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시화에 나타난 중국 시문 비평 연구
(A) Study on the Criticism of Chinese Poems expressed in Korean Shihu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8022815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2 년 (2012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순철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한국 역대 시화 중에서 중국 시문 관련 자료를 선별하여 편찬한 󰡔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문인들의 중국문인과 시문에 대한 평론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문인들이 중국의 문인들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그 계보는 어떠한지를 밝히고, 아울러 중국 역대 시화에서 중국문인들이 自國 문인들에 대하여 내린 평과 비교함으로써 한국문인들만의 독특하고 독자적인 시각과 관점은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2년 간에 걸쳐 진행함으로써 개별연구와 통시적 연구에 관한 논문 두 편을 집필하여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1) 한․중비교문학연구의 활성화와 학술교류 증진
    지금까지 한국의 중문학계에서는 줄곧 중국문학연구를 주로 해왔고 비교문학 연구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였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한․중 비교문학 연구를 촉진하고, 한․중 양국에 숨어있는 유관 문헌들을 발굴하여 연구하는 자그마한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한․중 학자들 간의 학술교류를 더욱 증진시키고 활성화하는 동시에 양국 학자간의 이해와 친밀감을 더욱 돈독하게 할 것이다.

    (2) 미수집 자료 발굴과 수집 및 정리
    조종업의 󰡔한국시화총림󰡕도 현재까지 남아 있는 시화를 전부 발굴하여 수집한 책은 아니다. 특히 본 과제에서 주요 텍스트로 사용하고 있는 󰡔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 또한 중국문인과 시문에 대하여 전부 수집하여 정리한 책이 아니고 시부분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시화, 나아가서 한국 문인들의 문집 중에서 중국관련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등 다방면의 자료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수집․정리하여 편찬하는 작업을 촉진하고 계속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 역대 시화 중에서 중국 시문 관련 자료를 선별하여 편찬한 󰡔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의 56편의 시화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문인들의 중국문인과 시문에 대한 평론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문인들이 중국의 문인들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그 계보는 어떠한지를 밝히고, 아울러 중국 역대 시화에서 중국문인들이 自國 문인들에 대하여 내린 평과 비교함으로써 한국문인들만의 독특하고 독자적인 시각과 관점은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을 효율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개별시화 연구와 통시적인 연구를 동시에 진행한다. 개별시화에 대한 연구는 우선 중국의 문인과 시문에 대해 언급한 항목을 수집하여 해당 문인이 당시에 제기한 문학평론, 그리고 그의 창작경향과 비추어볼 때, 그가 언급한 중국문인과의 영향관계는 무엇이며, 그의 관점의 독창성은 무엇인가를 밝혀내는 것이다. 통시적 연구는 개별시화 연구가 어느 정도 완성되면 56편에서 중국의 각각의 문인들에 대하여 공통으로 거론한 평을 찾아보고, 이것을 또 중국역대시화에서 중국문인들이 自國의 문인들에 대하여 내린 평과 비교해보면서 보편적인 특징은 무엇이고 독특한 관점은 무엇인지를 천명하며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시대적원인과 개개인의 학문 사상적 원인에서 찾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단계에 거쳐 완성할 계획으로 1단계 1차 년도에는 개별시화 연구에 치중하여 개별 시화의 독창적 견해를 밝히는 논문을 집필하고 2단계 2차 년도에는 통시적 연구를 진행하여 중국과 한국의 전반적인 문학사적 흐름 속에서 보편적 특징과 독특한 관점을 밝히는 논문을 집필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시화, 나아가서 한국 문인들의 문집 중에서 중국관련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등 다방면의 자료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수집․정리하여 편찬하는 작업을 촉진하고 계속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아울러 한․중 비교문학 연구를 촉진하여 양국 간의 학술교류를 더욱 증진시키고 활성화하며 학자들 간의 이해와 친밀감도 더욱 돈독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 역대 시화 중에서 중국 시문 관련 자료를 선별하여 편찬한 󰡔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문인들의 중국문인과 시문에 대한 평론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문인들이 중국의 문인들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으며 그 계보는 어떠한지를 밝히고, 아울러 중국 역대 시화에서 중국문인들이 自國 문인들에 대하여 내린 평과 비교함으로써 한국문인들만의 독특하고 독자적인 시각과 관점은 무엇인가를 밝혔다.
    1차년도에는 통시적 연구 측면에서 연구를 진행하여, <韓國詩話에 나타난 尊唐派․尊宋派의 評論硏究 - 李白, 杜甫, 蘇軾, 黃庭堅 評論을 中心으로 ->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집필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시화에 나타난 尊唐派․尊宋派의 시문에 대한 평론을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의 내용을 통하여 尊唐派․尊宋派에 속하는 인물을 설정하였는데, 尊唐派의 대표적 인물은 梁慶遇, 許筠, 李睟光, 洪萬宗, 南龍翼, 金萬重, 尹春年, 任埅, 車天輅, 李安訥, 權韠, 鄭斗卿 등으로, 尊宋派의 대표적 인물은 李仁老, 李齊賢, 權應仁, 崔慈, 南孝溫, 李宜顯, 申緯, 金正喜, 趙熙龍 등으로 확정짓고, 그들이 각각 시화에서 추존하였던 당대의 문인인 李白, 杜甫, 송대의 문인인 蘇軾, 黃庭堅에 대하여 평론한 자료를 토대로 평론의 특징을 밝혔다.
    2차년도에는 개별시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한국시화 중에서 조선중기의 대표시화라 할 수 있는 󰡔芝峯類說󰡕과 중국시화 중에서 송대의 대표적 시화라 할 수 있는 󰡔滄浪詩話󰡕의 唐詩批評을 중심으로 <󰡔滄浪詩話󰡕와 󰡔芝峯類說󰡕의 唐詩批評 比較硏究 - 李白과 杜甫에 대한 評論을 中心으로 ->라는 제목 하에 비교연구를 진행하여 한중문인의 唐詩에 대한 비평의 독자성과 공통점을 밝혔다.
  • 영문
  • The subject of study is 󰡔hanguoshihuazhong zhongguoshiziliaoxuansui(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which is comliled in screening the Chinese poetries as the information in Korean ancient poetries. In the study, the author found out what of the effect on the Korean scholars fell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scholars and how about the school of poets by inspecting the comments that Korean scholars made on the Chinese scholars and poetries. In addition, also found out what was the only Korean scholars` aunique distinct products by comparing the Cevaluations made from Chinese scholars to the Chinese scholars in ancient society.
    First ,about diachronic study, study it from the side . And named <(A) Comparative Study on interpretation to Zhuzi`s Shijizhuan and poetry Cited in Sishu - libai(李白), dufu(杜甫), sushi(蘇軾), huangtingjian(黃庭堅) > as the thesis subject . In the thesis, for studying the poem criticism of ZUN TANG School(尊唐派) and ZUN SONG School(尊宋派), First, choose the people from the two schools, Yang Gyeongu(梁慶遇), Heo Gyun(許筠), Lee Sukwang(李睟光), Hong Manjong(洪萬宗) 12 people and so on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ZUN TANG School(尊唐派), Lee Inro(李仁老), Lee Jehyeon(李齊賢), Kwon Eungin(權應仁), Choe Ja(崔慈) 9 people and so on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ZUN SONG School(尊宋派) .
    In their every society, respected in Tang Dynasty Libai(李白), Dufu(杜甫), in Song Dynasty Sushi(蘇軾), Huang Ttingjian(黃庭堅), on the basis of their review material ,to post a comment.
    Second, about the individual poemwords study. Korean poemword is represented by 󰡔ZhiFengLeiShuo(芝峯類說)󰡕 in the era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Chinese poemwords is represented by 󰡔Cānglàngshihua(滄浪詩話)󰡕 in Song Dynasty. Around the Tang poem criticisms(唐詩批評)of the two poemwords to make a comparative study .Named <(A) Study on the criticism of ≪Canglangshihua≫ and ≪Zhifengleishuo≫'s tangshi> as the title. And found out the individuality and commonality in Tang poem criticisms(唐詩批評) from Korean and Chinese poets .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시화에 나타난 중국시문에 대한 비평을 연구하기 위하여 통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의 측면에서 두 편의 논문을 집필하였다. 아래에 두 논문의 초록을 각각 첨부한다.
    韓國詩話에 나타난 尊唐派․尊宋派의 評論硏究
    - 李白, 杜甫, 蘇軾, 黃庭堅 評論을 中心으로 -
    본 논문은 통시적 관점에서 한중 양국의 시문 비평의 독자성과 공통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존당파와 존송파를 연구하였다. 한중 양국에서는 시화라는 이름으로 시문에 대한 평론이 전개되면서부터 수많은 논쟁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논쟁의 하나가 종당․종송의 논쟁이다. 한국에서는 고려후기와 조선전기까지는 존송시대였고 조선중기부터는 존당시기였다. 중국처럼 하나의 시파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하였지만 존당과 존송으로 나눠져 그 평론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尊唐派는 唐詩의 性情의 自然스런 表現과 精巧함을 높이 평가하면서 李白보다 杜甫를 좀 더 追崇하였고 尊宋派는 宋詩의 學問을 바탕으로 用事와 典故를 活用하여 表現한 議論을 높이 평가하면서 黃庭堅보다는 蘇軾을 좀 더 높이 평가하였다. 존당파와 존송파의 비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존송파의 당시에 대한 관점으로 비록 존송파라고 하더라도 성당시와 두보를 최고로 인정한 상태에서 송시의 뛰어남을 인정하고 존송의 입장을 견지하였다는 사실이다.
    한국에서의 존당과 존송의 논쟁은 한국시화에서 중국의 유명 시화의 내용과 많은 시가 인용되어 분석됨을 볼 때 중국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당시와 송시의 장점에 대한 인식이 한중에서 거의 비슷하고 이백과 두보, 소식과 황정견의 장점에 대한 인식도 비슷한 점이 많다. 그러나 高麗末과 朝鮮初期에 한국에서 송시가 존숭된 것은 중국적 상황과 궤를 달리하는 특이한 상황이다.

    <<滄浪詩話>>와 <<芝峯類說>>의 唐詩批評 比較硏究
    - 李白과 杜甫에 대한 評論을 中心으로 -
    시화에 나타난 한중 문인의 시문에 대한 평론을 미시적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하여 嚴羽의 <<滄浪詩話>>와 李睟光의 <<芝峯類說>> 중에서 唐詩에 대한 평론을 중심으로 상호 비교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비평 방식에 있어서 엄우는 시론에 기초하여 비유와 함축적 표현의 이론비평을 애용한 반면, 지봉은 구체적인 실천비평을 하였다. 비평문에 있어서도 엄우는 비유적이고 함축적인 문장으로 표현한 반면, 이수광은 비평용어를 사용하여 단도직입적인 직접비평을 하였다. 이는 비평방식이 추상적이고 함축적인 비유적 방식으로부터 비평용어를 사용한 방식으로 바뀐 것으로 전문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 것이다.
    결론적으로 芝峯은 尊唐派로서 그의 詩論, 唐詩觀, 李白과 杜甫에 대한 평론에서 거의 모두 엄우의 󰡔창랑시화󰡕에 근거하여 평론을 전개하여 비슷한 점이 많았고, 다른 점은 엄우의 평론에 근거하여 그 비평용어를 바꾸거나 부연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수광은 엄우의 비평성과를 바탕으로 실천비평을 구사하여 詩句 및 注釋 그리고 한 글자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용도를 분석함으로써 이백과 두보에 대한 비평의 지평을 확대‧발전시킴으로써 한국에서의 중국시문에 대한 비평의 수준을 제고시켜 중국에는 없는 관점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한․중비교문학 연구의 활성화
    지금까지 한․중비교문학 연구는 국문학과나 한문학과를 위주로 진행되어 왔고 중문학계에서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중문학계에서의 한․중 비교문학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연구기간이 2년으로 한정되어 있어 많은 주제를 다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의 시화만 해도 수백 편에 달하고 연구할만한 주제도 무궁무진하므로 본 연구를 발판으로 연구기간이 끝나더라도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논문뿐만 아니라 저서도 집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중문학계에 비교문학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후속연구자들도 한중비교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에 참여하게 하여 시화를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가 중문학계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것이다.

    (2) 한․중 비교문학연구를 통한 학술교류 증진
    본 연구를 계기로 한․중 비교문학 연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하여 한국의 중문학계뿐만 아니라 중국의 학자들도 한국문학, 내지는 한국문인의 중국 시문비평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술교류를 진행함으로써 양국 학자간의 이해와 친밀감을 더욱 돈독하게 하여 더욱 우수한 연구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3) 미수집 자료 발굴과 수집 및 정리
    조종업의 󰡔한국시화총림󰡕도 현재까지 남아 있는 시화를 전부 발굴하여 수집한 책은 아니다. 특히 본 과제에서 주요 텍스트로 사용하고 있는 󰡔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 또한 중국문인과 시문에 대하여 전부 수집하여 정리한 책이 아니고 시부분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시화, 나아가서 한국 문인들의 문집 중에서 중국관련 정치, 경제, 문화, 역사 등 다방면의 자료들을 보다 광범위하게 수집․정리하여 편찬하는 작업을 촉진하고 계속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로 활용할 것이다.

    (4) 한․중 비교시화사 저술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시화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두 나라 문인의 시에 대한 견해의 독자성과 공통점을 밝힌 것이다. 이를 토대로 한중 양국에 시화가 존재한 시기부터 상호 관련이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시론, 시인에 대한 비평, 시 작품의 우렬 평가 등 여러 방면으로 항목을 정하고 비교하여 체계적으로 서술한 전문서적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색인어
  • 滄浪詩話, 芝峯類說, 李白, 杜甫, 興趣, 意象, 意境. 詩話, 唐詩, 宋詩, 詩法, 風格, 自然,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