연구가 아닌, 한국사회에 적합한 기술-사회의 관계정립과 개념화를 위해 종합적이고 장기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함. 1차 소형과제에서는 인간-기술, 사회-기술, 제도-기술의 세 가지 단위레벨에서의 연구를 통해 기술-사회 구성론적 관계를 구체화 및 개념화. 2차 중형과제에서는 검증된 기술-사회 구성론적 관계를 바탕으로 한국적 상황에 맞는 이론적/경험적 연구. 3차 대형과제에서는 1, 2차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적 환경에 맞는 사회-기술 패러다임을 이론화하고, 한국적 사회-기술 생태계를 이론적으로 구현. 사회-기술 생태계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올바른 기술의 발전, 진화방향을 제시.

    연구결과
    ○ 1차년도는 기술 융합사회 문화콘텐츠 개발과 정책입안을 위한 사회 기술 상호작용연구 ○ 2차년도의 연구는 (1)융합형 기능성 콘텐츠 경험의 측정방안연구, (2)융합콘텐츠와 관련된 법규 규제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 ○ 3차년도 연구는 (1)한국적 상황에 맞는 문화 기술 서비스 분석, (2)융합과학기술의 대중화와 과학기술-사회체계와의 상호작용 이론화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
  • 영문
  • In this project,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interaction) between society and emerging technologies to set up a new conceptual model of relational interaction. Eventually,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to conceptualize a new paradigm of socio-technical system and theorize a sustainable ICT ecology.

    Co-evolutio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in a range of disciplines. Social technology is becoming ubiquitous in modem society, and it is having profound effects on institutions and expectations. The technology is very fluid, and development is shaped by a great many social factors. Prediction of the coevolution of social technology and society needs to be informed by a research framework that focuses attention on the key social, psychological, political, and economic influences on technology and technology use as well as on the emergence of stable uses, infrastructures, standards, and development paths. With this co-evolution idea in place, this project criticizes "technologically deterministic" approaches, which simply seek to extrapolate social change from technological potential.

    Based on our collaborat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we have published a number of publications and hosted numerous conferences and seminar. Through the 3-year long project, we believe we have mad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n society and academia by bringing out this issue to the society and by giving theoretical implications to the academia. Although the contribution can be modest, the results of this project can be heuristic value to the ongoing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smart society.

    Three key research areas have been studied (1) Interaction theories research have advanced fundamental theories and models of human cognition, emotion, attitude, and behaviors in interactive systems; integrated human-technology system environments; optimized user experiences in advanced convergence service; and methods for improving creative design of interactive systems and emerging media technologies. (2) The social computing area have researched and developed human-centered organizational computing including smart school, smart organization, and smart city. (3) The smart ecology research have developed sustainable business models and governance structure under a new smart era.

    Throughout the 3-year long project, we have shown how a three-layer approach of micro, mezzo, and macro examination can b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society and technologies. Our investigation has been applied to various issues arising from smart revolution, such as digital divide, technology adoption, cyber culture, and information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목표
    본 연구는 통섭과 융합이라는 새로운 시대사조에 부응한 한국적 사회의 융·복합 지식 생성에 초점. 다가오는 미래의 융합정보지식사회로의 변화의 근간에는 정보와 과학기술의 융합이 있으며 이러한 융합기술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사회와 생활의 생태계를 바꾸어 놓고 있음.
    본 연구는 사회와 기술 (정보통신/과학기술/뉴미디어)의 관계정립을 통해 사회-기술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사회-기술 융합생태계의 한국적 개념을 이론화하여 미래 우리사회의 보다 나은 사회-기술의 관계 패러다임 제시를 목적으로 함. 또한 기술의 이용과 활용, 기술과 사회의 상호관련성, 융합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제반 영향, 융합기술 발전과 사회적 맥락과의 관련성을 탐구하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술만능주의에 편향된 우리 사회의 기술에 대한 맹목성과 기술결정론적 시각을 시정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2. 연구목적

    1) 인간-사회 중심의 기술환경에 대한 개념화/이론화
    - 정보통신, 과학기술, 그리고 미디어가 융합되고 통섭되는 새로운 스마트기술 생태계에서 우리사회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개념적 모델을 제시
    -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 정보기술, 생명공학 등 기술이 다양한 사회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인간, 대중, 사회의 각 레벨에서 과학기술이 어떻게 개발되고 형성되어 가는지를 심도있게 분석
    - 기술의 사회적 본질과 성격을 올바르게 이해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변화를 탐색하고 과학기술문명과 관련된 부작용이나 환경문제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올바른 대응책을 마련.
    - 기술에 대한 사회구성적 접근을 통해 사회기술 생태계에서의 올바른 기술진화 방향을 제시하며, 최종적으로 한국사회의 안정적 사회기반조성을 목적으로 함.

    3. 연구내용 및 결과

    1) 연구내용

    ○ 마이크로 (micro)적 관점 : 사회구성원, 기술 이용자에 관한 연구로, ① 한국사회의 정보통신/과학기술/미디어의 수용과정, 사용, 활용, 사용자 경험연구, 기술을 사회적 현상으로서 분석하기 위한 사회과학 기초자료 (DB) 구축 ② 한국사회의 사회-기술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준거집단으로서 글로벌 콘텐츠 사용자 기반 연구와 그의 DB구축을 목적으로 함
    2) 메조 (mezzo) 적 관점 : 융합사회와 대중에 관한 연구로, ③ 다양한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기술의 융합화하면서 그에 따른 사회의 변화,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기술을 연구하고, ④ 사회속에서의 문화콘텐츠 등 문화산업 콘텐츠/서비스를 연구하고, 그런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산업적 환경을 연구
    3) 거시적 (macro) 적 관점 : 제도적/정책적 연구로, 사회와 기술을 둘러싼 전체적 유기적 환경 (ecological context)과 전체적 생태계 (ecosystem) 이론화에 관한 연구로, ⑤ 사회와 기술이 균형적 발전을 할 수 있는 기반, 즉 정보통신과 과학기술의 발전에 적절히 대응할 만한 안정적인 사회 문화 기반 (Social infrastructure)을 연구하고, ⑥ 융합환경에서의 산업경쟁력을 고취하고 새로운 융합기술/콘텐츠를 장려하며, 사용자의 권익을 향상시키고 사회와 기술이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적절한 법/규제/정책을 연구함

    이 3가지 분야의 연구는 다른 연구에 기반적 지식을 제공해 주며 연계적으로 추구되었음. 예를 들어 첫 번째 연구인 사용자에 대한 이해 연구는 사회적 차원의 연구에 도움을 주며, 또 국가차원의 정책/규제 연구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생태계적 차원에서 세 차원 (개인, 사회, 국가)의 연구는 연계되어 있으며 각 연구가 다른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로 구성

    2) 연구결과의 선순환 구조 구축

    o 미시적 차원: 융합기술을 사용하는 개인사용자에 대한 연구로 융합기술 사용/활용/경험적 측면을 고찰을 통한 사용자 모델링.
    o 사회적 차원: 사회과학적 관점에서 기술과 사회의 융합과 공진화로 인한 변화, 융합기술의 사회적 영향, 윤리, 소셜미디어의 집단지성, 온라인상의 사회문화적 규범, 사이버 문화 등의 주제를 연구.
    o 제도적 차원: 융합기술에 대한 규제, 법제, 행정, 법체계 등을 연구함. 융합기술과 사회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공진화한다는 이론을 토대로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그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미래 모습을 체계적으로 예측하는 이론체계를 구축.

    4. 연구결과
    ○ 1차년도는 기술 융합사회 문화콘텐츠 개발과 정책입안을 위한 사회 기술 상호작용연구 ○ 2차년도의 연구는 (1)융합형 기능성 콘텐츠 경험의 측정방안연구, (2)융합콘텐츠와 관련된 법규 규제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 ○ 3차년도 연구는 (1)한국적 상황에 맞는 문화 기술 서비스 분석, (2)융합과학기술의 대중화와 과학기술-사회체계와의 상호작용 이론화 연구를 중심으로 수행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활용계획은 아래와 같음

    1. 과학기술의 사회과학적 연구모형 개발을 통한 한국적 담론 완성
    - 본 연구는 많은 분야를 망라하는 전학문간 협동연구적 성격을 띠고 정보통신과 사회과학사이의 다른 두문화를 이어주는 간학문적 역할을 담당. 본연구의 결과물은 사회과학자들에게 융합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융합기술문화 창달에 이바지 하며, 이공계학자들에게는 과학기술의 인문사회학적 접근을 통한 과학커뮤니케이션 활성화와 과학기술윤리의식 강화에 공헌

    2. 한국적 융합기술에 관한 융합연구모델을 통한 사회문화 확산
    - 한국의 정보통신은 동양의 문화 속에서 서양기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검토 없이 이질적인 서양기술이 급속히 유입되면서 형성. 지난 몇십간의 압축성장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발생. 1990년대 말부터 경제발전이라는 모토 아래 서양기술의 도입과 발전에 최선을 다한 결과 현재의 정보통신강국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 서구의 선진정보통신을 넘어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융합기술 미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사회적 상황과 실정을 제대로 평가하고 우리나라의 융합기술 전통을 창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적 융합기술과 정보통신문화를 창출하는데 기여.

    3. 융합콘텐츠에 관한 사회과학적 연구에 기여
    -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융합형 콘텐츠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유기적으로 전이되어지는 상황에서의 사용자 경험 분석을 통해 OSMU (One Source Multi Use)형 기능성 콘텐츠 수용에 관한 체계적 연구를 시도하고, 이를 토대로 융합형 콘텐츠 연구에 활용가능함

    4. 국내외 사회적 현상분석을 위한 사회과학 기초자료 구축
    - 문화콘텐츠 산업 강국으로서 융합형 문화콘텐츠의 수출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기반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 체계적 데이터베이스/아카이브로 장기적 연구 성과 도출에 기여.

    5. 융합환경의 가속화에 따른 윤리이슈와 그에 대응하 법과 제도 개선방향 제시
    - 융합 환경에서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 및 행동윤리의 이슈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1) 융합환경의 이슈 탐구와 현행 법제도 분석, (2)· 해외의 융합관련 이슈를 제시함으로서 법제도 개선에 필요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음

    6. 디지털 시민윤리 함양을 위한 ‘디지털시민 능력’개념의 정교화 및 조작화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민성과 윤리, 그리고 시민능력의 개념을 보다 정교화해서 학문적 발전에 기여함으로서, 이론을 정책구현에 가능한 모델로 실현시킬 수 있음.

    7. 디지털윤리 강화를 위한 디지터리터러시 모델 개발 및 적용
    - - 연구결과물이 실질적인 교육에 적용될 수 있도록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콘텐츠 개발 및 디지털리터러시 사업에 접목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접목이 가능하며, 학문의 실질적인 성과를 선순환 시키고자 함
  • 색인어
  • 과학기술과 법제, 과학기술과 사회, 과학기술의 사회학, 과학기술의 사회학, 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기술의 사회적 구성, 기술의 사회적 영향, 문화기술, 미디어 수용이론, 사회와 기술의 공진화, 사회와 기술의 접점, 사회적 기술, 스마트 생태계, 스마트 융합, 인간과 기술, 정보사회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