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육과정 개혁 맥락에서의 초등 예비 영어교사의 발전
Primar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development under the curricular reform contex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8022055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안경자
연구수행기관 서울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에서는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의사소통 접근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에 기초한 영어 교육 개혁 정책들이 6차 교육과정 이후로 최근 2009년 영어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이는 과업중심교육, 학습자 중심교육, 문화의 이해 및 활용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영어를 영어로 가르치는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인증제를 도입하여, 교사가 영어로 교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검증받도록 독려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개혁의 맥락 속에서, 많은 연구들은 한국인 영어교사의 교육 개혁에 대한 믿음과 실제 교수 방법이 여전히 전통적인 교수법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Choi, 2000; Guilloteaux, 2004; Jeon & Hahn, 2006; E-J. Kim, 2008; S-Y. Kim, 2002; Li, 1998). 이는 교사, 학생, 교육 맥락 등에 관련된 각종 변인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많은 연구들이 이러한 교육 개혁 정책을 직접적으로 교실에서 수행해 나갈 교사들을 위한 적절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영어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중가하면서, 실제로 이러한 정부의 교육 과정 개혁이 교사 교육 과정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 연구들(김우형, 2009; 민찬규, 2006; 박성수, 2004; Y.-H. Na, B.-K. Ahn, & H.-S. Kim, 2008; S. Yang, 2009)은 참가한 교사들의 만족도, 영어능력 및 영어교수능력 향상 등에 대해 주로 분석하였다. 이처럼 현직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예비 영어교사가 교육과정 개혁의 맥락 아래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특히 효과적인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학부에서 배운 이론적 혹은 실용적인 지식이 교생실습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되는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교사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중등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초등 영어교사에 대한 연구도 최근 나타나고 있는데, 공교육상의 영어교육이 초등학교에서 시작되는 만큼, 초등 예비 영어교사들이 일선 실습학교에서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는 실제로 교육과정이 향후 현장에서 실행될 척도를 가늠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교생들의 경우는 교사가 될 확률이 중등학교 교생들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초등 영어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실제로 미래 초등 영어 교육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예비 초등 영어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해서는 교육실습에 관한 교생(김재혁, 2008; 정경애, 최희경, 2011) 및 지도교사의 인식(허미경, 김은정, 2010)에 대한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들에 의하면 예비 초등 영어교사들은 교육실습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실제로 교생들이 영어 수업을 관찰하고 영어를 지도해 보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영어 교수 능력에 대한 지도를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위 연구들은 교육실습에 대한 현황 및 개선점을 논하면서, 예비 영어교사 교육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볼 때, 초등영어 교육의 바탕이 되는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맥락과 예비교사들의 이에 대한 이해 및 실제 교실에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대규모로 교육 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알아보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제 개별 교생들의 사례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교생들의 개인적인 배경, 지도교사와 동료 교생 및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실습학교의 맥락 등도 충분히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을 근간으로 하는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의 맥락에서, 초등 예비 영어교사, 즉 교생들의 교육 실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안한다:

    1.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이 예비 영어교사의 실습 활동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가?
    2. 예비 영어교사는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가?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후속연구를 활성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초등학교의 교생 실습은 단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3년간 5학기에 걸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교생들의 영어교사로서의 발전을 이루는 과정을 밝혀내는 것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임용고사를 통해 교사로 진출하는 상황에서, 일선 교사로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있어, 예비교사 교육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도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장기간에 걸쳐 해당 대상자들을 추적해 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장기간의 중요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함의점을 제공하여 향후 예비교사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해 나갈 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예비교사는 대학 강의에서 전달하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이를 일선 학교의 수업 시간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는 단선적인 시각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제로 예비교사가 교육 실습 프로그램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과 실제 교수가 어떻게 변해가고 발전해 나가는지를 살펴보는 연구로 보다 열린 관점으로 교생들의 실습 과정을 분석하게 된다. 이미 실습 교육 이전에 가진 경험과 믿음들이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실습 교육에서의 활동 및 교육 내용과 상호작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영어 교실과 학교라는 맥락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교사 교육을 계획할 때에는 이런 많은 다양한 변수들이 교사의 인식과 교수 행동에 수반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교육대학 및 협력 초등학교의 교원과 예비교사가 함께 고민해 나가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예비교사의 목표, 그리고 현장 영어 교실에서의 목표들도 함께 고려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교육 실습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해 나가는 견인차로서 본 연구가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영어 교육 개혁에 관련된 정책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 교육 정책을 실행해 나가는 데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 정책 수립, 개정 시에 현장에서 직접 가르치는 교사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의 믿음 및 실제 교수와 교육 개혁의 원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예비교사 교육을 통해 교사들이 이러한 개혁의 원리를 알아가고 이해하며, 그 효용성을 믿을 때, 그리고 실제로 수업 시간에 적용될 수 있는 사례를 풍부하게 접할 때, 그 정책은 교육 현장에서 실행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적용 단계에서 문제가 생겼을 경우,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교사 및 교실 현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을 근간으로 하는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의 맥락에서, 초등 예비 영어교사, 즉 교생들의 교육 실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예비 영어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교육대학 학부 학생들, 특히 영어 심화과정 3학년에 재학 중인 30여명을 대상으로 할 것이다. 일선 학교 사정에 따라 영어 수업 지도에 보다 많이 관여하게 될 학생들을 조사하고 보다 집중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 집중 연구 대상자로 4-5명 정도를 선정할 예정인데, 이는 집중 연구 대상자로서 협력하려는 의지, 영어 학습 및 교수 경험 등을 검토하여 결정할 것이다.

    1학기와 2학기에 있는 2주간의 실습 교육 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습 매뉴얼, 실습일지, 수업지도안,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수업 교구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집중 대상자를 중심으로 영어 수업 관찰 및 인터뷰를 추가로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교생의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할 것이다. 영어 수업 지도에 관해 지도교사와 교생간의 협의회가 있을 경우 이를 녹취하여 분석할 것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내용 분석 등을 이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고, 적절한 방법론적이고 이론적인 틀을 바탕으로 해석될 것이다. 먼저, 설문지는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교생 및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 교생 일지, 교생 및 지도교사간의 협의회 등은 내용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또한 영어 수업 관찰을 통해 실제로 수업하는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자료 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분석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료 다각화(data triangulation), 세밀한 기술(thick description), 연구 참여자 확인(member checking), 동료 연구자 검토(peer debriefing) 등을 실시할 것이다(Creswell, 2003; Lincoln & Guba, 1985).

    본 연구는 보다 심도 있게 예비교사들의 교육 실습 경험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학부과정에서 학습된 교수이론 및 교육과정 개혁의 주요 측면들이 실제로 교실 현장에서 얼마나 적용되고 실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을 분석할 때 그들을 둘러싼 각종 사회 문화적, 역사적인 맥락과 변인들을 고려할 것이다. 또한 예비교사들의 개인적인 경험과 믿음, 지도교사 및 동료교생들과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라는 변수도 고려함으로써 보다 깊이 있게 개별 학생들의 교생실습을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후속연구를 활성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후속적인 교생 실습 및 교사 임용 후 일선 교사로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있어 예비교사 교육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도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함의점을 제공하여 향후 예비교사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해 나갈 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본 연구는 영어 교육 개혁에 관련된 정책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외국어교사교육, 예비교사교육, 교육실습, 교육과정개혁
  • 영문키워드
  • L2 teacher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eaching practicum, curricular reform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을 근간으로 하는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의 맥락에서, 초등 예비 영어교사, 즉 교생들의 교육 실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특히 예비 영어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교육대학의 영어과 3학년 재학생 30명이며, 교대부속초교의 지도교사 1명, 지도교생 3명을 집중적으로 관찰했다. 3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지도교사와 교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교생의 실습일지, 수업지도안 등을 자료로 수집했다. 자료는 내용분석 및 빈도분석을 실시했다.

    예비영어교사(교생)들의 영어교실에서의 영어 교수는 각종 변수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났다. 교생 3명의 개인적인 영어 학습 및 지도 경험, 학부 수업에서 배운 지식 및 이에 대한 이해, 실습 학교의 맥락, 지도교사의 지도의 양과 질, 학생들의 수준 및 반응 등이 그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각 교생들은 영어 능력, 영어 학습 및 교수 경험이 상이한 것을 비롯해 다양한 개인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이로 인해 수업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지도교사의 지도에 대한 요구 및 반응, 영어교사로서의 발전 정도 등이 서로 달랐다. 지도교사 및 예비영어교사들이 교육과정의 주요 원리 등에 대해 정확하고 상세하게 알고 있지는 않으나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고 이를 실행에 옮기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는데, 그 과정에서 직면하는 애로사항 등으로 인해 원래의 의도가 구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초등학교 교육실습을 통해 초등 예비영어교사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의 영어 및 영어교수능력 강화를 위한 개인적인 노력 이외에도, 지도교사의 보다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지도, 지도교사와 교생간의 보다 원활한 상호작용, 영어 교육실습 시스템의 보완, 교육대학 학부 수업의 내용 및 교수 방법의 개선, 예비교사 및 지도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oriented English language curricular reforms mand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re instantiated in prim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extent to which a cohort of three pre-service teachers is able to internalize the concepts embedded in these curricular reforms and enact those concepts in their instructional practices during the practicum experi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과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을 근간으로 하는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의 맥락에서, 초등 예비 영어교사, 즉 교생들의 교육 실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특히 예비 영어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육과정 개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교육대학의 영어과 3학년 재학생 30명이다. 그 중에서도 초등교육실습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 실습 관찰에 협조적이고 용이한 교육실습 협력학교인 교육대학 부속 초등학교를 집중 관찰했다. 이 학교에서 협력의 의지를 밝힌 지도교사 1명 및 지도교생 3명을 집중 연구대상으로 했다. 3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집중 연구 대상 교생 3명을 중심으로 실습 매뉴얼, 실습일지, 수업지도안,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수업 교구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영어 수업 관찰 및 인터뷰를 실시했다. 또한 교생의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다. 설문지와 인터뷰는 내용분석 및 빈도분석을 실시했다.

    사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의 에비교사들은 교생실습에서 영어 수업을 하지만, 협력 초등학교의 사정으로 영어수업을 배정받지 못한 교생들도 있었다. 교육실습에서 영어수업을 할 때 학급 학생들의 영어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힘들고, 수준이 다른 학생들을 한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사후 설문조사에서 교생들은 교육실습 경험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지도교사의 보다 적극적인 피드백과 지원을 바라고 있었다.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학습자의 영어의사소통능력을 제고한다는 큰 개념은 알고 있었으나, 보다 구체화된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거나 이해가 높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예비영어교사(교생)들의 영어교실에서의 영어 교수는 각종 변수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보인다. 교생 3명의 개인적인 영어 학습 및 지도 경험, 학부 수업에서 배운 지식 및 이에 대한 이해, 실습 학교의 맥락, 지도교사의 지도의 양과 질, 학생들의 수준 및 반응 등이 그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각 교생들은 영어 능력, 영어 학습 및 교수 경험이 상이한 것을 비롯해 다양한 개인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이로 인해 수업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지도교사의 지도에 대한 요구 및 반응, 영어교사로서의 발전 정도 등이 서로 달랐다.

    교육과정에서의 목표가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있고, 세 교생의 수업에서는 교생들이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의 발화를 이끌어내고자 노력했는데, 진행상의 미숙, 영어 능력의 부족, 목표 언어 표현의 한계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학습자 중심(learner-centered)의 과업 기반 수업(task-based instruction)을 하고자 활동을 구상하고 실행했는데, 실제적인 수업운영(classroom management, task management)이 원활하게 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지도교사 및 예비영어교사들이 교육과정의 주요 원리 등에 대해 정확하고 상세하게 알고 있지는 않으나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고 이를 실행에 옮기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는데, 그 과정에서 직면하는 애로사항 등으로 인해 원래의 의도가 구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육실습을 통해 초등 예비영어교사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예비교사의 영어 및 영어교수능력 강화를 위한 개인적인 노력 이외에도, 지도교사의 보다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지도, 지도교사와 교생간의 보다 원활한 상호작용, 영어 교육실습 시스템의 보완, 교육대학 학부 수업의 내용 및 교수 방법의 개선, 예비교사 및 지도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사전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에비교사들은 교생실습에서 영어 수업을 하지만, 협력 초등학교의 사정으로 영어수업을 배정받지 못한 교생들도 있었다. 교육실습에서 영어수업을 할 때 학급 학생들의 영어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 힘들고, 수준이 다른 학생들을 한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사후 설문조사에서 교생들은 교육실습 경험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지도교사의 보다 적극적인 피드백과 지원을 바라고 있었다.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학습자의 영어의사소통능력을 제고한다는 큰 개념은 알고 있었으나, 보다 구체화된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거나 이해가 높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예비영어교사(교생)들의 영어교실에서의 영어 교수는 각종 변수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보인다. 교생 3명의 개인적인 영어 학습 및 지도 경험, 학부 수업에서 배운 지식 및 이에 대한 이해, 실습 학교의 맥락, 지도교사의 지도의 양과 질, 학생들의 수준 및 반응 등이 그 주요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각 교생들은 영어 능력, 영어 학습 및 교수 경험이 상이한 것을 비롯해 다양한 개인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이로 인해 수업에서 중점을 두는 부분,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 지도교사의 지도에 대한 요구 및 반응, 영어교사로서의 발전 정도 등이 서로 달랐다.

    교육과정에서의 목표가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있고, 세 교생의 수업에서는 교생들이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의 발화를 이끌어내고자 노력했는데, 진행상의 미숙, 영어 능력의 부족, 목표 언어 표현의 한계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학습자 중심의 과업 기반 수업을 하고자 활동을 구상하고 실행했는데, 실제적인 수업운영이 원활하게 할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지도교사 및 예비영어교사들이 교육과정의 주요 원리 등에 대해 정확하고 상세하게 알고 있지는 않으나 그 방향성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었고 이를 실행에 옮기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는데, 그 과정에서 직면하는 애로사항 등으로 인해 원래의 의도가 구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후속연구를 활성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초등학교의 교생 실습은 단 한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3년간 5학기에 걸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교생들의 영어교사로서의 발전을 이루는 과정을 밝혀내는 것으로 의미 있는 일이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임용고사를 통해 교사로 진출하는 상황에서, 일선 교사로서 영어를 가르치는데 있어, 예비교사 교육이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도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장기간에 걸쳐 해당 대상자들을 추적해 봄으로써,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그러한 장기간의 중요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기초가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함의점을 제공하여 향후 예비교사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해 나갈 때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실제로 예비교사가 교육 실습 프로그램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과 실제 교수가 어떻게 변해가고 발전해 나가는지를 살펴보는 연구로 보다 열린 관점으로 교생들의 실습 과정을 분석한다. 교사 교육을 계획할 때에는 다양한 변수들이 교사의 인식과 교수 행동에 수반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교육대학 및 협력 초등학교의 교원과 예비교사가 함께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영어 교육 개혁에 관련된 정책에 있어서도 시사점을 줄 것이다. 영어 교육 정책의 실행에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 정책 수립 및 개정 시에 현장에서 직접 가르치는 교사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의 믿음 및 실제 교수와 교육 개혁의 원리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해결해 나가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초등영어교육, 제2언어 교사교육, 예비교사교육, 교육실습, 교육과정개혁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