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인구이동과 인적자원 유출: 제주지역 유출·유입인구의 속성 비교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지방대학육성지원
연구과제번호 2002-002-B00217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1 년 (2002년 07월 01일 ~ 2003년 07월 01일)
연구책임자 권상철
연구수행기관 제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국가 및 지역의 성장 잠재력이 기존의 물적자원에서 지식의 생산 및 활용주체인 인적자원으로 이행되며 인적자원의 양성과 배분이 중요하게 등장하고 있다. 인구이동은 지리적 이동임과 동시에 사회적 이동으로, 선별적인 인구집단의 이동은 지역발전의 측면에서 인적자원의 배분에 영향을 미치고, 우리나라의 최근 지방쇠락은 수도권으로의 고급 인적자원의 유출(brain drain)로 접근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구이동을 인적자원의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선별적 인구이동을 지역발전과 연계하여 실증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최근 국제자유도시로 지정되며 새로운 발전전략을 세우고 있는 제주지역을 사례로 유출인구와 유입인구의 사회경제적 속성을 비교하며 주변, 특히 도서지역에서의 선별적 인적자원 유출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최근 인적자원이 국가 및 지역 경쟁력의 원천으로 강조되며, 국가차원의 인적자원 확보와 더불어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인적자원 배분 또한 중요한 이슈로 부각시킬 필요가 크다. 또한 지역발전을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투자 유치, 정보 통신산업 육성, 벤처기업 육성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나, 이들 전략의 근원으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인구이동의 양적 변화에 치중하여, 인적자원의 유출과 유입 측면에서 인구이동을 지역발전과 연계시키는 질적 측면의 접근은 미미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이동을 선별적 인적자원의 지역간 집중과 분급(sorting) 과정으로 고려하며, 제주지역을 사례로 유출 유입 인구는 고등교육 기회 그리고 취업기회를 쫓아 선별적으로 이루어짐을 도출하게 된다. 특히 과도한 유출 또는 유입을 보이는 부문과 이들의 차이 그리고 두뇌유출과 관련하여 학습경제지역에서 고려되는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한 지식 정보집약적 부문의 전문인력 이동 특성의 검토는 인적자원의 이동에 따른 제주지역의 발전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최근 제주지역은 국제자유도시, 회의산업, 정보통신산업의 육성 등 다각적인 발전전략을 구상하며 자본과 기업의 유치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이를 위한 근원적인 작업으로 인력 유입과 육성이 필요한 부문을 도출해 자율적이고 지속적인 지방발전을 위한 인적자원의 지역적 구성에 관한 기초 작업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인적자원의 이동으로 인구이동을 고려하기 위해 최근 인적자원과 관련한 다양한 지역개발 논의를 검토해 보고, 다음으로 제주지역을 사례로 유출, 유입인구의 규모 차이와 지리적 분포를 개관하고 이주자들의 사회경제적 속성을 비교 검토해 인구이동을 지역간 인적자원의 이동으로 접근하는 실증 분석을 시도하게 된다. 여기에는 유출, 유입인구의 개인별 연령, 가구특성, 교육수준, 경제활동상태, 산업 그리고 직업을 대비시켜 보게 되는데, 우선 제주지역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타지역 대학 진학자와 대학원 진학자, 다음으로 취업층 유출.입 인구의 연령과 교육수준을 비교해 보고 이들의 취업분야 비교를 통해 지방에서의 인적자원 유출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사용할 자료는 학업을 위한 이주자료는 교육청과 학교별로 수집하여 정리.분석하고, 취업연령층의 자료는 컴퓨터화일로 이용가능한 인구주택총조사의 개인별 자료를 분석하여 유출 인구와 유입 인구의 개인별 사회경제적 속성 비교를 시도하게 된다. 또한 이들의 시기별 변화를 1970년대 중반부터 추적하여 인구이동의 질적 변화를 도시체계 그리고 내생적 지역발전측면에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제주지역,지역발전,선별성,인적자원,인구이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