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종교간 대화의 관점에서 본 에른스트 트뢸취의 "문화 통합"의 종교적 의미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314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최태관
연구수행기관 감리교신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논문은 종교간 만남의 관점에서 트뢸취의 "문화 통합론"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종교적인 자기 정체성의 시각, 문화종교의 시각, 종교간 만남을 위한 학문적 연대의 관점 그리고 문화의 영역 안에서 종교간 만남이라는 시각에서 다루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트뢸취의 문화 통합론이 단순히 이론적인 역사 서술의 과제가 아니라 적극적인 실천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왜냐하면 트뢸취의 문화 통합은 구체적으로 유럽신학의 총체적 재구성의 과제로 인식으로 발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와 같은 문화 통합론의 시각이 종교 다원주의적 상황 속에서 새롭게 조명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물론 트뢸취의 문화 통합 이론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으로 재구성 해보자는 의미이다. 유럽주의 신학이 끊임없이 종교 다원주의 신학을 철저하게 그들의 종교사적 전통과 타종교에 대한 개방적인 시각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과 같이 한국적인 신학은 더 이상 개인 주체의 학문적인 역량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타종교와 타학문과의 적극적인 만남을 통한 주체간 통합학문적 방법을 통해서 발전시킬 수 있음을 주장하려고 한다. 논문의 구체적 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트뢸취의 문화 통합의 인식은 철저하게 문화 주체적 산물이라는 것이다. 문화 주체란 구체적으로 ‘우리’이다. 즉 역사적이면서 문화적인 진리는 모든 문화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 진리가 아니라, 한 문화권에 속하는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이는 진리라는 뜻이다. 트뢸취로부터 시작된 문화권 내에 종교 진리 인식은 철저하게 개별 문화 속에 드러난 종교적 개별성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다. 예를들어 트뢸취는 철저하게 유럽주의적인 종교로서 기독교 인식을 강조한다. 물론 이와 같은 인식이 ‘전체주의적이면서 획일적인 종교적 자기 정체성의 형성의 위험을 내포할 수 있지만, 트뢸취가 주장한 역사적 자기 인식의 상대화는 문화적인 타자를 철저하게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고, 연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을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문화권 내의 종교적인 진리 인식의 문제는 더 이상 특정 진리에 대한 자기중심적인 주장이거나 타문화권에 대한 배타적 진리주장이 아니라 철저하게 문화적 자기 정체성의 형성을 위한 적극적 만남의 시도임을 밝힌다. 두 번째 트뢸취의 문화 통합론 인식은 문화권 내의 다양성을 철저하게 수용하고자 하는 기본적인 개방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 개방성이란 개별학문과의 열려진 만남을 통해서 역사적인 것에 대한 개방적 공유와 또한 타문화권에 나타난 학문적인 결과물들을 더 이상 우열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가치의 인식의 입장에서 그 고유성과 차이성을 인정하는 태도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 과정 속에서 문화권내에 종교들에 대한 철학과 신학과 종교학의 학문적 연대는 종교적 진리를 더 이상 특정 학문의 소유물이 아니라 문화권내에 살아 움직일 수 있는 진리로 발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실천적인 결과는 종교적 공동체의 형성이다.
    마지막으로 종교간 만남의 실천적 입장에서 트뢸취의 문화 통합론은 문화권내서 종교간 만남을 통한 상호변혁을 지향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트뢸취는 문화 통합론은 철저하게 ’문화적 고립‘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그에게서 여전히 기독교 중심적 문화이해라는 점들이 비판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트뢸취의 한계점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으로 평가하면서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과제를 투르츠 렌토르프의 유럽 신학으로의 창조적 수용에서 찾고자 한다. 왜냐하면 그는 철저하게 ’종교적 다원주의‘를 철저하게 트뢸취의 문화 통합의 관점에서 수용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이론적 가능성은 트뢸취 자신이 자신의 종교적 아프리오리를 통한 문화 통합의 구성이 폐쇄적인 구성체가 아니라 시대에 따라서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이와 같은 그의 개방적인 인식이 현대 사회에서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 효과는 종교간 대화의 문제와 종교 다원주의 속에서 기독교 진리의 재구성에 기여할 수 있다. 사실 현대 한국적인 상황에서 종교 다원주의와 종교간 대화의 문제는 사실상 답보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 연구를 통해서 가대하는 바는 종교와 철학 그리고 신학이 어떻게 종교적인 삶의 실천적인 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가를 좀 더 학문간의 만남 속에서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연구요약
  • 본 논문은 트뢸취의 문화통합론의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는 과제이다. 그 현대적 의미는 그의 문화 통합이 가지고 있는 본래적인 목적을 밝히는 일이다. 본래적인 목적은 문화적 다양성에 직면하여 바로 유럽적인 기독교의 가치 회복에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그가 가장 경계했던 종교적 혼합주의에 직면하여 자신들의 종교적 자기 정체성의 문제를 문화 통합을 통해서 형성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유럽적인 신학의 재구성이라는 새로운 과제를 제시했다. 그 과제는 유럽적인 종교사의 재구성과 그를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적 신앙론과 유럽적 사회론으로 구체화되었다. 뿐만 아니라 그 기반에는 유럽적인 종교의 본질이라는 구체적인 이론적 작업 뿐만 아니라 그 가치가 유럽 학문의 규범성을 지향할 수 있는 실천적 과제로서 '윤리적 통합'이론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트뢸취의 이론은 철저하게 기독교 중심적인 문화이론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필자는 트뢸취의 문화 통합이론이 보여주고 있는 근본 목적에 초점을 맞춘다. 그 목적은 종교적 자기 정체성의 형성, 문화권 내에서 종교적 진리 인식을 위한 학문적 연대, 그리고 그 학문적 연대를 위한 상호 인정과 통합에 대한 시도이다. 이러한 네가치 근본 목적이 현대적인 유럽신학에서 어떻게 구체화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 과제를 위해서 본 논문은 칼 바르트, 프리드리히 고가르텐, 폴 틸리히, 볼프하르트 판넨베르그, 투루츠 렌토르프에 대한 트뢸취의 영향사를 중심으로 해서 트뢸취 문화 통합의 이론적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두 번째는 학문간 연대의 입장에서 종교의 진리에 대한 신학과 철학 그리고 종교간의 만남을 위한 실천적인 연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유럽 신학에 있어서 종교간 만남과 종교간 진리에 대한 신학과 철학의 관계는 어떻게 구성되어왔는지 살펴본다. 이를 토대로 트뢸취의 문화 통합론의 의미는 바로 주체간 만남이라는 과제를 담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세번째 한국적 신학의 과제와 연결하면서 트뢸취의 문화 통합론이 유럽 중심적 문화이론이 아니라 문화 종교간 만남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 이론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트뢸취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토착화 신학, 민중신학이나 통전적 신학에 나타난 문화 주체성의 문제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인식을 통해서 한국적 신학의 과제는 한국 신학의 ‘주체’인 우리의 인식에 있으며 그 인식을 토대로 끊임없이 타자에 대한 억압을 양산해내는 문화의 비본질적인 요소를 밝히려고 한다. 그 과제 속에는 신학과 철학과 종교학이 문화사의 재구성과 종교간 진리 인식의 문제와 종교 다원주의 속에서 윤리학적인문제, 그리고 학문적 통합에 근거와 같은 다양한 학문적 과제를 가지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 트뢸취 문화 통합론을 토대로 논문은 신학과 철학 그리고 종교 그리고 다른 학문과의 연대성을 추구하는 실천적인 역할이 한국 신학의 과제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트뢸취의 문화 통합론은 ‘종교적 개인주의’에서 비롯된 실천적인 인식임을 밝히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학문적 연대를 통한 상호인정과 상호 변혁의 과제를 종교, 철학 그리고 신학의 공통과제임을 밝힌다. 이와같은 문화 통합적 인식을 바탕으로 문화간 만남이 보다 구체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트뢸취,철학적 신앙,종교간 상호변혁,한국 종교사 신학,민중신학 유럽 종교사 신학,토착화 신학,유럽주의 신학,학문적 연대,종교간 만남,종교 다원주의,문화통합
  • 영문키워드
  • Ernst Troeltsch,Interreligious Dialogue,Minjungtheology,Cultural Synthesis,Tranformation of Theology,Indigenisationstheology,Religious pluralism,European-religioushistory. Korean-religioushistoriy,European Theology,Korean Theolog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다종교 시대에 직면하여 종교간 대화 가능성과 협력의 가능성을 트뢸치의 문화통합론에서 찾아보았다. 그의 문화통합은 종교를 중심으로 하는 유럽적 문화사 재구성하면서 사회적 문화통합을 지향한다. 그의 문화통합론이 당시에 문화적으로 다원적인 상황에서 기독교 중심의 사회통합을 지향하긴 했지만, 종교중심의 문화적 자기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종교중심의 윤리적 공동체 실현을 지향한 점은 현재적인 유럽문화나 한국적인 문화에 의미가 있다. 그의 중심주제는 유럽의 종교사는 유럽인들의 종교적이면서 문화적인 자기 정체성을 의미하고 유럽인들은 그 정체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교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는데 에 있다.
    첫 번째 문화통합의 원칙으로서 종교사의 개념을 가지고 트뢸치는 유럽문화의 총체적인 문화사를 구성하고 유럽문화에서 기독교의 통합적 종교성을 구성한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그의 통합적 종교성은 기독교적이지만 오늘날의 다원적인 종교상황에서 유럽안에서 다양한 종교들의 다원적인 종교성으로서 구성되어야 한다. 다원적인 종교성의 구성을 위해서 트뢸치는 기독교의 종교적 정체성의 인식만이 아니라 다른 종교들과 그들의 진리에 대한 인정을 강조하게 된다.
    두 번째, 트뢸치는 유럽적인 종교사의 기반을 '우리 존재'로서 이해한다. 그 개념은 유럽인들의 통합적인 종교성의 실재일 뿐만 아니라 유럽문화에서 종교인들의 연대성의 실재이다.그는 이 개념을 기반으로 유럽적인 신학의 근본 개념을 발전시킨다. 트뢸치에 따르면 유럽적인 신학은 많은 신학자들에 의해서 문화신학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세 번째, 유럽적인 신학은 다른 종교들에 대해서 배타적인 자세를 가져서는 안되고 사회적인 연대와 협력을 위해서 타협을 모색하고 교제를 시도해야 한다. 그러므로 트뢸치는 기독교인과 이웃종교인들이 기독교 신앙과 다른 종교의 진리사이에 차이를 인식해야만 한다. 이것은 종교의 사회적 본질의 실현이다.
    결과적으로 트뢸치의 문화통합의 과제로서 종교사와 유럽적 신학은 아시아 문화와 한국문화가 그의 문화신학과 그의 종교사의 재구성을 위한 동일한 과제를 가진다는 사실을 분명히 보여준다.
  • 영문
  •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Ernst Troeltsch’s cultural synthesis for the meaning of religionstheology. His central thesis is that the European religious history implies religious and cultural identity of European and the European with this identity constitute various religious communities.
    First, with concept of religious history as the principle of cultural synthesis tries Troeltsch to constitute whole history of european culture and to recognize a synthetic religiousness of christianity in european culture. Indeed, his synthetic religiousness is christian, but today in the pluralistic culture ist to constitute as pluralistic religiousness of various religions in european culture and in other culture. For the purpose of constitution of pluralistic religiousness emphasizes Troeltsch not only the recognition of religious identity of christianity, but also the acknowledgement of other religions and their Truth.
    Second, Troeltsch regards the basis of european religious history as ‘our Being’. The Concept of ‘our Being’ by Troeltsch is not only the reality of our synthetic religiousness, but also the reality of solidarity of religions people in the european culture. With the Concept of ‘our Being’ develops Troeltsch the european Theology. According to Troeltsch, European Theology can be regarded as the Cultural Theology of Europe by many theologian.
    Third, European Theology has not a exclusive attitude against the other religions, but try to compromise und associate with other religions for social solidarity und cooperation. Troeltsch maintains that, the christian and the people of other religions must acknowledge difference between the christian truth and the other religions, and this is the realization of the social essence of religions.
    Finally, Troeltsch’s cultural Synthesis, european religious History and european Theology show us, that asian culture and korean culture have the same work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religious History and their cultural Theolog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트뢸치의 논문과 저서들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읽고 분석하였다. 그의 초기논문인 “종교의 독립성(1894-1896)”과 “역사와 형이상학(1898)”을 분석하면서, 본 연구자는 트뢸치가 자신의 종교의 개념을 역사발전적 인식에 따라 종교사적으로 구성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그 구성과제의 중심에는 종교의 심리학적, 사회학적 본질에 대한 인식과제가 있음을 밝힌다. 왜냐하면 트뢸치는 종교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적 인식과제의 기반을 종교의 독립성에 대한 인식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트뢸치는 종교사, 종교심리학, 종교사회학, 종교철학과 역사철학을, 통합학문인 문화학의 기반학문으로 이해하게 된다.
    첫 번째, 필자는 트뢸치의 논문 “기독교의 본질(1903)”, “기독교의 절대성과 그의 종교사(1902)”, “기독교와 종교사(1897년)”를 기반으로 기독교의 본질에 대한 역사적 인식의 종교사적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트뢸치는 기독교의 본질의 역사를 유럽적 종교사로 이해한다. 그의 본질사유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역사적 본질, 심리학적 본질, 사회학적 본질 사유로 구성된다. 기독교의 역사적 본질은 역사적 예수의 인격에서 시작되어 생성된 다양한 공동가치의 통합적 인식을 토대로 형성된다. 그는 역사적인 방식으로 종교사를 구성하면서 드러난 다양한 종교적 현상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그 인식을 토대로 새롭게 인식되는 종교의 선험적 본질과 그에 따른 유비적인 종교적 현상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면서, 역사적이고 상대적인 기독교의 발전사를 구성하게 된다. 이 부분에서 연구자는 트뢸치의 기독교 절대성에 대한 종교사적 인식이 이웃종교에 대한 배타적인 의식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종교적 가치들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문화의식이라는 밝힌다. 또한 기독교적 최고가치의 의미로서 기독교의 절대성을 문화종교적인 자기정체성의 근간으로 이해한다는 사실을 밝힌다.
    두 번째, 필자는 “신학에서 역사학적 방법과 교의학적인 방법(1897)”과 “종교적 아프리오리에 대한 물음(1909)”이라는 논문을 기반으로 종교적 다양성의 근거인 “종교적 선험”에 대한 트뢸치의 인식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 인식은 역사적 다양성과 그에 대한 통합적 인식의 근거로서 신학과 종교학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 연구를 기반으로 1922년에 출간된 “역사주의와 그의 문제”들의 핵심적 논제를 밝히고자 한다. 종교의 다양한 경험 안에는 인간이 공동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신적 의지가 내포되어있다. 그 신적의지에 대한 인식은 인간의 통합적 인식이 무제한적 상대주의로 귀결되지 않고 신중심적으로 구성된 역사 안에서 실현가능한 문화적인 규범성을 형성하게 된다. 필자는 이 저서에서 창조적 통합의 원리와 그 원리에 따른 실천적인 문화통합의 원리에 대해서 연구하면서, 다양한 역사적 대상 안에 존재하는 ‘종교적 선험’의 인식과 신을 중심으로 하는 ‘가치상대성’과 ‘공동정신’으로서 ‘우리존재’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을 찾았다. 본 연구자는 트뢸치의 문화통합의 원리로서 “유럽주의”를 근대사유에서 유럽적 팽창주의 정책에 기반을 둔 유럽적 제국주의의 이념이 아니라, 유럽 내에 존재하는 ‘대립’과 ‘분열’ 그리고 갈등을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하는 그의 역사적이고 실천적인 의지의 표현으로서 이해한다.
    세 번째, 본 연구자는 “신앙을 위한 예수의 역사성의 의미(1911)”와 그의 사후에 출간된 “역사주의와 그의 극복(1924)”, “신앙론(1925)”을 연구하면서, 유럽종교로서 기독교의 역사적 인식과 문화적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유럽적인 종교적 자기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문화통합적 인식의 기반으로 문화가치의 윤리를 형성하는 탁월한 그의 식견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이웃종교에 대해서 서구 기독교가 지배적으로 주장해온 기독교의 절대성을 상대화시키면서, 이웃종교에 대한 문화종교로서의 가치인정과 그에 따른 타협에 대한 과제의 인식은 앞으로 다원적인 사회에 직면한 한국 교회와 신학이 추구해 가야하는 문화통합의 과제와 그를 위한 종교간 대화와 협력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과제를 제시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그의 영향사 연구에서는 종교사적으로 영향을 받은 틸리히, 판넨베르크와 힉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윤리적인 통합의 과제의 영향을 받은 투르츠 렌토르프 연구를 중심으로 했다. 이 연구에서 유럽이나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공통적인 종교적 상황으로 다종교 상황을 인식하면서 문화통합의 새로운 과제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종교를 중심으로 하는 학제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기독교의 본질과 역사와 같은 종교사적인 과목에서 한국적인 상황에서 기독교인의 정체성과 한국적 기독교의 기독교의 형성과제에 대한 과제를 가르치는데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다원적인 종교상황에 직면하여 다른 이웃종교에 대해서 상호인정과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선교방식에 대한 교육과정에 사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트뢸치, 문화통합, 종교적 선험, 유럽적 종교사, 유럽적 신학, 유럽주의, 종교신학, 판넨베르크, 파울틸리히, 존 힉 기독교 절대성, 우리존재, , 역사적 종교, 문화종교, 기독교, 공동정신, 보편가치, 유럽문화의 개별성 종교의 사회적 본질, 창조적 통합, 역사발전, 원형적 계시, 역사적 예수의 인격성, 인식론 , 문화전달 ,모나드 라이프니쯔, 말르블랑슈, 참여적 존재, 유럽주의적 종교성, 신앙론, 종교적 교제, 신앙공동체, 종교적 독립성 통합학문, 다원주의, 타협, 유동식, 변선환, 종교간 만남과 대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