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이다. 그런데 그 작업을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인도와의 관련에서 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의 대상을 부산-경남 지역에 맞추는 것은 바로 이 지역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가장 활발한 불교 문화를 발전시킨 곳 ...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이다. 그런데 그 작업을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인도와의 관련에서 하고자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의 대상을 부산-경남 지역에 맞추는 것은 바로 이 지역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가장 활발한 불교 문화를 발전시킨 곳이기 때문이다. 원래 우리 문화는 인도의 많은 문화적 요소를 많이 차용하고 있다. 그런데도 그것이 중국과의 관련 속에서 감추어지거나 불교 특유의 설화 중심 문화로 인해 밖으로 들어나기 보다는 그 안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잘 나타나지를 않을 뿐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의 사항을 주요 목표로 한다. 1. 우리 불교 설화 속에 들어 있는 인도 문화의 이해와 분석 2. 부산-경남 지역 사찰 설화의 분석 3. 인도 불교 문화와 설화의 이해
기대효과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불교 연구이다. 그것을 인도와의 관련과 부산-경남이라는 지역과의 맥락 속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가 이루어지면 학계에 다음과 같은 기대를 가져다 주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1. 인도와의 관련 속에서 우리 문화 정체성 ...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불교 연구이다. 그것을 인도와의 관련과 부산-경남이라는 지역과의 맥락 속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가 이루어지면 학계에 다음과 같은 기대를 가져다 주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1. 인도와의 관련 속에서 우리 문화 정체성 고찰 시작 2. 부산-경남 지역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분석 가속. 3. 인도사 속에서의 불교에 대한 관심 증가 4. 인도의 역사와 문화 (특히 힌두교)에 대한 연구 가속
연구요약
1. 서론 왜 우리 문화의 정체성인가, 왜 그것을 부산-경남 지역에서 찾는가, 그리고 왜 불교이고 인도인가에 대한 문제의 제기를 이루고 난 후 지금까지의 연구의 역사를 통해 그것들의 한계와 오류를 지적하고 이 글이 도출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연구 ...
1. 서론 왜 우리 문화의 정체성인가, 왜 그것을 부산-경남 지역에서 찾는가, 그리고 왜 불교이고 인도인가에 대한 문제의 제기를 이루고 난 후 지금까지의 연구의 역사를 통해 그것들의 한계와 오류를 지적하고 이 글이 도출하고자 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 그리고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조사(『三國遺事』, 『三國史記』, 『海東高僧傳』, 『東國與地勝覽』 등)의 자료 검증과 현지 조사 (부산 범어사, 양산 통도사, 김해 신어사, 합천 해인사, 남해 보리암)의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2. 모티프의 유형과 그 의미 불교의 설화는 궁극적으로 교화를 위한 중요한 방편이다. 따라서 설화는 인도의 역사 문화 전통에서 생산된 문화 특질이 표현되는데 그 안에서 일정한 유형을 이룬다. 그리고 설화는 시간과 장소를 달리 하였을 때는 그 상황에 맞게 그 유형과 의미를 변화시킨다. 그래서 이 장에서는 부산-경남 지역 불교 사찰 설화의 주요 모티프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것들이 원래 인도에서는 어떤 의미로 쓰였고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변화된 의미로 쓰여 왔는지를 찾는다. 2.1. 불교 전통의 문화 특질과 그 표현 방법 2.2. 사찰 설화 속의 모티프 * 불교 관련: 부처, 전륜왕, 아쇼까, 불국토, 불살생, 사리 * 힌두 신화 관련: 이상군주, 화신, 라마, 바다, 배(舟), 이주,
3. 역사성과 실제성 인도의 과거에 대한 기록은 모두 신화와 전설에 담아져 전해진다. 따라서 특정 설화를 이해하려면, 그것의 관점과 구도가 형성된 인도의 세게관을 먼저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 글은 우선, 인도의 신화가 어떻게 형성되어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안에 불교의 신화와 설화는 역사성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를 알아내고자 한다. 3.1. 불교의 역사 인식과 불교 설화 3.2. 인도사의 신화와 실제 3.3. 동아시아와 인도의 문화 접촉
4. 설화의 확대와 문화 변이 설화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확대 재생산된다. 그 과정에서 많은 모티프들이 추가되거나 삭감되므로 역사적 물질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분석이 뒤따르지 않는 한 원형을 찾고 그 역사성과 실제성을 찾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부산-경남 지역의 불교 사찰의 설화가 확대되면서 '인도'라는 모티프를 적극 활용하였는가를 분석하고 그것이 현재의 시점에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는가를 알아 보고자 한다. 4.1. 불교사에서 사원 경제의 확대와 신화의 재생산 4.2. 지방 축제의 활성화 4.3. 매스 미디어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